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매 영향력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2초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의복관심 및 브랜드와 구매에 대한 태도 연구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다른 사람과 차별되며 특별하게 지각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의독특성 욕구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와의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 있어 문화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과정의 모형을 검증한 후, 두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대학생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85부-한국 271부와 미국 214부-만이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으며, Prelis 2와 Lisrel 8.53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소비자의 선택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모형의 구조에도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각 변수간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하위차원인 '독창적 선택'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두 그룹간의 반대의 성향을 보였으며, '비대증적 선택'과 '브랜드 인식'도 또한 한국 소비자는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미국소비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유사성을 회피하려는 한국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브랜드 충성도'는 두 집단 모두 '구매의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상매체의 PPL이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PPL of Visual Media Affects Clothing Purchase of College Students)

  • 송재욱;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31-339
    • /
    • 2006
  •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PPL광고가 실제 소비자인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PPL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그 차이가 유행관여도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또 이것은 실제소비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조사하였다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PPL인식도, TV나 영화에서 배우가 입은 의복 구매여부, 구매만족도, 유행관여도, PPL이 소비자의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행관여도를 기준으로 고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행에 민감하고 유행 관여가 높은 학생일수록 PPL광고에 등장하는 의복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PPL광고에 사용된 브랜드 중에서 기억하는 브랜드 수가 많았다. 유행관여도 저집단은 의복구매시에 또래의 스타일, 주변의 충고 등을 많이 참고하는 반면에, 유행관여도 고집단은 패션잡지와 PPL의복을 많이 참고하고 있었다. 또 PPL 의복을 관심 있게 보는 학생이 실제로 스타 옷을 많이 구입하고 있었다 PPL로 인한 의복구매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해당 브랜드, 기업, 제품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유행관여도가 클수록 기업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 PDF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들의 소비자 혁신성, 지각된 위험, 제품 구매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제품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veness, Perceived Risk, Product Purchase Inten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With Focus on Multi-group Analysis by Product Type)

  • 심태용;윤성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01-710
    • /
    • 2018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들의 소비자 혁신성이 지각된 위험을 매개효과로 하여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대상은 인터넷 쇼핑몰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총 405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들의 소비자 혁신성과 지각된 위험 및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관계수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혁신성은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위험은 소비자 혁신성과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 제품에 대해 쾌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에 대한 집단적 차이를 알아보는 다중집단 분석 결과 쾌락적 집단의 분석결과가 실용적 집단의 분석 결과보다 각 경로에 대해 통계적으로 강하고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인터넷 쇼핑몰의 제품구매에 있어서 실용적 제품보다는 쾌락적 제품의 경우 혁신성향이 구매의도에 더욱 강한(정) 영향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NS에서 소비자-브랜드의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연령을 기준으로- (The Effect of the Consumer-Brand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SNS -Based on Perceived Age-)

  • 김인옥;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825-842
    • /
    • 2023
  • 본 연구는 SNS 계정으로 화장품 브랜드를 구독하고 있는 10대에서 50대 남녀의 지각된 연령을 기준으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지각된 연령을 타인이 지각한 연령과 스스로 지각한 연령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저집단', '지각된 중집단', '지각된 고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구매동기 중에서도 '매력적'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세 집단은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만족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론은 지각된 연령집단별, 소비자-브랜드 상호작용과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브랜드 관계는 화장품 구매동기와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NS에서 지각된 연령이 화장품 브랜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화장품 판매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 및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각적 정보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객 참여와 프랜차이즈 가맹의 조절된 매개 모형

  • 신가영;유병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72
    • /
    • 2021
  • 구매 의사 결정 단계에서 이미지나 동영상의 영향력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정보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기업, 특히, 오프라인 기업의 성과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O2O 플랫폼에 입점한 10만 개 식당의 실제 예약 매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와 사업자가 O2O 플랫폼에 업로드한 사진 등의 시각적 정보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메커니즘을 이중 처리 이론 기반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저장하기, 공유, 리뷰 등 고객 참여와 프랜차이즈 가맹의 시각적 정보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중 처리 이론 기반으로 시각적 정보가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뿐만 아니라 실제 예약 매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직접적이고, 수익적인 측면의 기업 성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채널 전략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년여성의 외모관심도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의 50대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iddle-aged Women's Concern of Appearance and Buying Behavior of Cosmetics - With Special Reference to Women in their Fifties in the Kyungnam Region -)

  • 이상영;이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01-211
    • /
    • 2009
  • 경제성장에 힘입어 경제적 안정을 확보한 중년여성들이 점차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의 화장품 산업도 중년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상품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중년층의 사회적 활동과 다양한 여가 활동, 그리고 전반적인 미의식의 고취 등으로 인하여 중년층의 외모에 대한 관심도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구매심리를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외모관심도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정도가 화장품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군집에 대해 각각의 인자 점수에 대한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은 유형 1(108명)과 외모관심도가 낮은유형2(91명)으로 나타났다. 2. 화장품 구매행동 요인으로는 유행선도형. 충동구매형, 브랜드의존형, 심사숙고형, 계획구매형, 그리고 브랜드충성형 등 6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3. 화장품 구매행동에 외모관심도 수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s of Healthy Functional Food)

  • 차명화;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35-1442
    • /
    • 2008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가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과 같은 개인의 개성과 관련된 특성들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각 측정개념들의 요인분석 결과, 소비가치는 7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은 각각 1개씩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구성개념들의 신뢰도는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요인의 경우 .886, 감정적 가치는 .904, 인식적 가치는 .813, 사회적 가치 I는.734, 상황적 가치는 .872, 사회적 가치 II와 III는 각각 .600과 .576이었고, 건강동기의 신뢰도는 .883, 건강염려의 신뢰도는 .834, 식품몰입의 신뢰도는 .883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소비가치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사회적 가치(${\beta}=.161$), 감정적 가치(${\beta}=.293$), 기능적 가치(${\beta}=.328$), 인식적 가치(${\beta}=.290$), 상황적 가치(${\beta}=.196$)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변수들(F=37.582, 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다섯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4%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건강염려만이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 I(SV-I)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이 있는 것으로(F=4.409, p<0.05)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해 1단계에 투입된 사회적 가치 I의 $R^2$(.017)와 2단계에 투입된 건강염려 변수의 ${\Delta}R^2$(.025)이 유의적이었으며, 독립변수인 사회적 가치 I와 조절변수인 건강염려와의 상호작용항(SV I * HC)이 투입된 3단계의 ${\Delta}R^2$(.015)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및 선택 과정에 대한 소비자 측면의 실증적 연구로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마케팅 전략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식품선택과 관련한 연구영역에서 소비가치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건강기능식품 및 다양한 식품의 선택 및 구매에 대한 연구에 소비가치 개념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염려 변수와 같은 식품관련 개성 특성들이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조절작용을 갖는 변수임을 확인한 점은 향후 보다 다양한 개성 관련 식품 특성들의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립된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건강기능식품 구매 집단과 비구매 집단별 적합성을 향후 연구에서 판별 함수로 검증한다면 본 회귀모형이 보다 정확하게 식품 선택 연구 모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지역적 한정성과 연구대상자의 연령층이 대학생으로 제한된 점은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의사소통과 의복관심이 청소년의 의복구매영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Interest in Clothing on Adolescents' Clothing Purchase Influence)

  • 문정미;김수경;임숙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93-10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of adolescent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n their clothing purchasing influence and the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nd clothing interest. The questionnaires used for the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analysis was and were distributed to four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576 responses questionnai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packag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test were applied. The stud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clothing purchasing influence of adolescents was higher than the parents' purchasing influence. Seco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wo levels of family communication, controlled and opened communication. But, bu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ntrolled communication and clothing interest, and between clothing interest and purchasing influenc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factors and levels of communications, clothing interest and purchasing influence. Fourth, for male students social status, opened communication, and clothing interest had an effect on purchasing influence for male students and for female students clothing interest and both controlled and opened communication influenced were affecting purchasing influence for female students.

전시회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xhibition's Imag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김시중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9-430
    • /
    • 2017
  • 본 연구는 전시회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재방문 및 추천), 그리고 방문객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대전국제와인페어 방문객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전시회 이미지 분석결과 6개 요인(신기성, 체험성, 구매성, 유희성 및 이용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전시회 이미지 요인에서 신기성, 체험성, 구매성, 유희성 및 이용성 요인의 순으로 방문객 만족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토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방문과 전시회 이미지 요인 간 영향 관계에서 신기성, 구매성, 체험성, 유희성, 향토성 및 이용성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천의도와 전시회 이미지 요인간 영향력 검증 결과, 신기성, 체험성, 유희성 및 구매성 요인이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향토성 및 이용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객 만족은 행동의도(재방문 및 추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다국적기업의 전략적 그린 SCM 구축과 시장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Strategic GSCM of the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its impact on the Market Performance)

  • 김길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513-532
    • /
    • 201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존 공급망관리에 그린을 강화한 그린 SCM(GSCM)의 주요 활동들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기업 공급망의 다양한 친환경 활동들을 요인분석에 투입한 결과 녹색구매, 녹색생산, 녹색물류, 역물류 등 4개 주요 활동요인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한 후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GSCM 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구매와 녹색생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반면, 녹색물류와 역물류는 유의수준이 낮아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용 절감과 증가 효과가 같이 나타남으로써 통계과정에서 변수의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편 GSCM 활동과 기업경쟁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녹색물류를 제외한 녹색구매, 녹색생산, 역물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선행연구와 같이 GSCM 활동이 전반적으로 제품품질, 생산능력, 기업이미지, 고객만족도 등과 같은 기업경쟁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외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이 친환경성을 요구하는 고객니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녹색물류 등을 포함한 친환경 혁신활동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GSCM을 전략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