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학 지식

검색결과 2,426건 처리시간 0.026초

수학적 지식의 구조와 문제 해결을 통한 탐구학습

  • 박혜경;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89-407
    • /
    • 2005
  • 수학은 위계적이고 구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학생들이 적절하게 학습하면 내적 동기유발이 가능하고 흥미 있게 학습해 나갈 수 있는 반면 단편적인 지식들로 학습하려 한다면 그 양이 방대해지고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교사는 수학적 지식의 구조를 깨달아 지식의 본체가 내적으로 어떻게 조직되고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야 하고 학생들이 수학적인 아이디어와 절차를 획득하고 탐구하게 하는 적절한 문제를 제시하여 문제해결을 통해 가르쳐 가는 방법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 때에 학생들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면서 자신이 학습하고 있는 것의 핵심을 인식하고 호기심을 갖고 유의미한 기능들을 이끌어내는 학습을 해야 하는데, 이는 오랜 전통의 탐구 학습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수학교과 고유의 특성을 살려 지식의 구조를 가르침에 있어서 교수 방법으로의 문제해결을 통한 지도와 학습 방법으로의 탐구학습 과정은 잘 조화될 수 있다. 이러한 조화된 모습을 드러나게 하고자 초등학교 5학년 가 단계에서 '평면도형의 넓이와 둘레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게 하는 문제해결을 통한 탐구학습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30-40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갖는 지식의 구조나 탐구학습, 문제해결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기보다는 이전의 것들이 주는 의미를 되새기고 오늘의 상황에 비추어 해석할 때 수학교육은 한 단계 올라서게 된다.

  • PDF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cademic Passion fo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임효진;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90-7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별로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과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교육대학에서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내 비교에서는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경우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중요함'과 '좋아함'의 수준이 높았지만, 예비교사는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더 높았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서는 예비교사가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높았지만,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예비교사의 경우 '조화열정'에서만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현직교사의 경우에는 '좋아함', '중요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에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적 과제 설계: 기하 판 위의 정삼각형이 가능한가? (Developing Mathematical Task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Equilateral Triangle on Dotty Grid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75-690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지식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수학적 과제의 특징을 논의하고 그에 맞게 과제를 설계하고 교사교육에 실행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격자점 정삼각형 만들기' 라는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면서, 주어진 상황을 수학적 문제로 변환하고 기존 지식과의 연결을 통해 문제를 변형하고 해결하며, 기존의 수학적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이 예비교사의 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리고 교사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과제 설계를 위한 조건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술산업화 사회에서의 전문학과 인문학-교양교육

  • 이광주
    • 대학교육
    • /
    • 통권85호
    • /
    • pp.64-71
    • /
    • 1997
  • 인간과 문화 전반을 지향하는 인문학-교양교육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단순한 지식, 즉 전문학이란 '빵을 위한 학문'일 뿐, 그것은 '전문 바보'를 낳지 않으면 우리 사회를 더욱더 '욕망의 체계'로 몰고 갈 것이다. 여기서 전문학이란 무엇이고, 인문학-교양교육이란 무엇이며 그리고 대학의 본질이란 무엇인가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는 것이다.

  • PDF

예비교사의 미분영역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33-25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미분영역 수학내용 지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을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교육과정과 연결하여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 70명이었으며 연구결과 어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지에 따라 예비교사의 수학내용 지식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값 정리의 활용에 관한 문제나 미분의 활용 문제에서 해석학적 수준으로 볼 때 어려운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답률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사연구공동체에서 과제설계를 통한 교사 지식의 변화 : 도함수 활용 영역에서 학생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Change of teacher knowledge through task design in the teacher-researcher community : Focused on knowledge of students in the area of derivatives application)

  • 이경화;송창근;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99-317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력과 지식을 지닌 교사와 연구자로 구성된 교사연구공동체의 과제설계를 통해, 도함수 활용에서 고등학교 인문계열 2학년 학생에 대한 교사 지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구성원들이 지닌 학생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둘째,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합의에 이르는 과정은 교사 지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교사와 연구자는 각각 선행연구와 경험에 근거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지식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사교육에 있어 교사와 연구자 공동학습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he Case of Division of Fraction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3호
    • /
    • pp.291-310
    • /
    • 2008
  • This article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that aimed to investigate mathematical prepar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several selected education systems in East Asia. This article reports the Korean portion of the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to explore not only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ir beliefs in their preparat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 but also thei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topic of fraction division. A total of 291 seniors in 3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 these prospective teac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ith regard to their knowledge of fraction division, and suggest that content-specific pedagogical knowledge needs to be emphasized in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PDF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연결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Connect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al Modeling)

  • 이예진;최미라;김윤정;임미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349-36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연결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초등학생들이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학습 내용 중 최대공약수를 선정하고.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연결하면서 최대공약수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수학적 모델링 수업은 학생들이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해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의미 있게 연결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도출하였다.

비례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 분석 (Analysis on cognitive variables affecting proportion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different level of structuredness)

  • 성창근;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31-352
    • /
    • 2012
  • 이 연구는 비례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례 문제를 구조화 정도에 따라 잘-구조화된 문제, 구조화된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로 분류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비례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으로 사실 알고리즘 지식, 개념적 지식, 문제유형 지식, 양의 변화 인식, 메타인지를 추출하였다.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해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서로 다른 인지적 변인이 영향을 주었다. 즉 잘-구조화된 문제 해결에는 사실 알고리즘 지식과 문제유형 지식, 그리고 구조화된 문제 해결에는 개념적 지식, 문제유형지식, 양의 변화 인식, 마지막으로 비-구조화된 문제해결에는 메타조절, 개념적 지식, 양의 변화 인식, 문제유형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문제 유형에 따라 다른 인지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수업에서는 문제 유형에 따라 다른 교수학습 방법과 다른 평가 틀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학생들의 비례 문제 해결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수학 수업에서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