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어교육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Analysis on the Teaching in the Use of Libraries in Primary School′s Language Textbooks at Japan (일본 소학교 국어 교과서의 도서관 이용 교육 분석)

  • 신대범;남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315-323
    • /
    • 2003
  • 도서관에 대한 올바른 이용과 이해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도서관 이용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정규 교과서에 반영하여 교과 수업 시간에 지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본은 문부과학성에서 고시한 ‘학습지도요령’에 의거 국어 교과서에 다각적인 도서관 이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소학교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도서관 이용 교육을 분석하여 앞으로 우리 나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에 참고 자료가 되고자 한다.

  • PDF

Aspects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Cho, Hee-jung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
    • no.32
    • /
    • pp.63-11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have increased student awareness of literary canons because these have been taught and learned through public education. Seodongyo, Gemangmega, and Gasiri in classical poetry and the tale of Heungbu, Pongsan Mask Dance, the Tale of Ch'unhyang and the tale of Honggildong(by Heo Gyun) in classical prose are published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 three-verse Korean ode and a classical novel are the most chosen genres in classical literature.

A Study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Seaming planning document with ICT on Nation Language Art in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대학에서 국어과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Im, Cheon-Taek;Joo, Kang-Sik;Lee, Jae-M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58-467
    • /
    • 2004
  • 본 연구 개발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정안 개발 및 수업에서의 활용 능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향후 ICT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경우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개발의 내용은 국어과 ICT 활용 교육 관련 문헌 및 자료 탐색, 자료 및 수업 운영 실태 분석, 국어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학습 내용 및 목표 분석과 국어과 6학년 1, 2학기 180차시에 대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ICT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 결과물의 수정 검토 및 서버 탑재, ICT 교수 학습 과정 개발 과정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모색이다. 본 연구 개발을 위하여 2003년 2학기 강좌인 '국어과 교재 연구(2학점)'와 통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강좌에서는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모형 안내, 과정안 작성 방법 지도, ICT 활용 수업의 분석, 과정안 개발에 필요한 컴퓨터 소양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과정안의 개발은 학기 과제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 개발 과제의 수행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국어과 6학년 ICT 교수 학습 과정안 180차시와 연구 보고서 1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개발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에게 국어과 ICT 교수 학습 모형 및 과정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 학습 과정안의 작성 능력을 길러주었다. 둘째, 연구 보고서에 제시된 국어과 ICT 자료 개발 및 활용 실태, 예비 교사의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강의 계획과 개발을 위한 실제 지도 과정은 향후 관련 강의나 연구를 설계하고 교육과정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개발한 자료는 현장 교사들이 국어과 수업을 운용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 개발 결과 드러난 문제점과 보다 나은 연구와 강의를 지향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의 특성과 개발 내용에 비추어 볼 때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기간이 짧았다. 따라서 강의 시수를 늘리는 방안, 관련 강좌를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 기존 강좌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둘째, 예비 교사의 수준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부가 자료'를 포함하는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1인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안겨 주었다. 대안으로는 개발 관련 강자를 1년 단위로 계획하여 운용하는 방법, 학생 4-5명 당 1차시씩 개발하도록 하는 방법, ICT 교수 학습 과정안 자체만 개발하고 학습지, 교사연구자료, 자율학습 자료 등은 생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셋째, 학생들의 컴퓨터 소양 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ICT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을 과제로 부과할 경우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의 교육 과정 편성 체제를 감안하면 컴퓨터 강좌와 교과 교육 강좌를 통합 강좌 형태로 운영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 교수 학습 모형의 경직성과 실제 교수 학습 변인을 고려한 활용이나 변형에 대한 탐구가 여전히 부족했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를 몇 가지의 모형 틀 속으로 자꾸 끓어 내려고 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모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

  • PD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Korean Language Expert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on the Cognitive Domain of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Focus on 'Explain'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국어교육전공자와 과학교육전공자의 해석 차이:설명하기를 중심으로)

  • Song, Eunjeong;Je, Minkyeong;Cha, Kyungmi;Yoo, Jun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2
    • /
    • pp.371-382
    • /
    • 2017
  • The texts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are expected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as that of the authors. In this study,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designed and utilized an analysis framework on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from their viewpoints while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utilized TIMSS cognitive domain framework to analyze the 2009 Korean revised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pretations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interviews. First of all, the two groups seemed to have different meanings for terms such as "explain," "analyze," "define," and "cause and effect."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d by general verbs like "explain" wer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 verb "explain" that appears many tim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seem to be representing the "describe" subsections in the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rather than the "explain" subsections of the framework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Scienc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prepositional phrases, which indicate inquiry process, whil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seemed to focus on objective phrases. Moreover, the scienc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whil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would interpret them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specifically indicate the levels and scopes of cognitive domain as well as the knowledge domain. Also, integr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gnitive domains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The Impact of e-NIE Based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e-NIE학습이 초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im, Hee-Jin;Lee, Jae-I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95-202
    • /
    • 2010
  • 현대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로서 인간의 지식을 자원으로 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지식을 체계적이고 유연성 있는 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는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을 배양하고 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을 중요시하며, 실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 주변 및 사회적 현상을 다양한 국어 상황에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NIE를 학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인터넷이 보편화 되어 있는 환경과 정보통신기술의 함양 및 활용을 통한 e-NIE(인터넷을 통한 신문활용학습)를 국어과에 적용하여 읽기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다중지능에 기초한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Ku, Ji-Hye;Park, Seong-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9 no.1
    • /
    • pp.69-9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in a bid to foster the multiple intelligence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ers in regular language arts class. It's basically meant to create the educational conditions for every child to exert his or her abilitie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should be the objectives,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2. What effect does a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have on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8 Students in two different third-grade classes in M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aejeon.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was implemented during a 4month period of time, and an inclusive approach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ppli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 kinds of themes that could cover multiple intelligences in an inclusive way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major units of a third-grade language arts textbook(second semester) of the 7th national elementary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hen an inclusive Korean education program was prepared, which consisted of four stages: problem awareness, problem-solving planning, problem solving, and reflection/application/development. Second, the Kore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suggested some of new directions for school education that typically stressed linguistic and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s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