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장산술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 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419-434
    • /
    • 2016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산학서인 "주서관견(籌書管見)"의 내용 구성 체계와 구장(九章)의 내용을 동양의 대표적 산학서인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서관견"의 내용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산학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서관견"의 구장(九章)과 "구장산술"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한 결과 "주서관견"의 문제는 "구장산술"의 문제와 대부분 그 구성 및 형식이 유사하고 주어진 조건의 수치까지는 일치하지 않으나 동일한 유형의 문제가 많다. 또한 "주서관견"의 문제가 심화 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주서관견"은 "구장산술"과 다른 산학서들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여 "주서관견"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이 우리나라 수학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구장산술의 수학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the Values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on Mathematics Educational Viewpoint)

  • 한길준;서주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1-72
    • /
    • 2004
  • 본 연구는 동양 최고의 수학서로 꼽히는 구장산술에 주목하여 수학교육학적 측면에서 가치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구장산술은 실생활 문제를 통하여 수학에 접근하고 있으며 개념과 유형별로 알고리즘화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오늘날 수학교육에 부합하는 가치를 고찰하였다. 또한, 구장산술이 가지는 역사적, 수학적 업적을 분석하여 수학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정의적 영역에서의 의의를 찾고,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해법과는 다른 풀이를 보여주는 계산법에 주목하여,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과 그 가치를 제시하였다.

  • PDF

역사(歷史) 사회(社會) 환경(環境)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구조(構造) (Historical and Social Environm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 강신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2
    • /
    • 2006
  • 중국(中國)의 산경(算經)에서 제일(第一) 먼저 우리의 관심(關心)을 끄는 것은 구장산술(九章算術)이다. 그러나 이천삼백년(二千三百年) 전(前)부터 존재(存在)하였다고 추측(推測)할 뿐 편저자(編著者)나 제작년도(製作年度)는 미상(未詳)이다. 여기에 있는 문제(問題)들을 수학적(數學的)인 명(面)에서 검토(檢討)하여 보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역사(歷史)나 사회적(社會的) 환경(環境)과 관련(聯關)시켜 분석(分析)하고 추론(推論)하여 구장산술(九章算術)의 구조(構造)를 밝혀낸다.

  • PDF

한간 "산수서" 와 "구장산술" 의 비교

  • 차종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273-280
    • /
    • 2003
  • 1983년 말 중국 형주시 소재 강릉장가산 247호 묘에서 죽간의 형태로 출토된 ${\ulcorner}$산수소${\lrcorner}$ 는 그것이 엮어진 시점이 유휘의 ${\ulcorner}$구장산술${\lrcorner}$ 보아 최소한 450년 가량이나 거슬러 올라간다는 점에서 동야수학사의 기원을 크게 앞당기게 하는 막중한 의의를 지니는 문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석문 자체가 최근 들어와서야 겨우 공개되었을 뿐, 현재로서는 자료에 대한 평가와 내용 분석은 물론, 변역마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 있다. 이 글은 ${\ulcorner}$산수서${\lrcorner}$${\ulcorner}$구장산술${\lrcorner}$ 의 내용을 배교하여 ${\ulcorner}$산수서${\lrcorner}$ 의 특징을 밝히는 동시에 동양수학의 초창기 발달의 궤적을 더듬어 보려는 시도이다. ${\ulcorner}$산수서${\lrcorner}$ 는 '상승(相乘)'에서 '이전(里田)'까지 이어지는 70개 제명(題名)하에 서술되어 있는데, 제명들은 주제를 나타내는 것과 산법을 나타내는 것을 혼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내용 가운데에는 '여직(女織)', '우시(羽矢)', '소광(少廣)' 등이 문제처럼 ${\ulcorner}$구장산술${\lrcorner}$ 의 그것들과 기본적으로 같거나 유사한 것들이 다수 발견되어 고대수학 전통의 연속성을 엿볼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의료수가 문제인 '의(醫)'처럼 ${\ulcorner}$산수서${\lrcorner}$에서만 발견되는 것들도 더러 눈에 띈다. ${\ulcorner}$산수서${\lrcorner}$${\ulcorner}$구장산술${\lrcorner}$ 사이에 이루어진 수학 발달은, 이를테면, 제급근 사이에 있어서 전자의 경우에는 $\sqrt{240}$$15\frac{15}{31}$로 계산한 데서도 드러나듯이 보간법에 의존한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온답을 제시하는 데 하등의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는 차에서도 확인된다.

  • PDF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남병길의 <구장술해九章術解>의 교육적 활용 방안 (Pedagogical Approach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and Nam Byung Gil's GuJangSulHae)

  • 정해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03-116
    • /
    • 2011
  • 동아시아 수학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문헌은 <구장산술九章算術>이다. 이 책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주석가들에 의해 보완되고 재해석되며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쳤다. 우리나라 역시 이 영향권 안에서 삼국시대 이래로 <구장산술>을 기본 산학서로 취급해 왔고 19세기 조선 수학자 남병길은 이 책에 대한 주석서 <구장술해九章術解>를 출판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책의 구성과 내용을 확인하고 그것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모색해본다.

수학철학적 관점에서 본 <구수략> ( on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 정해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7-82
    • /
    • 2009
  • 본 연구는 최석정의 <구수략>을 수학적 측면보다는 수학철학적 측면에서 재조명한다. 최석정은 <구수략>을 통해 산학을 산학 자체만이 아닌 도학의 전통에서 산학을 정리하고, 산학의 기본 경서라 할 수 있는 <구장산술>을 소강절의 사상론을 바탕으로 재정립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산학에서 성립되는 법칙이 자연만물의 이치에 벗어나지 않는다는 최석정의 독특한 시각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구장술해》를 통한 《구장산술》의 이해 -방전장(方田章) 전반부의 용어와 어구의 의미를 중심으로 개념의 발달 과정에 주의하여- (Understanding 《Jiuzhang suanshu 九章算術》 through 《Kujang sulhae 九章術解》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Phrases in the First Half of Chapter One pangjeon 方田章, and Paying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Concepts-)

  • 강민정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07-231
    • /
    • 2015
  • We discuss several issues relating to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phrases in the first half of Chapter One fang tian 方田章 of ${\ll}$Jiuzhang suanshu九章算術${\gg}$. I understood those issues more clearly in the course of the translation of ${\ll}$Kujang sulhae 九章術解${\gg}$. Those are '今有' in the beginning of each problem, '積' and '冪' in the method of square field 方田術, '齊' in the method of reduction to a common denominator 齊同術, '經' and '有分者通之重有分者同而通之' in the method of dividing fraction 經分術, '實如法而一' in the calculation using the rods, '兩邪' in the method of trapezium field with a perpendicular side 邪田術. We may find out the value of ${\ll}$Kujang sulhae 九章術解${\gg}$ through our discussion.

구장산술에 포함된 증명의 유형과 역할

  • 이종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22
    • /
    • 2003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types and roles of ancient mathematical proof by exploring Gu-Jang-Sal-Sul. Gu-Jang-Sal-Sul is a ancient Chinese mathematics book. Types of proof contained in Gu-Jang-Sal-Sul are enactive proof and intuitive proof and the role of proof is explanation. And we suggest social background of proof in Gu-Jang-Sal-Sul topographically, culturally, and log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