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직무표준 기반 교육과정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6초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H사이버대학 부동산도시미래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 함남혁;김재준;여옥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94-711
    • /
    • 2016
  •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좋은 자원이다. 최근 4년제 대학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계 수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등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활용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NCS는 기존 교육과정을 보완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NCS 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과정, NCS 기반 교과목 운영, 학습자 피드백.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NCS 도입을 고려하는 4년제 대학 및 사이버대학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57-491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현장실습교육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한 NCS 능력단위를 도출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된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고 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추진 현황 특히 문헌정보학 전공분야 NCS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실습기관인 도서관 현장에서의 NCS와 연계된 현장실습 구성요인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셋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결과 등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실제 도서관 현장의 업무와 적절하게 부합되는 방향으로 NCS와 연계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였고, 넷째, NCS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여 현장실습 실습생에게 요구되는 현장실습 교육지침서를 제안하였다.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모델 개발

  • 장은규;김정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9-289
    • /
    • 2018
  •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실시를 위해 개인의 역량을 파악하고 조직이 요구하는 수준에 대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해상교통안전을 증진시키고 조직 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임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npetency Standards)과 IALA 권고서 V-103/1에서 제시된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역량을 통합하여 하나의 역량모델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NCS기반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NCS확산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 최연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1-231
    • /
    • 2020
  •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직무능력은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스킬이나 기술 외에도 조직의 구성원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NCS기반 교육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한다.

스코틀랜드와 호주의 NCS기반 직무능력평가자(Competency Assessor) 자격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Qualification System of Competency Assessor in Australia and Scotland)

  • 이정표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23-245
    • /
    • 2017
  • 이 연구는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NCS기반 직무능력평가자의 양성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직무능력평가의 특징과 평가자의 역할을 살펴보고,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직무능력평가자 자격과정 및 질관리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국의 특징을 비교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호주와 스코틀랜드는 공통적으로 직무능력평가자 자격과정을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을 통해 개발 시행하고 있다. 해당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해당 교육훈련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교육훈련기관 및 과정에 대한 사전평가인증을 실시한다. 또한 자격과정을 운영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는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평가자를 확보하고, 평가자의 계속경력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교육훈련과정을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직무능력평가자 자격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호주와 스코틀랜드의 평가자 자격제도는 향후 우리나라에 직무능력평가자 자격제도의 설계 및 운영은 물론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질 관리 및 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권선영;백지원;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1-169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 내외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 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 고경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69-82
    • /
    • 2015
  •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교육학 이론의 관점에서, 특히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여 최근 전문대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와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은 산업체 인력수요와 대학 인재양성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능력중심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둘째, 청년실업의 확대, 산업인력의 고령화, 학력차별의 구조적인 문제 등을 갖고 있는 고용시장에서 인력수요 불일치 문제가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개발 절차와 핵심요소를 둘러싼 정당성과 이데올로기에 대해 많은 논쟁이 이루어졌고, 그 한계가 지적되어 새로운 교육과정 패러다임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한계 내에서도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수요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한 사회 경제 정치적 관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결점을 찾아야하고, 직무 능력과 표준에 대한 규정의 주체 문제, 창의적 융복합 시대에서 NCS의 사회적 유효성 문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 및 실천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공학 교과과정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based o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권오영;장경식;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2015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근로자가 자신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도출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4년제 대학의 경우 NCS를 활용한 교과과정 개편에 관한 가시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나 대학교 교과과정의 현장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NCS에 기반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도입등으로 4년제 대학교 교과과정에 NCS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을 참조하여 NCS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NCS를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Job Competency Develop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Key Competencies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남기영;윤준상;임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0-141
    • /
    • 2017
  •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직무능력개발이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갖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4개 단위로 구분한 직업기초능력에 직무능력개발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교육환경의 외부적 영향을 감안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조사를 위해 서울에 소재중인 평생교육 기관의 학습자 480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의 검증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수리능력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체계(F=3.021, p<.05)와 교육과정(F=6.684, p<.05)은 단일 차원에서 수리능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 중 교육과정(F=5.865, p<.05)만 단일차원에서 자원관리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4의 검증 결과, 직무능력개발요인은 단일 차원에서는 의사소통에 모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무능력개발요인은 교수상호작용과 평생교육지원이 병행되는 과정에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이 조화되거나 혹은 교육체계, 교육과정, 평가관리 모두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을 때,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NCS 기반 S-OJT 교육과정개발: A기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OJT training program for a Software Compan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 Case of Firm A)

  • 나현미;심지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1-10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국가경제성장에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소프트웨어 산업의 전문인력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개발된 교육과정은 산업현장을 반영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두었으며, 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S-OJT(체계적 현장직무 교육훈련: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프트웨어 산업과 관련한 경제지표와 관련인력의 투입 등의 자료를 검토하여 그 산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S-OJT방법의 차용을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해당 개념을 충분히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NCS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 틀로서 고용노동부에서 개발하여 배포된 한국형 일 학습 듀얼 시스템 운영매뉴얼의 개발절차를 활용하였다. 현장성 높은 과정 개발을 위해 소프트웨어 분야 주식회사A의 교육요구조사분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직무를 선정하였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수준을 발굴하기 위해, 기 개발된 NCS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NCS에 반영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기존자료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교육체계를 개발하였다. 총 44개의 교육과정이 4년간의 교육기간동안 이수되도록 개발되었으며, 각 과정은 교과목표, 소요시간, 교과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선수과목을 각각 표기하였다. 또한 44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교육체계 로드맵, 세부 운영전략 등을 개발하였다. 사회적으로 NCS에 기반한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 도출된 교육체계와 교육과정은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고용노동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매뉴얼에 따른 개발 절차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향후 NCS에 기반한 산업직무별 교육과정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활발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해당 과정의 교육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개발과 NCS에 특화된 교재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