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L of Visual Media Affects Clothing Purchase of College Students

영상매체의 PPL이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 Song, Jae-Wook (Dept. of Fashion Design & Textiles, Inha University) ;
  • Na, Young-Joo (Dept. of Fashion Design & Textiles, Inha University)
  • 송재욱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디자인) ;
  • 나영주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디자인)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PPL(Product Placement) of visual media can change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nsumer's conception about PPL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PL conception ant fashion innovation/fashion sensitivity of students, resulting into their real purchasing behavior. We surveyed to about 189 college students living near Seoul, with questionnaire about PPL conception, purchase of PPL clothing, satisfaction on PPL clothing, fashion innovation, opinion about PPL, PPL apparel brand to recall, etc. According to dichotomy of college students by fashion innovation, as higher fashion innovative they were, they paid more attention on PPL clothing while watching TV or movie, and they also could recall more PPL apparel brands, and they purchased more PPL clothing. While the students with low fashion innovation had references from the opinion of friends or around people when purchasing their clothing, the students with high fashion innovation did from fashion magazine or PPL clothing. The students who thought that PPL was important and effective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swered that their preference to PPL bran4, to the company, and to the product had increased positively, but not to the actor/actress.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PPL광고가 실제 소비자인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PPL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그 차이가 유행관여도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또 이것은 실제소비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조사하였다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PPL인식도, TV나 영화에서 배우가 입은 의복 구매여부, 구매만족도, 유행관여도, PPL이 소비자의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행관여도를 기준으로 고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행에 민감하고 유행 관여가 높은 학생일수록 PPL광고에 등장하는 의복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PPL광고에 사용된 브랜드 중에서 기억하는 브랜드 수가 많았다. 유행관여도 저집단은 의복구매시에 또래의 스타일, 주변의 충고 등을 많이 참고하는 반면에, 유행관여도 고집단은 패션잡지와 PPL의복을 많이 참고하고 있었다. 또 PPL 의복을 관심 있게 보는 학생이 실제로 스타 옷을 많이 구입하고 있었다 PPL로 인한 의복구매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해당 브랜드, 기업, 제품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유행관여도가 클수록 기업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