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놀이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구강방어아동을 위한 능동적 구강놀이와 ASI적용효과 :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Active Oral Play and Ayres Sensory Integration (ASI®) for Child With Oral Defensiveness: Single Subject Research)

  • 성가영;최정실;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3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능동적 구강놀이 병행한 Ayres Sensory Integration®(ASI®) 적용이 아동의 구강 민감도와 섭식행동의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지연으로 진단받은 만 3세 6개월의 남자 아동을 대상으로 2018년 8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능동적 구강놀이 병행한 Ayres Sensory Integration®(ASI®)를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단일사례연구(single-subject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15회기의 중재를 시행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아동의 구강민감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임상 구강민감도 측정(Measuring Oral Sensitivity in Practice)을 실시하였다. 구강감각처리 어려움으로 섭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행동은 한국형 섭취 행동 검사(Korean Children's Eating Behavior Inventory; K-CEBI), 식품 섭취 빈도 체크리스트를 중재 전후로 실시하였다. 결과 : 능동적 구강놀이와 ASI 중재기간 동안 임상 구강민감도와 섭취행동의 문제는 감소하였고 편식행동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능동적 구강놀이 병행한 ASI 중재는 아동의 구강민감도와 섭취행동의 문제를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 박소희;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6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취학기 아동의 구강관리

  • 김제욱
    • 건강소식
    • /
    • 제32권4호통권353호
    • /
    • pp.34-35
    • /
    • 2008
  • 초봄에는 엄마 품을 처음으로 떠나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로 입학한 병아리 친구들을 볼 수 있다. 어른들이 보기에는 인생의 한 통과의례로 볼 수도 있지만 어린이들 입장에서는 심리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건강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단체 생활을 하므로 운동량이 많아지고 다른 친구들과의 접촉이 많아지므로 호흡기 질환에 걸리는 빈도가 잦아질 수 있다. 치과적인 측면에서도 취학기 아동은 치아 관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다. 만 6세부터 이갈이가 시작되어 평생 간직해야 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고,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급식을 할 경우에는 스스로 올바르게 이를 닦을 줄 알아야 하며, 친구들과의 놀이가 지나치면 치아 외상을 입는 경우도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 PDF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태백시 미취학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리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HANGES IN ORAL HEALTH CARE OF PRESCHOOLERS IN TAEBAEK CITY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 문상진;박재홍;최영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1-77
    • /
    • 2009
  • 본 연구는 올바른 구강보건교육과 칫솔질 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구강관리법의 변화와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좀 더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태백시 보건소에서 2003년 4월 1일부터 12월 16일까지 구강보건교육에 참가한 631명의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매회 약 20-30명 정도를 대상으로 약 30분 정도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치과의사의 직접설명과 아동들이 참여놀이를 이용하여 구강보건교육 후 칫솔질 교육과 불소 겔 도포를 시행하였으며, 불소도포 과정 중 대기하는 아동들은 구강보건교육 비디오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와 아동들의 구강 건강관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반기 교육 후 아동들의 부모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보건소에서의 전문가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한 후 치아우식증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으며,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가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다. 많은 아동들이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칫솔질 횟수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칫솔질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아동들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치아에 좋은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고 미약하나마 식습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조사를 통해 미취학 아동의 구강보건교육은 매우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정에서나 유치원, 치과에서의 구강보건교육의 확대가 요구된다.

  • PDF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섭식장애: 문헌 고찰 (Feeding Disorder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 민경철;신진용;김은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9-102
    • /
    • 2023
  • 목적 :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tic Spectrum Disorders, 이하 ASD)는 비전형적 감각 적응, 의사소통 문제, 상동 행동 등이 특징인 발달 장애로 섭식장애가 흔하게 동반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감각, 구강운동, 행동, 인지, 사회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까다로운 먹기, 선택적 먹기, 음식 거부, 새로운 음식 거부, 음식 다양성 제한, 음식 혐오 등 다양하다. 또한 건강 및 영양 섭취 문제, 섭식 발달, 섭식 관련 사회성, 가족과 보호자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기도 한다. ASD 아동의 섭식장애는 출생 후부터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진단이 이루어지는 3세 이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중재 제공 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섭식장애 증상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증상 자체는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기 평가 및 중재,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의 섭식장애 특성과 영향을 주는 요인, 중재법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로는 감각 기반 중재와 행동 기반 중재가 일반적이다. 감각 기반 중재는 음식 민감성, 행동 기반 중재는 음식 선택성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ASD 아동의 섭식장애 증상이 다양한 만큼 감각 및 행동 기반 중재를 기본으로 놀이와 참여, 구강운동, 식이와 일상생활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ASD 아동의 섭식장애 중재를 위한 적절한 평가와 중재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다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작업치료사 등 연하재활 전문가는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ASD 아동의 섭식장애 해결을 위한 적절한 평가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섭식장애가 있는 뇌성마비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구강 감각 놀이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Sense Play Treatment Program on the Social Enhancement in Dysphagic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오혜원;김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5-275
    • /
    • 2020
  • Purpose :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pply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have sensitive oral senses to find out the effect on oral sensory ability, oral function, performance ability and sociali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childr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and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s, including oral sensory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ly oral sensory programs were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Oral Sensory Treatment Level was used to identify the sensory profile and the overall oral function of the oral function was used, and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were examined to find out the performance of the work, and social skills were examined for social skills (SMS). Results : The level of oral sensory treatment, overall oral function, work performance and sociality all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 oral sense and oral function in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work performance and sociality.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oral sensory play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arbitration method for oral sensation, oral function, work performance and social enhanc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of arbitration protocol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ith oral sensory problems will have to be more 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