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 행태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4초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교 내 구강건강관리행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School)

  • 이선미;하정은;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6-70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대학생이 학교에서 구강건강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고,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구강건강관리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부산 소재 K대학 재학생 2,788명이었다. 남성은 1,536명(48.7%), 여성은 1,252명(51.3%)이었고, 전공별로는 보건계열이 670명(24.0%), 비보건계열이 2,118명(76.0%)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칫솔 휴대 비율은 보건계열 670명 중 473명(70.6%)였고, 비보건계열 2,118명 중 770명(36.4%)로 보건계열 학생이 칫솔을 휴대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을 휴대한 1,243명의 학생 중에서 외부에서 식사 후 칫솔질을 꼭 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해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보건계열이 74.8%로 비보건계열보다 높았고,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행태는 칫솔을 휴대하고 있는 그룹에서 학교 내 칫솔질 실천율과 치실이나 치간솔의 사용율, 음주 후 칫솔질 실천율이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에서 칫솔질 실천율을 조사한 결과, 학교에서 이를 닦는 비율은 42.8%로 나타나,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귀찮아서 이를 닦지 않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신념과 태도 및 지식을 올바르게 형성시키려면, 현 시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며, 칫솔 배분이나 칫솔 교체 사업 등과 같은 실질적인 대학생 대상 건강증진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일부 여학생들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전공별 구강보건 인식, 지식 및 행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ral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ccording to the Major of Some Female Students for Life Care)

  • 이미림;이효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49-158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와 보건계열학과, 비보건계열학과 여학생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행태 등에 관하여 비교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대학에 재학 중인 591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모두 치위생학과 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지식 수준은 치위생학과 학생(9.73)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보건계열(9.14), 비보건계열(9.05)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별 구강보건행태에서는 하루에 칫솔질 3회 이상하는 학생과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는 학생, 최근 1년 이내 치과정기검진을 받은 학생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순이었다. 최근 1년 이내 치석제거의 경험은 치위생학과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비보건계열, 보건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건강 관심도와 구강 건강 중요성의 인식도가 높아졌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칫솔질 횟수가 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 인식도가 높아지고 구강건강 실천도도 높아지게 되므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의 개발이나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지역 대학생(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의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in Some areas)

  • 윤성욱;이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1-7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국내 및 국외)의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을 SPSS WIN 12.0 분석한 결과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연령은 20-23세에서 성별은 여성이 올바른 칫솔질 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국내 및 국외)은 국내 대학생이 3번 이상 칫솔질, 점심 후 칫솔질, (치아, 잇몸, 혀) 닦는 경우, 3개월 안에 칫솔교체, 칫솔갯수 3개 이상, 칫솔질 교육을 받은 경우 높았다. Decayed Teeth index는 외국인 유학생, 점심 후 칫솔질과 칫솔질 교육이 '무', 치약 선택 시 고려가 높았고 Filled Teeth index는 20-23세, 여학생, 국내 대학생, 3번 이상 칫솔질, 점심 후 칫솔질과 칫솔질 교육이 '무'가 높았다. Missing Teeth index는 20-23세, 3개월 안에 칫솔교체가 낮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Y(DT index)=4.541-1.074(여성)+2.359(외국인 유학생)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올바른 칫솔질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Serious Dental Disease of Korea Elderly)

  • 원영순;박아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267-275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저해요인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중대 구강병으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행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로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아우식증 영향요인은 소득(p<.01), 건강검진 수진여부(p<.05), 최근 1년간 치통 경험 여부(p<.05), 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p<.01)로 나타났다. 치주질환 영향요인은 연령(p<.05), 직업(p<.05), 동반질환 여부(p<.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어 노인기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지역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Behaviors and Knowledge and Oral Health Belief of Workers in Certain Region)

  • 김영선;윤영주;고은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29-334
    • /
    • 2010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일부지역의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회수자와 부실한 응답자 21명을 제외한 479명 중 스켈링 경험이 있는 32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켈링 지식 평균은 6.44(10점 만점)이었고, 구강건강신념 평균은 2.72(5점 척도)이었다. 하부 영역 중 '유익성'이 3.24로 가장 높았고, '심각성'이 2.25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켈링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에서 성별은 '행동의 계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연령은 '심각성'과 '행동의 계기'에서 차이가 있었다(p<.05). 학력은 '심각성'에서 차이가 있었고(p<.01), 근무분야는 스켈링 지식과 '감수성' 및 '심각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5), 월수입은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05). 3.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의 차이에서 정기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경우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하지 않는 경우 '감수성', '심각성' 그리고 '장애성'에서 높았다(p<.05, .01, .001). 스켈링 주기는 짧을수록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01), '장애성'은 주기가 길수록 높았다(p<.01). 스켈링 동기는 자발적인 경우 스켈링 지식이 높았고(p<.01), 권유에 의한 경우 '행동의 계기'가 높았다(p<.01) 4.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정기적 스켈링과 스켈링 주기에서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은 역상관(p<.01), '심각성'과 '장애성'은 순상관(p<.05, .01)을 보였고, 스켈링 동기는 스켈링 지식과는 역상관(p<.01), '행동의 계기'와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5. 스켈링 지식과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장애성'과는 역상관(p<.01), '유익성'과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근로자의 치주건강을 위해서는 스켈링에 대한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홍보, 관리하여 6개월 주기로 정기적 스켈링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 비교 (Comparison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hecking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of single households)

  • 조필규;오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5-340
    • /
    • 2020
  •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라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종사상지위(정규직, 비정규직, 사업자) 및 연령별(20-59세)로 층화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총 566명). 고용형태별로 보면 정규직의 경우 수면시간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반면(p<0.001), 건강검진 및 구강검진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구강상태가 나빴음에도 불구하고(p<0.001),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본 연구는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행태 차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1인가구주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 환경을 만드는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일부지역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와의 관련성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Status in the Elderly)

  • 김은희;박민경;구인영;문선정;김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349-4358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및 구강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 연구대상은 65세이상 노인 231명으로 하였다. OHIP-14의 중위값을 산출하여 중위값(2.08) 보다 높은 그룹을 상위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은 그룹을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교차분석으로 측정하였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현재 구강상태, 저작지장, 치통, 잇몸질환, 구강건조증, 구취 항목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저작지장, 치통, 구강건조증, 잇몸질환 경험이 높을수록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발거가 필요한 치아와 관련된 요인분석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eeth needing extraction)

  • 강은정;유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29-436
    • /
    • 2019
  • 본 연구는 2013-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65세 이상 한국노인에서 발거가 필요한 치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4.037명). 그 결과, 치아발거필요의 위험도가 남성에서 1.84배, 연령에서는 75세 이상 1.52배, 소득 하에서 2.36배, 소득 중은 2.04배, 흡연자에서 1.44배 높았고,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할수록 1.44배, 1년간 구강검진을 안함 1.49배, 1년간 치과진료 치료 안함이 2.30배로 높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건강행태와 구강건강행태를 통해 발거필요치아와 관련된 위험요인의 근거를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노인의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구강보건교육 및 치과치료비의 경감을 통해 치과치료의 문턱을 낮출 수 있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근로자의 건강 행태, 구강건강 행태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eriodontal disease status)

  • 구인영;김한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97-60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n oral health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nd then, a basis data propose for integra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development and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4,600 workers working at a industrial plac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3, 2010 to September 12, 2010. using the results of the subjects medical check-ups and Oral examin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collected data included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smoking, drinking, exercise behavior as lifestyle factors, and waist measurement, fasting blood sugar level,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level of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a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dicato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18.0. Results : In results of the subjects medical check-ups, 14.1% were above the criterion value of waist measurement, 2.5% fasting blood sugar level, 8.5% hypertension, 16.8% Triglyceride level and 4.0% HDL-cholesterol respectively. according to oral examination results, showing that 43.3% inflammation of the gums. The inflammation of the gums was correlated with gender, age, dental clinic visit, scaling management, smoking, exercise behavior and high triglyceride level and hypertension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dicators. In addition,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Based on this study, the workers health should be managed actively and effectively by using periodical workers health check-ups. At a corporate level, the institutional supports were achieved and arranged for activation of regula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evention plan of metabolic syndrome were needed for changing exercise behavior by conducting suitable exercis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