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강성

Search Result 2,57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Equivalent Load for Stiffness (강성등가하중의 정의와 응용)

  • Kim Chee-Kyeo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9 no.3 s.73
    • /
    • pp.303-312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equivalent nodal load for the element stiffness which represents the influence of the stiffness change such as the addition of elements, the deletion of elements, and/or the partial change of element stiffness. The reanalysis of structure using the equivalent load improves the efficiency very much because the inverse of the structural stiffness matrix, which needs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to calculate, is reused in the reanalysis.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he equivalent load for the element stiffness is described and some numerical examples are provided to verify it.

Efficient Seismic Analysis of High-Rise Shear Wall Building Structures considering the Flexural Stiffness of Floor Slabs (바닥판의 휨강성을 고려한 전단벽식 건물의 효율적인 지진해석)

  • 김현수;이동근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193-202
    • /
    • 2001
  • 현재 국내에서는 아파트 건물을 짓는데 벽과 바닥판으로만 이루어진 벽식 구조형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층 아파트건물을 해석하기 위해서 ETABS나 MIDAS/BDS 같은 상용프로그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ETABS는 해석상의 편의를 위하여 바다판을 강막으로 가정하여 모형화 하고 바닥판의 휨강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프레임 구조물을 해석할 때에는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벽식 구조물은 바닥판의 휨강성이 전체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바닥판의 휨강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전체 구조물의 강성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판을 판요소로 세분하여 모형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때 많은 양의 해석 시간과 컴퓨터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분구조법과 행렬응축기법을 사용하여 해석 시간과 컴퓨터 메모리의 사용을 줄이면서도 바닥판의 휨강성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경사케이블의 동적 강성 행렬

  • 안상섭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22-29
    • /
    • 1997
  • 본 기사에서는 경사케이블의 자중의 현 방향성분을 고려하여 케이블의 동적 강성 행렬을 유도하였다. 이 동적 강성 행렬로부터 부재 자체의 동적특성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결합되었을 경우 동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도된 동적 강성값을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실 구조물의 부재롤 사용되는 경사 케이블은 중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현 방향 자중성분을 무시할 수 없으며 항상 복합 모드 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러한 복합 모드형성으로 인해 경사 케이블의 동적 강성값은 기존의 동적 강성값보다 좀 더 큰 값을 보인다.

  • PDF

An Efficient Partial Reanalysis Algorithm for the Locally Changed Structures (부분적 강성 변화에 따른 효율적 부분 재해석 알고리즘)

  • Kim Chee-Kyeo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7 no.4
    • /
    • pp.459-46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reanalysis algorithm, named PRAS (Partial Reanalysis algorithm using Adaptable Substructuring), for the partially changed structures. The algorithm recalculates directly any displacement or member force under consideration in real time without a full reanalysis in spite of local changes in member stiffness or connectivity_ The key procedures consists of 1) partitioning the whole structure into the changed part and the unchanged part, 2) condensing the internal degrees of freedom and forming the unchanged part substructure, 3) assembling and solving the new stiffness matrix from the unchanged part substructure and the changed members.

강성비의 변화에 따른 Shell구조의 역학적 거동

  • 도진수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7 no.2
    • /
    • pp.11-15
    • /
    • 1994
  • 본 고에서는 축대칭회전 Shell을 해석모델로 선정하여 주로 Shell의 휨 강성이 구조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어떠한 구조형식이든 외력의 작용하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축방향력 뿐이라는 것은 상당히 합리적이고 역학적으로도 명쾌한 동시에, 실제 설계상 이상적인 판단기준을 부여하지만, 실제로는 필히 휨상태를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휨상태는 구성요소의 휨강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구조체에 어느정도의 휨강성을 부여하므로써 작용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의 증가, 변형 및 응력의 저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등방성 Shell에 대한 선형 해석결과만을 게재하였으나, 이러한 성상은 여러가지 영향인자(지지조건, 하중상태 등)에 따라 아주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세심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damage fields containing stochastic uncertainty on stiffness reduction (확률적 불확실성을 포함한 손상 장에서의 강성 저감 효과 분석)

  • Noh, Myung-Hyun;Lee, Sang-Youl;Park, Tae-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57-3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 불확실성을 포함한 손상 장에서 강성저감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교량 구조물에 분포된 손상 장은 매우 불확실하며 손상의 위치와 형상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손상 추정 문제는 균열이나 손상의 위치와 형상을 기지의 주어진 정보로 가정하고 손상을 추정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이러한 손상의 위치와 형태가 본질적으로 불확실하다는 가정 하에 이 불확실성을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도입하여 기술한다. 교량에 국부적으로 발생된 손상은 교량의 요소강성의 저감 분포로 변환되어 손상이 발생한 전체 시스템의 강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손상이 발생한 시스템의 전체 응답을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는 손상 분포의 개략적 중심을 표현하는 평균 변수와 강성 저감의 비국소적 분포 특성을 묘사하는 표준편차 변수, 손상 중심의 손상 정도를 표현하는 강성저감 변수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손상 장에서 손상의 위치나 형태에 대한 확률적 불확실성을 기술하는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포함한 유한요소모델을 정식화하여 제시한다. 또한 단일 또는 복합 균열로 인해 교량 구조물에 국부적인 손상이 야기된 경우에 대한 수치 예제를 통하여 균열 등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하더라도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통해 강성 저감 효과가 분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ccurate Comparison of Nonlinear Solution Which Used Tangent Stiffness Equation and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접선 강성방정식과 비선형 강성방정식을 이용한 비선형 해의 정확성 비교에 관한 연구)

  • Kim, Seung-Deog;Kim, Nam-Seok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2
    • /
    • pp.95-103
    • /
    • 2010
  • This paper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The large structure must have thin thickness for build the large space structure there fore structure instability review is important when we do structural design. The structure instability of the shelled structure is accept it sensitively by varied conditions. This come to a nonlinear problem with be concomitant large deformation. Accuracy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must improve to examine structure instability. In this study, space truss is analysis model Among tangent stiffness equation and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is using nonlinearity analysis program. The study compares an analysis result to investigate accuracy and convergence properties improvement of nonlinear stiffness equation.

  • PDF

The Element Stiffness Ratio and Outrigger Locations for Optimum Design Model in Preliminary Design of Outrigger Structures by G.A. (G.A.를 이용한 아웃리거 시스템의 초기설계단계에서 부재 강성비 및 아웃리거 위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Lee, Eun-Seok;Choi, Se-Woon;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21-724
    • /
    • 2010
  • 아웃리거 시스템은 고층건물의 구조설계 시에 횡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효율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조시스템 중 하나이다. 아웃리거는 설치 위치의 최적성에 따라 횡변위 제어효과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1970년대 이후부터 아웃리거의 최적위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아웃리거의 최적위치는 구조물의 전단벽, 아웃리거, 외각기둥의 요소간 강성비에 따라 변하는 값이므로, 아웃리거 시스템의 횡변위는 요소간 강성비와 아웃리거 위치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초기구조설계 단계에서 아웃리거의 위치에 대한 결정과, 각 요소간 강성비의 선택은, 전체 구조 시스템의 효율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아웃리거 시스템의 최적 효율을 보장하면서, 구조물의 초기 설계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아웃리거의 최적위치와 요소간 강성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A(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초기 설계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고층건물의 횡변위를 최소로 하는, 아웃리거의 최적 위치 및 요소간 강성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공된 예제 건물에 적용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해 본다.

  • PDF

Static Analysis of Frame Structures Using Transfer of Stiffness Coefficient (강성계수의 전달을 이용한 골조구조물의 정적해석)

  • 최명수;문덕홍;정하용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6 no.1
    • /
    • pp.9-18
    • /
    • 2003
  • In static analysis of a variety of structures, the matrix method of structural analysis is the most widely used and powerful analysis method. However, this method has drawback requiring high-performance computers with many memory units and fast processing units in the case of analyzing accurately structures with a large number of degrees-of- freedom. Therefore, it's very difficult to analyze these structures accurately in personal computers. For overcoming the drawback of the matrix method of structural analysis, authors suggest the transfer stiffness coefficient method(TSCM). The TSCM is very suitable to a personal computer because the concept of the TSCM is based on the transfer of the stiffness coefficient for an analytical structure. In this paper, the static analysis algorithm for frame structures is formulated by the TSCM. We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SCM through the comparison of computation results by the TSCM, the NASTRAN, the matrix method of structural analysis and the analytical solution.

Effect of Shear Wall Stiffness on Optimal Location of Core and Offset Outrigger Considering Floor Diaphragm (바닥 격막을 고려한 코어 및 오프셋 아웃리거 구조의 최적위치에 대한 전단벽 강성의 영향)

  • Kim, Hyong-K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5
    • /
    • pp.37-47
    • /
    • 2019
  • The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location of core and offset outrigger system considering floor diaphragm. To accomplish this aim, a structure design of 70 stories building was performed by using MIDAS-Gen. And the leading factors of the analysis research were the slab stiffness, the stiffness of shear wall and the outrigger position in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analyzed and studied the influences of the shear wall stiffness and the slab stiffness on optimal location of core and offset outrigger considering floor diaphrag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tudy indicated whether the slab stiffness, the stiffness of shear wall and the outrigger position in plan had an any impact on optimal location in outrigger system of tall building. Also the paper results can give help in getting the structural engineering materials for looking for the optimal position of outrigger system in the high-rise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