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구축 방안 연구

  • 박동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 장용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 최현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Received : 2017.12.22
  • Accepted : 2018.03.09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Recently, mainly in downtown, there have been frequent safety incidents in underground space like ground subsidence and land sinking. Out of diverse coping measures, the government is carrying forward the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s a core element of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the 3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used as major data of underground space impact assessment obli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Underground Space Safety". The construction method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drawn when establishing the basic establishment plan of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the Integrated DB Center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draw concrete measures with accuracy, efficiency, and utilization. This study drew the construction plan considering the accuracy, utilization, and efficiency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For this, accuracy between elevation and underground level is compared using MVS and MakeJiban which are software to construct boring information with geotechnical information i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In the results of general analysis, the milepost-based construction of whole strata in a lump would be the most suitable in the aspect of accuracy, utilization,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 to construct 3D geotechnical information will be pursued.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침하, 지반함몰 등 지하공간에서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3차원 지반정보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핵심 구성요소이며,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무화된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주요 데이터로 활용된다.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법은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시 도출되고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서 지속적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확성, 효율성, 활용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안 도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해 3차원 지반정보의 정확성, 활용성, 구축 효율성을 고려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에서 보유한 시추정보와 지반정보 구축 소프트웨어인 MVS, MakeJiban을 활용하여 표고와 지층 기반의 구축 높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종합적인 분석결과 정확성, 활용성, 효율성 측면에서 원표고 기반의 전체 지층 일괄 구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괄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ang, Y.G. and H.S. Jeon. 2013. A study on plan to secure and manag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for preventing earthquake and steep slop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pp.18-19(장용구, 전흥수. 2013,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확보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2013 정기 학술발표대회, 18-19쪽).
  2. Jeon, H.S. and Y.G. Jang. 2012. A study on integrated management of geotechnical and geological data for earthquake preven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1281 (전흥수, 장용구. 2012, 지반 및 지질정보 방재용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제38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1281쪽).
  3. Kang, Y.R. 2013. A study on application and integrated standardizatio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Master's Thesis, Univ. of Pusan, Korea. pp.9-15 (강유라. 2013, 지하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통합 표준화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15쪽).
  4. KICT. 2015. Basic plan establishment of costructing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MOLIT. pp.119-132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국토교통부, 119-132쪽).
  5. Kim, S.K., Y.G. Jang, C.K. Kim and I.J. Kang. 2013.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Jort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14(9):49-56(김수겸, 장용구, 김창규, 강인준. 2013,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4(9):49-56).
  6. Kim, S.M., J.H. Kim, H.J, Kim, and J. Heo. 2015. Registration of 3D underground cadastral system,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35-36 (김상민, 김정현, 김형진, 허준. 2015, 3차원 지하지적 등록 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35-36쪽).
  7. Kim, S.S., W.K. Lee, Y.G. Jang, and Y.B. Jo. 2015. Development of a pilot program for the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281-282 (김성수, 이원국, 장용구, 조유복.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통합.활용을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81-282쪽).
  8. Lee, B.Y., B.S. Hwang, H.S. Kim, and W.J. Jo. 2016. Comparative evaluation on geotechnical information 3D visualization program for dredging quantity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aental Society 17(7):35-42 (이보영, 황범식, 김한샘, 조완제, 2016, 준설 물량 산출을 위한 지반정보 3차원 가시화 프로그램 비교 평가, 한국지반환공학회지 17(7):35-42)
  9. Lee, B.Y., B.S. Hwang, and W.J. Jo. 2017. Precision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3D integrated undertound space map,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aental Society 18 (4):5-12 (이보영, 황범식, 조완제, 2017,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지반정보 정밀도 분석, 한국지반환공학회지 18(4): 5-12) https://doi.org/10.14481/jkges.2017.18.1.5
  10. Lee, S.M., 2006. The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GIS for the management of underground spaces: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subway station and underground arcades,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Korea, pp.8-9 (이상미. 2006, 지하공간의 관리를 위한 3차원 GIS의 활용 : 지하철역과 지하상가 연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쪽).
  11. Oh, C.K. 2017. A study on 3Dgeotechnical information ground topography interpolation accuracy verification measure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Korea, pp8-18 (오창균. 2017, 3차원 지반정보 가시화를 위한 지형보간기법 정밀도 검증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8쪽).
  12. Park, D.H., Y.G. Jang, J.Y. Woo, and W.K. Lee. 2015. Creas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map.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103-104 (박동현, 장용구, 우제윤, 이원국. 2015,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생성 방안 수립,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03-104쪽).

Cited by

  1. 현장 GPR 탐사자료와 지하공간통합지도 상호위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vol.23, pp.4, 2020, https://doi.org/10.11108/kagis.2020.23.4.208
  2. 중심점 기반 지하시설물 갱신객체 추출 기술 vol.38, pp.6, 2018, https://doi.org/10.7848/ksgpc.2020.38.6.553
  3.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3D Visualization Service System on the Integrated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Map vol.25, pp.12, 2018, https://doi.org/10.9708/jksci.2020.25.12.173
  4. A Study of the Appli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GPR Investigation on Underground Survey of the Korean Expressways vol.13, pp.9, 2018, https://doi.org/10.3390/rs1309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