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통제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 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7-192
    • /
    • 200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학생들의 기초구강건강관리실태에서 1년이내 치과방문경험 유무는 '있다' 54.1%, 예방치료유무는 '없다' 53.4%로 나타났다. 2. 대학생들의 현재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자각정도는 80.1%가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성별(p = .022)에서, 구강건강통제위는 전공(p = .000), 흡연유무(p = .004)와, 구강보건지식은 성별(p = .000), 전공(p = .000),연령구분(p = .000), 흡연유무(p = .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보건지식이 높아질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예방치료유무, 구강건강통제위,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PDF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정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10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지각요인과 구강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G 대학의 3년제 치위생과와 2년제 비보건계열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지각요인에서 자기 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행위 혜택 인지정도는 치위생과 학생이 비보건계열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건강행위 장애 인지정도는 비보건계열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실천 정도는 치위생과 학생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실천 정도를 보이는 항목은 음주와 흡연 절제이며 낮은 실천도를 보이는 항목은 치위생과 학생은 불소 함유 양치 용액 사용, 비보건계열 학생은 치실 사용으로 나타났다. 3.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기 효능감과 구강건강통제위는 구강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 이 두 변수가 높아질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각 세부항목인 요인 1, 요인 2, 요인 3의 실천 정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각 세부항목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요인 1, 요인 3, 전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자기 효능감이었으며, 요인 2는 구강건강통제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지-지각요인 중 자기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므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시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며, 구강건강증진행위별로 자기 효능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흡연청소년의 치아우식경험도 및 구강위생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s Status in Smoking Adolescents)

  • 신선행;김명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7-506
    • /
    • 2009
  • 흡연 청소년의 흡연형태 요인과 구강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10대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지역 소재하고 있는 S병원 건강교육원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에 참석한 일부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자 156명(남자: 103명, 여자: 50명)과 흡연군과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짝짓기 방식으로 선정한 비흡연군 176명(남자: 64, 여자: 1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 기초구강건강관리, 흡연형태요인,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지료를 수집하였다.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DMFT index, DT index, MT index, FT index, Plaque index, Calculus index를 사용하여 치아 및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방문(p < 0.05), 구강건강 자각적도(p < 0.001), 구강건강관심도(p < 0.01)는 모두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자기 효능감(p < 0.05),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01), 구강건강지식 모두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우식치수(p < 0.001), 치태지수(p < 0.001), 치석지수(p < 0.001)는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흡연량이 적을수록 우식치수 (p < 0.05), 치태지수(p < 0.01), 치석지수(p < 0.001)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우식치수와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 < 0.01). 6. 흡연량과 치태지수(p < 0.05), 치석지수(p < 0.05)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7. 다변량 분석결과 흡연 청소년의 우식치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5), 치태지수(p < 0.01)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치태지수가 낮을수록 우식치수가 적었다.

  • PDF

일부 지역 대학생들의 전신건강증진행위의 주요 요인들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ajor Factors in Gene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Up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Some Area Collegian)

  • 김정술;이병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63-571
    • /
    • 2011
  • 본 연구는 울산지역에 위치하는 2개 대학의 학생들 330명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로 인식된 기존의 변수들을 모아 구강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경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chi}^2$ 값은 39.06, 유의확률은 0.152, GFI= .982, AGFI= .948, NFI=.967, NNFI= .982, RMSR= .028로 나타나 자료와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모형에서 선정된 39개의 경로중 27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으며, 2개 경로는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여 총 27개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현재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과거구강건강경험(총효과=.805), 주관적 구강건강(총효과=.717), 지각된 장애성(총효과=-.226), 자기효능감(총효과=.179), 사회적지지(총효과=.192), 구강건강통제위(총효과=.120), 의도(총효과=.167)로 나타났다(P<.05). 4. 현재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과거구강건강경험, 주관적 구강건강,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의도, 구강건강통제위의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장애성은 부정적인 의미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과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on Dept of Dental Hygiene)

  • 김은미;이향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1-148
    • /
    • 2004
  • 본 연구는 2004년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전라남도 K시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치과위생과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 인지된 이익, 인지된 장애,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2.60 이었고, 하부요인으로 자아실현 2.89, 건강책임 2.12, 운동 1.89, 영양 2.45, 대인관계 2.97, 스트레스관리 2.63 이었다. 자기효능감은 2.56, 인지된 이익문항은 3.45, 인지된 장애 문항은 2.32, 건강통제위는 3.04, 자아존중감은 2.81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서는 학년, 종교, 경제수준, 가족질병경험,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하부영역중 자아실현은 학년,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종교,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책임은 학년, 종교, 경제수준, BMI(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영역은 모의 교육정도, 가족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영역은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 영역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학년,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인지-지각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유익성은 종교(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는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본인의 질병경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통제위는 학년(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r=0.376), 인지된 유익성 (r=0.188), 인지된 장애(r=-0.155), 건강통제위(r=0.064), 자아존중감(r=0.318), 인지된 건강(r=0.084), 인지된 구강 건강(r=0.165)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이 존재하였다. 5.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자아존중감,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구강건강 순서였으며, 이 네 변수를 투입하여 건강증진 행위 18.5%를 설명할 수 있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보았으나 설명력이 18.5%로 낮아 좀 더 많은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아기 자녀에 대한 모친의 구강건강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care behavior of mothers for young children)

  • 이세나;김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071-1081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ere to find out differences in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to find out factors that affected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 for their young children. Methods :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questionnaire about personal factor, cognitive factor, psychological factor and behavioral factor to 227 mothers. They had children from 3 to 5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2.0.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al health knowledges a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importance of oral health,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as mother's job, interest of oral health, importance of oral health,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mother' oral health care behavior for herself, interest of oral health, and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mothers's oral health care behavior for their children. Conclusions :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 for herself was the powerful factor that affected mot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 for her children.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과 그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som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relevant influential factors)

  • 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5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geared toward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of oral-health education programs in an effort to teach college students to be knowledgeable about oral health throughout their l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5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s for the basic oral health care of the college students investigated, 54.5 percent had ever visited a dental clinic over the last year, and 34.7 percent had their teeth scaled over the last year. Regarding self-awareness of current oral health state, 77 percent felt there s something wrong with their oral health.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to each selected variable, better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led to bett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As to their self-perception of oral health and influential factors, better toothbrushing, better dietary habits and periodical oral examination, which belonged to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followed by better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igher concern for oral health led to better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s well. Better toothbrushing, better dietary habits, periodical oral examination and better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concurrent with higher interest in oral health. Better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tronger concern for oral health were accompanied by bett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 PDF

치위생과와 일반계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행위 관련 요인분석 (Study 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general college)

  • 박영남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9-141
    • /
    • 2006
  •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cess abd to develop effective oral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modifying factors that may affect their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ir cognitive and perceptive factors.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college students who attend colleges located Chungchong and Busan province for the period between June 20, 2006 and July 30, 2006. The respondents were chosen from Dental department and Non-Dental department. After omitting the responses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409 valid responses a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major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Oral health behaviors factor is higher rate dental department than non-dental department, dental department than non-dental department appear significant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lasted year round oral examination, the used of oral hygiene supplies, oral prevention treatment. 2.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ception-awareness factor is higher score dental department than non-dental department and self efficiency is similar. Oral health behaviors is higher score dental department, the barriers to oral health behaviors is similar.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 is higher score dental department. 3. The oral health behavior is higher dental department. In dental department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oral health behaviors question is the correct teeth-brushing, self-restraint of liquor and cigarettes. Non dental department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oral health behaviors question is the correct teeth brushing, good nutrition. The lower average score is scaling and periodic oral examination.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perception-awareness factors,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self-efficiency are the control of oral health,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behavior of oral health,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control of oral health are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of oral health. And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barriers to oral health behaviors is the benefits of oral health behaviors, variables which appear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y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is oral health behavi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