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준비

Search Result 1,45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한 기회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Yang, Song-Lee;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41-45
    • /
    • 2021
  • 대학생의 대부분은 진로에 대한 명확한 목표가 설정되지 않거나 졸업 후 진로 미결정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다. 대학 생활 중 진로의 선택과 결정, 결정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하는 활동들은 매우 중요하며 대학에서는 진로를 '창업' 으로 결정한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을 하였지만 실제 창업까지는 한계가 있다. 창업을 하기 위한 적극적 창업준비행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업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두 영향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한 기회인식의 매개적 효과를 조사·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 지원하는 창업교육의 참여 형태, 교육 만족도, 참여횟수 등 창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창업을 하기 위한 정보수집활동과 도구구비활동 및 목표달성을 위한 적극적 노력 등 창업준비행동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적 관점에서 '창업교육' 이라는 우연한 행동을 기회로 인식하고 창업준비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대학의 취업만을 강조하는 교육 패러다임을 변화할 수 있는 창업교육의 질적 성장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15-121
    • /
    • 2018
  • 창업교육에서 강조하는 창의성 역량은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제까지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분야에 대한 단편적인 효과중심으로 연구되었고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효과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함양이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검증하였다. 2016년 8월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별 창업교육을 수강한 대학생 393개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해 함양된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은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협업적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창업교육에 의한 창의성 역량들은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의 창업교육의 효과 검증에서 창업교육의 양적인 확대보다는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학 창업교육의 중요성 검증과 향후 다양한 효과에 대한 평가를 학생창업 영역 뿐만 아니라 다각도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중년층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Kang, Kyung-Ah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4 no.4
    • /
    • pp.204-21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o analyze how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elps middle-aged adults deal with life and death anxiety. Methods: We studied 83 adults at the age of 40 to 65 years. An experimental group of 38 people participat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a control group of 45 people did not.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comprising four sections was given for four hours per week, and the program ran for 11 week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COVA using SPSS version 17.0. Results: The death anxie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0). The quality of lif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0.188).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alleviating death anxiety. Although the program was confirmed as a necessity for the middle-aged adults, repeated observations with a wider range of experimental group is needed to collect objective and solid dat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is expected to be more widely provided, starting from local health facilities.

Effects of Recognition of Elderly Education on Provision for Old Age among Middle-Aged and Aged People in Korea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Hong, Seok-Tae;Yang, Hae-So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5
    • /
    • pp.287-29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to get the government to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education for middle-aged and aged people about provision for old age after retirement and present a model of policy direction of realistic elderly education for middle-aged and aged people and an ideal program for middle-aged and aged people in Korea. Such an empirical research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effects of recognition of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elderly education on provision for retirement,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elderly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effects. Second, as for effects of the level of retirement expectation on provision for retirement, new departure, career completion, and continuous expectation were found to have effects. Third, as for mediating effects of retirement expectation in terms of effects of recognition of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and the level of desire for participation,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has retirement expectation partly affect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preparation. As for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elderly education, expectation of retirement had completely mediating effects on physical preparation and partly mediating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economic preparation. Fourth, the need of elderly education, the desire for participation, retirement expectation, and recognition of provision for retirement by general propertie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gender, age, occup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학교육은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청년실업율 상승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부터 창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지위한 정책과 지원을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교육의 교과 비교과 교육커리큘럼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성 역량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창의성역량 함양과 도전정신을 강조하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추세이다. 이는 작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과 일치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도 창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의지, 창업성과, 청년창업 등 창업에 관련된 단편적 측면으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즉,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성 측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창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지역 거점별 5개 대학교의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만 창업교육의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순히 대학의 창업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서 창업과 같은 실무적 성과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영역 등과 같이 다각도의 효과와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education and retirement attitudes of middle-ag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중년층의 재무교육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 Kang, Shin-Kee;Cho, Sung 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117-132
    • /
    • 2013
  • This study shows how financial education for middle-age affects their remaining life (economic,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nd improves the way of preparing for their old age through 355 questionnaires using SPSS 18.0,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has been differently perceived by the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religion. Secondly, the necessity for early financial educ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have been comprehend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financial education on their old life. Thirdly, Attitude for retirement has affirmative effects on the self respect, economic stability and leisure activity.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 Oh, Chin-Tak;Kim, Chun-Gill
    • 한국노년학
    • /
    • v.29 no.1
    • /
    • pp.51-6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for older adults. A death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needs of death education, alternatives for dignity on death, not ending death(I, II), hospice(I, II), and 9 patterns of death(I, II, III).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Attitudes toward death and depression scales for Korean elders were employed. The data collection and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rom January to June, 2008.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1 time per week during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Window 14.0. After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The subjects after the intervention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change of depression compared to that of pre-intervention. Also,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but the change of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 the base of program developments on death education enhancing attitudes toward death among Korean older adults.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승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53-59
    • /
    • 2023
  • 국내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며 국내 시니어들의 은퇴후 평생직업 대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며 창업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였지만 주로 자영업창업 중심이어서 효과적인 대안이 되지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노후 대책으로 재대로 된 창업을 준비하도록 창업교육을 통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둘째, 창업교육만족도가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는 하위 변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셋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시니어 창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노후준비도를 살펴봄으로써 시니어가 가진 노후준비 특성이 창업기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시니어의 창업 활성화 및 노동력 활용 방안으로 창업교육의 확대 필요성과 시니어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및 프로그램 설계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lan based on practical problem in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중등 가정교과에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죽음준비교육 방안)

  • Kim, Saet-Byeol;Chae, Jung-Hy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1
    • /
    • pp.89-114
    • /
    • 2019
  •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only preparing for future death but also for happier and meaningful life. Death is a persistent problem faced by all human beings and can be found in connection with the Home Economics(HE) curriculum in that it is a contextual practical problem of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al problem-bas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HE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program name i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the Happy Life of Me and Family'. Also, 12 practical problems and the 4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velop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s to all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death naturally in their lives and to practice meaningful everyday life for worthy death during the HE classes.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 study to examine the need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urriculum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HE class.

액티브시니어의 경력지향성과 창업교육 만족이 창업의지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Park, Jong-Beom;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01-10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시니어들의 개인특성인 경력지향성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 또한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시니어 창업정책 설계 및 자금지원, 창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액티브 시니어를 베이비부머세대 및 포스트 베이부머 세대 와 일부 에코세대를 포함한 활발한 활동과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활동적인 고령자로 보고 40대 이상의 활동적인 시니어층를 액티브 시니어로 정의 하였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의 문제는 지금부터의 시작이며, 노인인구의 증가와 수명 연장등 고령화 따른 심각한 위기의 시작점에 40대 이상 액티브시니어에게 더욱 더 오랜 기간 일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또한, 액티브 시니어들에게 안정적 일자리 창출 시장은 한계성에 봉착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발전 가능성 높은 아이템을 발굴하여 창직이나 창업을 통한 고용의 확대는 필연적 과제이다. 다양한 경력 기반의 액티브 시니어들에게는 무엇보다도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더 절실하다. 특히, 액티브시니어들의 경력기반의 경력지향성과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따른 액티브 시니어의 개인별 맞춤형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제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및 세종시 지역의 325명의 액티브시니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경력 지향성, 창업교육 만족도는 창업의지와 창업준비행동에 유의한 것으로 예상하고. 상호관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