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재평가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utiliz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University (대학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정과 수업 개발 및 운영 사례)

  • Ju, Sue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1
    • /
    • pp.139-15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igital literacy of pre-service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by designing and applying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n virtual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six lessons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es were designed and applied as a clas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classes(TBL, discussion, and PBL)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es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was shown in terms of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the realism of actual classroom ca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es utilizing metaverse platform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school sites to increase the realism of lessons.

A Study o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Model by Disability Type for Youth

  • Lee, Hyun Ju;Lee, Won Joo;Jung, Hoe Ky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0
    • /
    • pp.261-268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youths with disability. This software education model consists of a four-step process. In the first step, it draws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software education for different types of disabled youth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field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econd step, it suggests achievement standards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the disabled students by classify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ies without any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third step, the study developed a modular textbook comprised of unplugged activities using coding robot Albert, physical computing, and block/text coding with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each type of disability. In the fourth step, it applied the textbook to the school field and educated disabled students focusing on experience to allow them to think logically and by stages about different problems they face in daily liv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youths'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rveys, it was shown that 82.3%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78.8% of visual impairments, 90.9% of hearing impairments, and 78.8% of physically disabilities achieved achievements above the "medium" level.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youths with disabilities proposed in this paper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computational chinking of youths with disabilit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verbally gifted student (영어 영재 학생의 심화학습 프로그램 개발)

  • Choi, Jong-Oh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3 no.3
    • /
    • pp.87-1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empirically whether or not the linguisticall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rogr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n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verb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otal number of the verbally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60 children. Half of them were subjects for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and the verball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other half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applying the teaching materials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by the present researcher, and the textbook enrichment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of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verball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program was especially effective in reading and writing, but not in speaking. second, the sub-category of reading includes factual, inferential·critical, and imaginary understanding. Among them, factual and imaginary understanding had not significantly advanced, while inferential·critical understanding had significant prog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logical and creative expression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by th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 Speaking is difficult to instruc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ystematic enrichment 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developing language skills of the verb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t was also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o teach them reading and writing together in everyday life. Also, it was turned out that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enrichment learning program for the verbally gifted students is needed.

The Effects of Visual Representations on Learning Proportional Expressions and Distributions (시각적 표현이 비례식과 비례배분 학습에 미치는 효과)

  • Son, Kyungho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1 no.4
    • /
    • pp.445-45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 ratio-related concepts effectively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ratio-related concepts between Korean and Singaporean textbooks, reconstruct a unit of proportional expressions and distributions by using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nfirm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an experimental and a comparison group of 6th grade student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mathematics lessons is from the reconstructed textbook, the comparison group lessons is from an existing textbook that does not include any reconstructive representations. A t-test of mean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intermediate leve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higher and lower level group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pplication of visual representations can assist students' understanding of ratio-related concepts.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재의 재구성 방안

  • Lee, Ui-Won;Kim, Jin-Sang;Lee, Myeong-Hu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93-102
    • /
    • 2001
  • 수학은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양식(style)의 학문으로서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확장되는 개념의 집합체이다. 불확실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문제해결, 추론 및 의사결정의 기법은 학교수학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자율적 ${\cdot}$ 창의적인한국인 육성’으로 설정한 교육부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수학을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규정하고, 1학년에서 10학년까지를 20개의 소단계(1-가에서 10-나)로 세분하고 있다. 그러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지나치게 의식하게 되면, 학생들의 개인차나 협동학습, 학습평가 등의 교수 ${\cdot}$ 학습의 여러 측면에서 자칫 혼란이 우려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교과서의 재구성 방안과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National Safety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Summary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 개요)

  • Lee, Soo-Hyun;Kim, Choong-Gy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71-174
    • /
    • 2016
  • 각종 크고 작은 재난이 반복되면서 안전에 대한 국민 요구가 증가하고 스스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민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민에게 안전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업자가 영업행위를 함에 있어서 국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보호해야하는데, 2016년 5월 19일 제19대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법'이 의결되어 2017년 5월 30일에 시행된다. 이 법은 안전교육기본계획 수립 시행, 안전교육에 대한 점검 평가, 안전교육 교재와 프로그램 개발 보급, 학교 다중이용시설 사회복지시설 등에서의 안전교육, 안전교육 전문 인력 양성 활용 등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각종 안전교육에 관한 사항을 하나의 단일 법안에 규정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 PDF

교사양성대학에서의 이산수학 교육과정

  • Lee, Jae-Ha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43-52
    • /
    • 2003
  • 교육과정은 그 시대에 적합한 요구들을 반영하여야 한다.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이산수학의 도입이 바로 정보화 시대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산수학의 도입은 수학의 변화가 수학교육의 변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내용의 교육과정 도입은 충분한 검증 절차의 부재로 인하여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양성 대학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개설되어진 해석학이나 대수학 같은 강좌와는 달리 이산수학의 강좌는 비교적 최근에 개설되어 졌으므로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은 이산수학 내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우선, 교사양성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의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7차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사양성 대학에 적합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사범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이산수학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울러 이러한 연구가 현직 교사연수에도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도서관학과(圖書館學科) 학생(學生)을 위한 정보과학(情報科學)의 교과과정(敎科課程)

  • 테프코사라세비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6
    • /
    • pp.156-163
    • /
    • 1973
  • "정보과학입문(情報科學入門)"이라는 과목(科目)은 자연과학(自然科學)에 대한 학문적(學問的) 배경(背景)이 없거나 정보과학분야(情報科學分野)의 다른 과목(科目)을 이수(履修)하지 않은 도서관학과(圖書館學科) 학생(學生)을 위해서 교재(敎材)로서 설치(設置)되었다. 본고(本稿)는 이 과목(科目)이 발전(發展)되어온 과정(過程)과, 도서관학과(圖書館學科) 교과과정(敎科課程)에 정보과학입문(情報科學入門)이라는 교과목(敎科目)을 설치(設置)하게 된 동기(動機) 및 그 타당성(妥當性), 그리고 그 교과(敎科)의 목적(目的), 방향(方向) 및 중요(重要)한 주제분야(主題分野), 교과구조(敎科構造) 및 중요(重要)한 내용(內容), 사용(使用)된 교수방법(敎授方法) 및 이 과목(科目)에 대한 개인적(個人的) 평가(評價) 등을 취급하고 있다. 특별(特別)히 교수방법(敎授方法)은 학생(學生)들이 원전(原典)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學生)들은 복잡(複雜)한 연구논문(硏究論文)은 물론(勿論) 정보과학(情報科學)의 업무(業務)를 도서관업무(圖書館業務)와 성공적(成功的)으로 관련(關聯)시켜 처리(處理)할 수 있다는 사실(事實)을 알게 되었다.

  • PDF

A Study to Improv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WBI (WBI를 이용한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Kyu-Cheol;Jang Hae-Suk;Lee Chung-Kook;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669-672
    • /
    • 2004
  • 인터넷과 웹의 급속한 성장은 전반적으로 우리사회에 영향을 미쳤고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함양을 위해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정보화 사업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제시되어있지 않고 재량활동의 일부분으로 컴퓨터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마땅한 컴퓨터 교재와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체계적인 컴퓨터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웹 기반 교수-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에 대한 자기 평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인식과 주도성을 증진시키고,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는 올바른 패러다임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eaching-Learning program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History Related Course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교육학 및 수학사 강좌에 대한 연구)

  • 한인기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2 no.4
    • /
    • pp.465-480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history course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Found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nalysis and Evalu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and Mathematics History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