• Title/Summary/Keyword: 국토공간정보 통합 시스템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Web-based Spatial Feature Extraction from DXF File for Efficient Digital Map System (효율적인 수치지도 시스템을 위한 DXF 파일로부터의 웹기반 공간개체 추출)

  • Lee Gyu-Myung;Seo Jeong-Min;Kim Sam-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15-1418
    • /
    • 2006
  • 최근 정보 관련 산업 발달과 더불어 공간 정보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어, 국가 차원의 지리정보체계가 구현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이 구축하고 있는 수치지도는 DXF로 제작되는데, 이 DXF맵은 GIS분야에서 필요한 속성정보나 위상정보를 갖지 못하여 지리정보 통합에 어려움이 있다. 지리정보의 여러 분야에 걸쳐 효율적인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DXF파일에서 공간 개체를 추출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XF 파일에서 다양한 공간 개체를 추출하는 효율적인 공간 개체 추출기를 제안한다. 공간 개체 추출기는 DXF파일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 POLYLINE, POINT, CIRCLE, TEXT, ARC, LINE의 수치값을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DAT 파일에 저장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웹서버에 DXF 파일을 업로드해서 공간 개체 추출기를 실행하여 결과를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PDF

Prototype definitions for the service of Land Monitoring Data (국토모니터링 자료제공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타입 정의)

  • Seo, D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42-143
    • /
    • 2008
  • 우리나라의 국토모니터링 자료는 복잡한 유통체계와 과정을 거쳐 공급되기 때문에 중복과 일관성 유지가 곤란하고, 자료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모니터링 자료제공을 위한 포털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포털시스템의 사용자 접근성과 사용의 용이성을 고려한 프로토타입을 정의하였다. 가상화에 의한 자료의 통합 주문형 자료 생산, 표준화의 적용, 자료의 접근성에 관한 속성 분류 등에 내한 내용을 정의하였다. 이에 따가 국토모니터링 포털시스템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혹은 단순한 뷰어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표준에 의해 공유되는 맵 서버, 서비스 저장소, 자료 서버, 카다로그 서비스, 웹 뷰어, GIS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의 내용을 갖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ediction and Monitoring Technology for Road Inund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 도로침수 실시간 예측·감시 및 운영 기술 개발)

  • Noh, Hui-Seong;Choi, Yun-Seok;Kim, Gil-Ho;Kim, Joo-Hun;Kang, Na-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7-477
    • /
    • 2021
  • 지구온난화로 인한 집중호우 및 태풍의 발생 횟수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로침수는 피해 측면에서 '복구-보상' 중심의 사후처리 체계에서 벗어나 '예방-대응-관리'를 통한 사전 재난대응 체계로 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도로침수관련 재난정책의 기반기술이 될 수 있는 '도로침수 실시간 예측·감시 및 운영 기술'을 경상남도 진주시를 대상으로 침수피해 관련 지역현안을 해결하고자 하며, 강우예측자료를 활용한 침수해석, CCTV영상을 이용한 AI기반 실시간 침수감시, 공간 빅데이터 기반 침수정보제공, e-SOP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실증 연구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결과물이 실용화되어 도로침수통합관리시스템으로 운영된다면 지역 수재해 대응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Web-based River Manage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효율적인 하천관리지리정보 웹 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Chae, Hyo-Sok;Hwang, Eui-Ho;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31-237
    • /
    • 2005
  • 전자정부 및 전자국토(e-Land) 실현을 위해 국토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인 하천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하천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하천정비기본계획 성과물을 DB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을 구축하여 현재 지방국토관리청에서 C/S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유지관리 및 사용자 교육 등을 위한 사업이 년차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하천 뿐만 아니라 지방1,2급 하천정보가 연계될 수 있는 통합형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및 구축된 정보의 공유를 위한 시스템 부재로 인하여 활용성이 크게 제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C/S 형태의 시스템을 웹기반의 시스템으로 개선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하천관련 정보의 공유를 활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5개 지방국토관리청에 C/S 기반으로 설치·운영 중인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을 웹버전으로 개선하기 위한 구축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하천관리업무 지원을 위한 상세업무분석, 도출된 업무의 시스템 반영을 위한 기능 설계, H/W, S/W 및 네트워크 구성 설계, 건설 CALS 및 수문정보시스템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하천정보서비스 제공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천정보의 종합적인 관리와 서비스 제공 기반 구축으로 지자체 등의 정보공유 체계가 구축되어 국가하천 뿐만 아니라 지방하천 등 수계 일관한 하천정보의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있어 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야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이루어졌다 가능한 창조 모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94,\;29.4{\pm}30.3,\;45.1{\pm}44$로 Mel 10군과 Mel 30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p<0.05) 이들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랫트에서 복강수술 후 melatonin 10mg/kg투여가 복강 내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1}{\cdot}yr^{-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여한 3,5,7군에서 PUFA 함량이 증가한 반면, SFA 함량은 감소하여 P/S 비율, n-3P/n-6P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간장의 인지질,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총 지질의 지방산조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X>$(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 PDF

A Study on Methods for the Domestic Diffusion of Intelligent Security Project : With a Focus on the Case of Smart City Integrated Platform (지능형 방범 사업의 국내 확산 방안 연구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대상으로)

  • Shin, Young-Seob;Han, Sun-Hee;Lee,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7
    • /
    • pp.474-484
    • /
    • 2019
  • In this age, where the social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and unpredictably, interest in safety from crime is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As the desire to live a life free from the fear of crime increases,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of safe cities is also rising nationwide. To meet the national demand, the Korean government is promoting a project to link public disaster safety systems by involving municipalities, 112, 119, and other emergency services and institutions through the Smart City Integrated Platform in order to construct a smart safety n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nking of theSmart City Integrated Platform and theIntelligent Security Pro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inkage's objective is clear. 2. The system sector can provide information to accident-related organizations. 3. The scenario area can be expanded to a crime-prevention sector, and a long-term urban information integration infrastructure can be created. 4. Product testing is enabled by a smart city road map and through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relevant organizations. 5. Project diffusion to other local governments can be promoted with the continued addition of commercial products.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with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DB 구축 및 활용성 평가)

  • Lee, Hyun-Jik;Hwang, Seok-Hoon;Choi, Dong-Ju;Ru, Ji-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3-58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구축 방안 연구)

  • PARK, Dong-Hyun;JANG, Yong-Gu;CHOI, Hyun-S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23-34
    • /
    • 2018
  • Recently, mainly in downtown, there have been frequent safety incidents in underground space like ground subsidence and land sinking. Out of diverse coping measures, the government is carrying forward th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s a core element of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the 3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used as major data of underground space impact assessment obli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Underground Space Safety". The construction method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drawn when establishing the basic establishment plan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the Integrated DB Center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draw concrete measures with accuracy, efficiency, and utilization. This study drew the construction plan considering the accuracy, utilization, and efficiency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For this, accuracy between elevation and underground level is compared using MVS and MakeJiban which are software to construct boring information with geotechnical information i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In the results of general analysis, the milepost-based construction of whole strata in a lump would be the most suitable in the aspect of accuracy, utilization,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 to construct 3D geotechnical information will be pursued.

A Study of Mothodology to grant UFID of Geographic Features (지형지물 유일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 부여방안에 관한 연구)

  • Kim, Byung-Guk;Kim, Ju-Han;Jeong, Dong-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71-77
    • /
    • 2003
  • 정보화 사업의 결과로 전 국토에 대한 수치지도 및 여러 가지 주제도 제작이 완료되었다. 건물, 도로 및 교량 등과 같은 인공적 지형지물과 하천과 같은 자연적 지형지물을 포괄하는 모든 지형지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체계화된 관리체계가 필요하나, 지형지물의 관리기관별 DB가 불일치하여 국가적 지리정보체계의 통합관리자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활용에 공통키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식별자만으로 위치 판단이 가능하고, 정보의 일관성 및 NGIS DB의 체계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지형지물 유일식별자(UFID)를 부여하는 체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대용량 영상 자료를 활용한 환경지리정보 인트라넷 시스템 개발

  • 이상익;신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49-354
    • /
    • 2004
  • 최근 들어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은 국토환경관리에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환경부 및 환경부 산하 기관의 많은 공무원들이 이러한 영상자료를 빠르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은 고가의 영상처리소프트웨어를 사용자 PC에 설치한 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의 영상자료를 처리하여 업무에 활용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영상자료 유출의 위험성, 소프트웨어의 중복적 구매에 따른 비용증가, 대용량 영상자료의 이동성 감소, 관련 소프트웨어 교육 시간 및 비용 증가 및 대용량 자료 처리에 따른 처리시간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환경부 공무원의 사용자 활용도를 증가시킨 '대용량 영상자료를 활용한 환경지리정보 인트라넷 시스템'을 개발했다. 본 시스템은 최신 영상 압축 및 전송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자료의 물리적 파일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압축 전송함으로써 매우 빠른 속도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인트라넷을 통해 서비스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전송된 영상을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처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과 속도를 매우 향상시켰다. 또한 본 시스템은 환경부가 제작한 34종 이상의 벡터 자료와 함께 통합되어 서비스됨으로써 영상자료와 벡터자료의 통합적 활용성을 증가시켰다.용성을 증가시켰다.

  • PDF

Improvement of Regula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Data Base of Railway Facilities (철도시설 공간정보DB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Chung, Sung Bong;Choi, Ji Ho;Won, Jongun;Kim, Dongs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1
    • /
    • pp.187-193
    • /
    • 2017
  •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GIS Data Base in such fields as land-use, road, and underground facilities since 1995.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egan to emerge and accordingly 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d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Master Plan" and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Action Plan". However, compared to other fields of transportation,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base for railway facilities are not established and provided systematically. As shown in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ystem', only 'transportation information' as an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portation' field as an administrative in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system. Detailed information for railway and its facilities are not included in the system. The reason why detailed information for railway facilities are not included in the system is that regulations for establishing and utilizing the spatial information of railway and its facilities are imperfect. In this study, trend of establishing spatial information and regulations related to railway and its facilities are reviewed. Through this review, improvement items such as complementing existent laws and establishing organization for managing spatial information data of railway are deduced and suggested. Based on this research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ystem' could set a legal fundament and both integrated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railway facilities could b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