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점막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3초

홍순에 발생한 출혈성 궤양 병소의 증례보고 및 감별진단 (Case Report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Hemorrhagic Ulcerative Lesions on the Vermilion Zone)

  • 이경은;정원;조남표;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99-105
    • /
    • 2011
  • 홍순(red zone 또는 vermilion zone)은 해부학적으로 입술의 피부부위에서 구강점막으로 이행되는 부위로 선 구순염, 접촉구순염, 구각 구순염, 형질세포성 구순염, 박탈성 구순염, 광선 구순염, 육아종성 구순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순염과 감염성 질환, 양성 및 악성 종양, 다른 전신질환의 피부증상과 관련된 병소들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홍순에 발생한 궤양성, 출혈성, 가피를 형성한 병소들에 대해 형질세포 구순염과 Stevens-Johnson syndrome(SJS)과 관련된 홍순 병소를 경험한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에 발생한 뮤코르 진균증의 치험례 (MUCORMYCOSIS IN MAXILLA : A CASE REPORT)

  • 김여갑;김주동;류동목;이백수;오정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1호
    • /
    • pp.69-73
    • /
    • 2004
  • 뮤코르 진균증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종종 치명적일 수 있으며, Phycomycetes종의 기회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이 미생물은 부생의 호기성 진균(saprophytic aerobial fungus)이며 구강 점막, 부비동과 목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며 부패해 가는 식물, 거름, 고당 함유 음식 등에 나타난다. 뮤코르 진균증은 다양한 유형의 임상 형태로 면역결핍환자들에서 빠른 진행과 높은 치사율로 나타난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에서 두경부 영역에 감염된 예는 거의 없다. 본 교실에서는 58세 당뇨병이 있는 남자 환자에서 상악에 발생한 뮤코르 진균증의 증례에서 외과적 절제술과 ampotericin B의 정맥내 투여로 치료 되었으며, 현재까지 특별한 재발 소견 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정상 구강 점막 소견의 구강 통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 (Treatment and diagnosis of oral pain without identifiable oral mucosa lesion)

  • 김태수;김상윤;남순열;노종렬;최승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3
    • /
    • 2008
  • Objectives : Oral pain without identifiable oral mucosa lesion is probably multifactorial origin, which include burning mouth syndrome (BMS), oral candidiasis and so 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ral pain without identifiable oral mucosa lesion and to evaluate treatment outcome of tho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50 patients without identifiable oral mucosa lesion who were complaint of oral pain. The pati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the sites, associated symptoms, laboratory tests and fungus cultu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their current diseases, smoking and alcoholic history, psychological factors, and symptom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60 years old.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site was tongue (92%), followed by palate, lower lip, oropharynx, and gingiva. 60% of the patients has psychological disorder as self reported. Culture for Candida was positive in 36% of patients and serum zinc deficiency was present in 60% of patients. Serum iron, vitamin B12, hemoglobin, folic acid deficiency were present in 6-2% of patients. Seventeen patients (65%) with BMS and twelve patients (66%) with oral candidiasi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Conclusion : We recommend oral candida culture to oral pain patients without oral mucosa lesion. Zinc supplementation of zinc depletion patients may be helpful whereas other laboratory tests have no diagnostic values.

  • PDF

구강점막 병소 환자의 치과재료에 대한 과민반응 평가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Dental Materials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Lesions)

  • 전희선;고명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4호
    • /
    • pp.355-364
    • /
    • 2000
  • This study was to find dental materials causing hypersensitivity reactions by carrying out patch tests in the patients with oral mucosal lesion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 etiology of oral mucosal lesions. 31 patients (female 26, male 5, age range 24-72 years) with oral mucosal lesions were classified as patient group, and 41 volunteers (female 24, male 17, age range 23-40 years) without oral mucosal lesion, systemic disease and history of allergy as control group.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various dental restorations in most of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29(94%) in 31 patient group, 35(85%) in 41 control group. 2. Among sites of oral mucosal lesions, buccal mucosa was the most common site with 60%, followed by gingiva with 24%, tongue with 16%. Lesions in contact with restorations were highly 90% in tongue and 89% in buccal mucosa, but comparatively lower 53% in gingiva. 3. The ratio of positive reactions to the patch test in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05). 4. Dental materials causing positive reactions to the patch test were mainly mercury(19%), potassium dichromate(16%), cobalt chloride(16%) in patient group, cobalt chloride(17%) in control group. 5. In 20 patients with lichen planus, 8 patients(40%) showed positive reactions to the patch test.

  • PDF

배양된 구강점막 각화상피세포가 누드마우스 피부 창상 치유에 미치는 효과 (THE INDUCTIVE CAPACITY OF PRIMARY CULTURED ORAL MUCOSAL KERATINOCYTES IN SKIN WOUND HEALING OF ATHYMIC NUDE MICE)

  • 김현실;김남희;김진;차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4호
    • /
    • pp.308-315
    • /
    • 2004
  •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promoted skin wound healing in skin defects with primary cultured oral mucosal keratinocyt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adult female nude mice weighing $20{\pm}2g$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Primary cultured and suspended oral mucosal keratinocytes, labeled with BrdU, were scattered onto $1.5cm{\times}1.5cm$ sized full thickness skin de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N=15), and no grafts were placed the control group(N=15). They were sacrificed at 3 days, 1 week and 2 weeks after the treatment respectivel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each wounds were performed to review the healing progress on measuring the length from the wound margin to regenerating epithelial front. The role of keratinocytes were assessed by doubl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BrdU and Anti-cytokeratin AE1/3.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wound was completely covered with regenerating epithelia in 2 weeks, but partially regenerated in the control group.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unexpectedly reveal that most of regenerating epithelial cells were induced from marginal epithelium of the margin, not from the scattered keratinocytes. Conclusion: We could successfully confirm that graft of primary cultured oral mucosal keratinocytes promotes the regeneration of skin defects.

Polydioxanone mesh를 이용한 구강점막의 조직 공학적 재건 (TISSUE-ENGINEERED RECONSTITUTION OF ORAL MUCOSA USING POLYDIOXANONE MESH)

  • 문선재;주소연;김진;김학용;박정극;차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49-256
    • /
    • 2003
  • The lack of sufficient oral mucosa available for intra-oral reconstruction has been dealt with by the use of skin or oral mucosa grafts harvested from donor sites but grafts requires more than one surgical procedures and could cause donor site morbidity. Many investigators have attempted to increase available soft tissue by tissue engineered skin or oral mucosa replacements for clinical applications. But, reconstructed mucosa by several methods have low physical properties such as rolling and contrac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e an in vitro experimental model that maintains an epithelial-mesenchymal interaction by organotypic raft culture, and to characterize biologic properties of three-dimensionally cultured oral mucosa embedded with Polydioxanone mesh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ral mucosa reconstructed by three-dimensional organotypic culture revealed similar morphologic characteristics to equvalent normal oral mucosa in the point that they show stra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2. The expression of cytokeratin 10/13 and involucrin in the cultured tissue showed the same pattern with normal oral mucosa suggesting that organotypic co-culture condition is able to induce cellular differentiation. 3. After insertion of polydioxanone mesh, increased tensile strength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ree-dimensional organotypic co-culture of the oral mucosa cell lines with the dermal equvalent consisting type I collagen and fibroblasts reproduce the morp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in vivo condition. And increased physical properties by use of polydioxanone mesh will helpful for clinical applications.

구개의 섬유종 : 증례보고 (FIBROMA ON THE PALATE : A CASE REPORT)

  • 김영재;장기택;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6-290
    • /
    • 2003
  • 섬유종은 구강 내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양성 연조직 종양이다. 대개 외상과 관련된 병력이 있으며 10대와 20대에서 호발하며 외과적 절제 후 재발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었다. 14세 여아가 구개에 생긴 연조직 병소의 진단과 처치를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로 의뢰되었다. 병소는 지난 6개월간 점차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외상병력과 구강 내 악습관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상 검사 결과 직경 3cm의 무증상인 점막의 경상 융기가 관찰되었고, 생검(biopsy) 결과 섬유종으로 진단하였다. 외과적 제거 후 4년간 재발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섬유종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과 감별진단, 증례의 진단과 처치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type I 환자의 치험례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TYPE I: CASE REPORT)

  • 윤은영;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86-590
    • /
    • 2009
  •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type I(LAD I)은 혈관 내피 세포에 백혈구가 부착하는 과정에 결함이 발생하여 혈관에서 감염부위로의 백혈구의 이주가 방해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재발성 감염증과 백혈구 증가증을 보이는 희귀 질환이다. 피부와 점막의 괴사성 감염, 장내 패혈증, 제대염, 중이염, 뇌수막염 등의 임상 증상을 보이며, 이러한 환자들의 주요한 구강 내 증상은 심각한 치주 질환과 치조골 소실, 치주낭 형성,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조기 상실을 보인다. 본 증례는 심한 사춘기전 치주염 소견을 보이는 LAD type I환자로 국소적, 전신적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치과 내원으로 치면 세균막 관리를 시행하였다. 감염 시 항생제 투여 및 세균 도말 검사를 시행하였다.

  • PDF

성인형 스틸씨 병에서 병발된 비인두암의 치료 및 문헌 고찰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Treatment of Nasopharyngeal Cancer(NPC) Patient with AOSD(Adult Onset Still's Disease))

  • 김준영;김진동;이경빈;이원재;나건웅;박원일;박기철;김태규;지준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19
    • /
    • 2014
  • 비인두암에서 시행되는 방사선 치료 이후에 구강건조증과 피부 변화는 흔하게 볼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비인두암의 좋은 예후를 고려할 때, 그러한 치료와 관련된 독성들은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문제를 야기하며 삶의 질 저하를 불러온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와 같은 결합조직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빈번하게 심각한 독성이 관찰된다. 본 증례는 성인형 스틸씨 병에서 병발된 비인두암의 치료로 항암방사선 동시치료를 실시한 결과, 비교적 경미한 구강 건조, 점막염, 불면증 등의 합병증이 관찰되었으나, 완전 관해가 획득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과거에 보고된 적 없는 성인형 스틸씨 병에 병발한 비인두암의 치료 경험을 다른 결합조직질환들에서 방사선 치료의 문헌들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자극성 섬유종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expression of mast cell and macrophage in irritation fibroma)

  • 한혜연;강남규;유미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4-180
    • /
    • 2013
  • 연구목적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내 증식성 병변이다. 상처치유의 초기 과정에서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가 섬유모세포의 이주, 증식, 아교질합성 등에 연관되어 있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고, 각각의 조직학적 아형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발현을 조사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82예의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 소견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자극성 섬유종과 10예의 정상 구강점막에 톨루이딘 블루 염색과 CD 68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계화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 통계 결과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는 자극성 섬유종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Spearman 상관계수는 0.693이었다. 결론 : 조직의 섬유화에 관여하는 비만 세포는 자극성 섬유종의 cellular type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식 세포도 자극성 섬유종의 모든 아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극성 섬유종의 형성 과정에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