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정지도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39초

우주환경모사용 열진공챔버 고진공게이지 교정결과 검토

  • 박성욱;서희준;조혁진;임성진;고태식;문귀원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4.1-114.1
    • /
    • 2013
  • 우주궤도환경은 고진공 환경이며, 태양복사열에 의한 고온환경 및 극저온환경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이다. 위성체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 지상에서 철저한 우주환경시험을 거쳐 기능 및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10^{-6}$ Torr 이하의 고진공 및 $-180^{\circ}C$ 이하의 극저온 모사가 가능한 열진공챔버와 같은 우주환경모사장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열진공챔버를 보유, 가동 주이며, 챔버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공게이지의 교정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교정기관을 통한 교정 이외, 보유하고 있는 표준챔버를 이용한 자체 교정을 실시하여, 진공도의 신뢰성 점검 및 보증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챔버를 이용한 고진공게이지 교정 방법을 소개하며, 다년간의 교정결과를 검토하여 교정주기에 대한 견해를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고려(高麗)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 나타난 교정(校正)의 흔적(痕迹) (Traces of Revision are in the Vol.60 Abstract of Tripitaka Koreana Hwayemgyeong)

  • 유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7
    • /
    • 2008
  • 본고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판각(板刻)이 완료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을 하여 보각(補刻)한 흔적(痕迹)을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서 찾아내어 분석한 것이다. 문제의 교정 흔적은 "건립지혜당(建立智慧幢) 견고불동요(堅固不動搖) '지(知)'천변화법(天變化法) 이현변화사(而現變化事)"의 내용 가운데 '지(知)'자(字)에서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문제의 '지(知)'자(字)는 여타의 문자보다 상당히 크고 묵색(墨色) 또한 다른 글자보다 매우 진했다. 이 현상에 의거해서 필자는 이 '지(知)'자(字)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판각(板刻)이 완료(完了)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되어 보각(補刻)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교정이 상당히 완벽했음을 입증해 주는 하나의 단서가 되는 것이다.

  • PDF

스피닝 로터 게이지 교정 불확도 (Calibration uncertainty of a spinning rotor gauge)

  • 홍승수;임인태;신용현;정광화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2003
  • 스피닝 로터 게이지는 표준기관의 고진공 국제비교에 전달표준기로 상용되고 있으며, 고진공 국가표준기인 동적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피닝 로터 게이지를 교정하였다. 교정 결과의 불확도를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권고한 A형 불확도, B형 불확도, 합성표준불확도, 확장불확도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평가한 스피닝 로터 게이지의 합성표준불확도는 $1.8007\times10^{-5}$ Pa ~$4.8422\times10^{-5}$ Pa 이었다.

포항가속기 연구소의 진공게이지 교정시스템 (Vacuum Gauge Calibration System in Pohang Acccelerator Laboratory)

  • 김형종;조복래;이해철;박종도;최우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82-388
    • /
    • 1994
  •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 사용될 진공게이지 교정시스템이 설계 제작되었다. 이 교정시스템은 동적 교정방법으로 설계되었으며 transfer standard 로서 spinning rotor gauge를 사용하였다. 포항가속기의 저장리에 사용될 모든 진공게이지는 교정시스템으로 교정을 하여 사용할 것이며, 주로 교정할 게이지로 는 Bayard-Alpert(BA) nude ionization gauge와 cold cathode gauge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포항가속 기의 진공게이지 교정시스템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고 현재까지 BA nude ioni-zation gauge 6대 extractor gauge 1대 high pressure gauge 1대와 cold cathode gauge 5대를 10-4에서 10-4 Torr 범위내 에서 교정하여 그 결과를 보였다.

  • PDF

펜 기반 웹 문서 교정을 위한 모호성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mbiguity Resolving for Pen-based Proofreading of Web Documents)

  • 손원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7-116
    • /
    • 2007
  • 전자펜을 이용한 문서교정 시스템에서 정확한 교정결과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문서 교정자가 드로잉한 교정부호와 문서내용간의 영역 모호성(ambiguity)을 해결하여야 한다. 한편 교정의 대상이 되는 전자문서가 HTML/XML과 같은 경우 교정된 문서구조가 반드시 기 정의된 DTD를 위배하지 않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펜 기반의 교정시스템에서 교정부호(마킹)와 대상문서간의 모호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인터페이스에서는 모호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정부호와 문서간의 컨텍스트(Context)를 반영하였으며 동시에 대상문서의 문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정 인터페이스는 기존 교정시스템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영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교정부호 입력에 따른 구조문서 변경시에도 원본문서의 DTD에 따르는 문서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 PDF

교정률 최적화를 위한 한국어 철자교정기의 모듈 배열 (A Research on Module Arrangement of Korean Spelling Corrector to Optimize Correction Rate)

  • 윤근수;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366-377
    • /
    • 2005
  • 본 논문은 한국어 철자교정기의 최적교정률을 보이는 모듈들의 나열순서를 찾는 연구이다. 철자교정기의 모듈 개수가 n개이면 모듈나열 경우의 수는 n!가지가 가능하므로 철자교정기의 최적 교정률을 계산하기가 힘들어 진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어 철자교정기는 현재 19개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데이타에 대해서 19!개 모듈을 적용하여 최적교정률을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데이타에 대해 이론적인 최대교정률과 최소교정률을 구하여 교정률 범위를 구하고, 최대교정률에 근접한 최적교정률에 대한 모듈나열순서를 구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최적교정률을 구하기 위해 경험적 지식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입력데이타는 신문사에서 몇 년간 발생한 오류어절 753,191개의 집합이다. 이 오류집합에 대해 철자교정기의 이론적인 최대교정률은 $97.28\%$ (732,764개/753,191개)이나 경험적으로 우리가 찾은 최적교정률은 $96.62\%$ (727,750개 /733,191개)이다. 철자교정기의 성능은 $99.31\%$ (727,750개 /732,764개)이다.

지역사회교정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Community-based Corrections)

  • 임병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389-392
    • /
    • 2010
  • 지역사회교정은 기존의 시설내처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형사절차 전반에 지역사회가 개입하여 사회내처우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는 시설내처우가 지닌 과밀 수용, 교정 프로그램의 효율성, 범죄의 학습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범죄자들의 진정한 사회복귀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교정 또한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인해서 지역사회교정의 개념과 문제점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교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담당기관 및 인력의 확충 및 담당 직원의 세심한 채용 및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전문화를 유도하며, 전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민간봉사자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지역기관, 지자체, 관계 당국 간의 이해와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교정의 실천단계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In-situ 진공게이지 교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n Apparatus for In-situ Vacuum Gauge Calibration)

  • 홍승수;임인태;조문재;정원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05-611
    • /
    • 2006
  • 정적법(constant volume method)을 이용하여 $1Pa\sim100kPa$ 영역에서 진공게이지의 직접교정 (direct calibration) 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는 피 교정 게이지의 이동 없이 in-situ 상태에서 비교교정(comparison calibration)도 가능하다. 이 장치가 개발됨으로서 산업체 교정기관의 생산성을 높이고 개발도상국에 국가 진공표준과 교정기술을 보급할 수 있게 되었다.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ain cause of influenc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and self-esteem of patients on orthodontic treatment)

  • 민경진;도정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09-113
    • /
    • 2009
  • 이 연구는 교정치료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구시내에 소재한 교정 전문치과 4곳에서 교정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정치료 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 자아존중감을 조사 분석하여 교정치료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H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을수록(P<0.01),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P<0.001), 가족의 권유로 교정치료 받는사람이(P<0.05), OHIP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자가(P<0.05), 미혼이(P<0.01), 수입이 많을수록(P<0.05),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온도교정기 RTD 저항 및 열전대 직류전압 교정기법 연구 (A Study on the Calibration Technique of RTD and Thermocouple System)

  • 오광석;이왕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39-448
    • /
    • 2016
  • 온도 측정을 위해 RTD와 열전대 센서가 산업이나 연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RTD 및 열전대의 온도 교정기에 대한 표준교정절차는 측정에서 포함되는 불확도의 교정 결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이들에 대한 표준교정절차가 확립되지 않아 다소의 불편함과 표준교정 업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도 교정기의 RTD 및 열전대에 대한 교정기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에 대한 수학적 모델과 교정결과 자료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