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 촬영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Mobile Image Capture System based on Streaming for Dental Disease Management (구강 질환 관리를 위한 스트리밍 기반 모바일 촬영 시스템)

  • You, Eun-Jae;Lee, Hyoun-Sup;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103-104
    • /
    • 2018
  • 치과의 모든 정보뿐만 아니라, 공급 사슬관리, 고객의 정보까지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므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개발의 범위보다는 환자의 구강 정보의 원활한 처리를 위한 서버 구축 및 영상의 질 및 촬영의 용이함을 위한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이 필요하다. 영상정보 판독을 통해 치주염의 위험을 보고 환자들의 치과 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치료 적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구강 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스트리밍 기반 모바일 촬영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환자 자신이 구강 내의 이미지를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환부를 직접 확인해 가며 조절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스트리밍 기법을 제시하며, 이 과정에서 프레임의 버퍼링 및 딜레이 현상을 사용자의 개입없이 자동 조절하는 기능을 제안한다.

  • PDF

Assessment of Effective Dose by using additional Filters in Dental Radiography: PC-Based Monte Carlo Program Analysis Subjected on Intraoral Radiography (치과 방사선 촬영의 부가 필터 사용에 따른 유효선량 평가: 구내 촬영에 대한 PC-Based Monte Carlo Program 분석)

  • Kwak, Jong Hyeok;Kim, A Yeon;Kim, Gyeong Rip;Cho, Hee Jung;Moon, Sung Jin;Kil, Sang Hyeong;Lee, Jong 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5 no.4
    • /
    • pp.491-498
    • /
    • 2021
  • In this study, the effective dose was measured using the PCXMC v2.0 program by examining the conditions used to set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for intraoral imaging recommended by the government, and the effect of the Al additive filter was confirmed. In oral imaging, the largest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from the oral mucosa among 11 organs. The effect of the Al additive filter showed an excellent radiation reduction effect at 2mm rather than 1mm. In the case of children aged 5 years, the overall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to be high in all 11 organs because they are more sensitive to radiation than adults. An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use of an additional filter during intraoral imag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NR and CNR changes compared to before the additional filter was used. Based on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dditional filter settings can be recommended for intraoral imaging.

Anatomic Study on the Lacrimal Duct using Computerized Tomograph

  • Choung Pill-Hoon;Lee Ui-Lyong;Hong Jong-Rak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5 no.2
    • /
    • pp.109-112
    • /
    • 2002
  • 구순 구개열 환자의 악교정 성형수술로 구강내 Le Fort II 골절단술이나 비중격 성형술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때 비골의 외측골절단술을 요하며, 이에 대한 술 후 합병증으로 비루관의 폐쇄나 비골의 분쇄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악안면기형 환자를 다루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에게 비루관의 웅용해부학적 연구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을 기준으로 촬영된 컴퓨터 단충 촬영에서 비루관의 위치와 크기를 조사하는데 있다. 2000년 7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비상악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최단거리와 비루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을 측정하였다. 우측비상악 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거리는 5.68mm이고, 좌측은 5.67mm였다. 좌우 및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의 해부학적 지견은 악기형 수술시의 비루관 폐쇄라는 합병증의 예방책으로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Study on the Conventional Tomographic Findings for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턱관절장애환자의 일반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 Seo, Seong-Jong;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77-290
    • /
    • 2001
  • 영상촬영술은 개방형 외과적 관절수술이나 관절경 검사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관절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것의 주된 목적은 진단과 치료계획과정을 도와주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중 방사선 촬영술은 턱관절의 구조적 질병을 진단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으로서 오래동안 사용되어 왔 다. 그러나 어떠한 방사선 소견이 개별 관절질환의 특징적 소견인지는 찾아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통상적 턱관절 방사선 촬영술로서도 구조적 골변화를 찾아낼 수 있으며 특히 시상 단층촬영술은 턱관절에서 가장 유익한 정보를 보여준다고 한다. 또한 보고에 의하면 턱관절 장애는 다양한 해부학적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 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턱관절 장애환자의 턱관절에서 나타나는 골변화를 찾아내고 이러한 골변화가 하악과두 수평각, 하악과두 형태, 과두위치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과 서로 관련이 있는 지 찾아보고저 하였다. 단국치대 구강내과 안면동통진료실에 내원한 256명의 환자 중, 턱관절장애를 편측으로만 호소하는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SCANORA를 이용하여 방사선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먼저 악하두정위 촬영을 통해 정중선에 대한 하악과두의 방향을 찾아내고 단층촬영 부위를 계산하였으며, 모든 촬영면은 4 mm 두께로 하고 턱관절 부위에만 국한되도록 조준하였다. 폐구 시 4개의 시상 촬영과 개구 시 한개의 시상 및 전두촬영상을 구한 후, 하악과두, 과두 형태 및 하악과두위치 등과 같은 요인들에 대한 골변화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저 자료를 측정한 후 Contengency table analyse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결론적으로 하악과두의 형태, 하악과두의 수평각 및 하악과두의 위치 등은 턱관절의 골변화와 상호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하악과두상의 골변화는 과두가 후방위치되고 과두각이 25도 이상 크며, 특히 20대에서는 flat type, 40대에서는 angled type의 과두형태를 가지며 두 과두각의 차이가 9도에서 12도 정도로 큰 차이가 있는 남성환자에서 증가한다.

  • PDF

Radiologic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측두하악관절의 영상진단)

  • Park, Hyok;Chung, A-Young;Jung, Da-Woon;Kim, Seong-Tae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3
    • /
    • pp.291-299
    • /
    • 2012
  • There are many kinds of techniques for imaging temporomandibular joints. None of them for imaging "best fit" for every pati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is recommended ideally. It is more important to be able to select the modality that is most adequate and appropriate for a given clinical issue.

Evaluation of alveolar bone density by intraoral periapical radiography (구강 내 치근단 방사선 영상을 이용한 치조골 골밀도 측정의 유용성 평가)

  • Park, Eun-Jin;Kim, David-Hyungjin;Kim, Eun-Su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2 no.3
    • /
    • pp.233-238
    • /
    • 2014
  • Purpose: A method detecting change of jaw or alveolar bone density may be helpful in periodontal care, implant dentistry and evaluation of bone density of whole body.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bone density of intraoral periapical radiography using phantom-integrated XCP is compared with that of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 Results: Bone density of intraoral periapical radiography and the one measured by QCT showed high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92, P<.001) in alveolar bone, an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0.73, P<.001) in cancellous bon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possibility of scoring of bone density by intraoral periapical radiography.

Implementation of oral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and embedded imaging module (스마트폰과 임베디드 촬영 모듈을 활용한 구강 환자 관리 시스템 구현)

  • Lee, Hyoun-sup;Youn, Joo-sang;Kim, Jin-d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4
    • /
    • pp.581-586
    • /
    • 2018
  • A common characteristic of many patients whose illness is getting worse is that they miss the treatment red flag. When high subjective symptoms appear or there is no strong pain, this problem arises because it is reluctant to visit the hospital. Gingivitis causes bleeding from the gums in the early and mid-term, and shows mild symptoms of tooth collapse. When treatment is done at this point, it shows a very high effect. However, when you miss the timing of treatment you will have a situation where you can't eat food by causing serious problems in the health of the gums and oral cavity. In this paper, the patient's periodontal image is photographed with a smartphone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This is done by the doctor in charge. Then, we propose a design of a pati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patient so as not to miss the timing of treatment.

Effects of a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Augmented Reality on Self-efficacy, Interest in Learning, Flow, and Practice Satisfaction (증강현실형 치과방사선촬영 시뮬레이터의 개발 및 효과검증 : 자아효능감, 학습흥미도, 학습몰입도, 실습만족도를 중심으로)

  • Gu, Ja-Young;Lee, Jae-Gi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9
    • /
    • pp.1811-18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augmented reality (AR) on user learning context.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217 dental hygiene students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the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AR, and the control group was presented with task information using a textboo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the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AR had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terest in learning, flow, and practice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hown the task information using a textbook. Therefore, the AR-based radiography simulator can be utilized in dental radiology practice education as an effective educational device.

Study on the Skin Temperatures of the Orofacial Trigger Points for the Patients with TMJ disorders (턱관절장애환자의 안면 발통점의 피부온도에 대한 연구)

  • Jung, Deuk-Ji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4
    • /
    • pp.345-353
    • /
    • 2001
  • Thermography는 신체 체표면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정량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이다. Electrothermography는 의학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술식이다. 인체를 포함한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그래서, Wien의 법칙에 따르면, 방출되는 최대에너지에서의 주파수는 체온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최근에는, electrothermography가 만성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새로운 진단 기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증상이 있는 교근, 측두근, 그리고 측두하악관절의 발통점의 피부 온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 온도를 디지틀 적외선 체열 촬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하고 편측성의 구강안면동통을 호소하는 21명의 내원환자를 선택하였다. 디지틀적외선 체열촬영은 DTI-16-DOREX21(Dorex Inc., U.S.A) 기기를 사용하였다. 발통점 피부에 marker를 부착하고, 좌측과 우측의 color thermogram을 $0.1^{\circ}C$ 해상도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한 발통점은 masseter inferior, masseter anterior, temporalis anterior 그리고 TMJ이었다.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급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5). 2. 만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3.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적외선 체열촬영은 급성저작근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유용한 진단방법의 한가지로 사료되며, 앞으로 임상적으로 더욱더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Rate of Error with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에서의 실책 비교 연구)

  • Lee, Kyeong-Hee;Park, Il-Soon;Jung, Jung-Oc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3
    • /
    • pp.155-1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necessary for guiding students in the future by grasping which rate of error is made how much depending on a shooting technique in the filming of periapical radiograph. 14,402 films, which were instructed targeting stud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D Health College and S Health College,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63 students who completed the shooting practice lesson of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1. In case of having shot with bisecting angle technique, the ratio of error was the highest in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 2. In case of having shot with paralleling technique, the ratio of error was the highest in the maxillary bicuspid and the mandibular first molar. 3. As for ratio of error in light of a shooting technique, both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inaccuracy of film position. The bisecting angle technique was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ratio of error compared to the paralleling technique. 4. As for ratio of error in light of the processing technique, both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were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dark image and light image. The bisecting angle technique was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ratio of error compared to the paralleling technique. 5. Students were indicated to feel it to be most difficult for grasping the processing level in the film-developing process. As the above results, to reduce ratio of error given the periapical radiography, a method of reducing ratio of error given the periapical radiography is considered to be what correctly understands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ructure inside the mouth and what acquires the shooting technique by filming several times with having enough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