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적 콘텐츠

Search Result 3,4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PTV contents (IPTV 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m, Jung-Hoon;Han, Seung-Yeon;Kim, Se-R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4
    • /
    • pp.517-528
    • /
    • 2009
  • As a convergence media, IPTV is expected to provide better learning experience with customized and individualized contents. Yet, little has been known in the are of contents developmen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ducational use of IPTV in terms of design and development perspective. First,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PTV in an educational context. Second, it categorizes the types of IPTV contents. Lastly, the paper discusses guidelines for the desig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IPTV contents.

  • PDF

포인트 / 대학부터 콘텐츠에 대한 체계적 교육 필요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6 s.97
    • /
    • pp.43-55
    • /
    • 2001
  • 여기에서는 콘텐츠교육의 방법과 체계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장르의 콘텐츠가 생산되기 위해서 토대가 되는 교육의 커리큘럼에 대한 개략적인 제시가 있을 것이다. 이미 많은 수의 콘텐츠 사업자가 있고 훌륭한 콘텐츠도 많다. 하지만 여전히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질의 인력이 필요하다. 콘텐츠를 기획하고 생산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기술력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내적 토대가 충실한, 다시 말하자면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인력에 의해 양질의 콘텐츠가 생산되어야 만이 콘텐츠 산업의 미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의사소통의 수단인 언어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 필요할 것 같다.

  • PDF

The Design Strategy of Educational Contents in Smartphones (스마트폰의 교육용 콘텐츠 설계 전략)

  • Ku, jin-hee;Shin, s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07-40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은 가장 대중적인 모바일 기기로서 초중등 학생들의 교육적인 활용 가능성은 다른 IT 기기에 비해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중에서 컴퓨터의 잠재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시뮬레이션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다른 모바일 기기에 비해서 특히 작은 화면에 대한 제약 등을 고려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시뮬레이션형 교육용 앱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plan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직무능력표준과 문화콘텐츠계열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 Kim, j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1-9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학문분야별로 체계적인 직무능력 매뉴얼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원 교육이 현장에 필요한 맞춤형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의 수월성을 위해 역량 있는 교육과정 방안을 직무능력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전문대학원 문화콘텐츠(융합콘텐츠 포함) 관련 학과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원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전문대학원의 고유한 전문성과 주체성을 가진 현장밀착형 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의 직무능력표준이 정한 문화콘텐츠 기획, 제작, 유통 및 서비스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 정의, 능력단위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개념틀(framework of curriculum)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통과학 천문분야 교육지원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자료실 개발

  • Lim, Jihye;Kim, Shinyoung;Han, Jeong-O;Kim, Min-Yeong;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87.4-88
    • /
    • 2015
  •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학(융합과학) 중 천문 분야의 교수 학습 지원을 위한 스마트교육 콘텐츠 자료실을 개발하였다. 공통과학과 관련한 현장 연구의 결과들은 개념 전달의 어려움과 함께 과학적 사고를 위한 탐구활동이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정리하고 이를 소개하여 학생들이 과학적인 탐구 활동을 통해 천문학 개념 이해에 도달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자료실 개발을 위해 공통과학 각 단원별 내용요소를 정리하고, 내용요소별로 관련된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수집한 후, 가장 적합하고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자료들만을 골라 이미지, 동영상, 시뮬레이터,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수집 및 분류한 스마트교육 콘텐츠들을 효율적이며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온라인 자료실 형태의 사이트(astroedu.knue.ac.kr)로 개발하였다.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현직 및 예비 교사들로부터 두 번의 공개 시연을 거쳐 수요자 중심으로 보완 작업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사이트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찾아 제공하는 중간 공급자가 되어 교수 학습 지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loratory Grounded Theory Study on Content and Structure of Future Education in Smart Home Services (미래 교육 콘텐츠 구성요건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을 중심으로)

  • Won, Jong-Seo;Lee, Ju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7
    • /
    • pp.432-448
    • /
    • 2018
  • Education will be undergoing major changes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education contents will be important in future smart home servi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gainst experts and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Eleven categories emerged through the analysis. In order for educational content to be utilized in smart home services, value creation (central phenomenon) seems to be most critical with preceding overcome of hamlet syndrome. Diversity of content and connectivity (context) should be ensured, and studies that could enhance user experience (intermediary situations) should be conducted and reflected in the content curation and realtime response (interaction strategy). As a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ducation content service can be expanded in smart home services while satisfying self-development desire of individuals through these processes. Additional selective coding revealed four immediate need area: self-development, home-improvement, health care, and mindful healing.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활동을 위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 Bae, Ji-Hye;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35-238
    • /
    • 2016
  • 디지털 콘텐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는 앱은 개발자들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현재도 무수히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앱을 활용한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는 콘텐츠 사용자의 유용성과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를 활용한 코딩 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관한 관련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PL을 바탕으로 비IT계열 전공의 대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고 창의적 사고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인 앱을 제작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 위한 안드로이드 앱제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EPL을 위한 도구는 MIT 미디어랩에서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의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2(App Inventor 2)를 사용하며, 제작한 앱을 스마트 기기에서 즉시 실행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데 대해 학습만족도와 성취감이 높음을 수업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작 과정에서도 활발한 사고력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roposal of Variable Scenario-based XR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 to Improve Manufacturing Industry Work Ability (제조산업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가변적 시나리오 기반 XR 교육훈련 콘텐츠 제안)

  • Gil, Young-Ik;Park, Jong-Hwa;Lim, Hyeon-Kyu;Kim, Jae-Hee;Je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27-628
    • /
    • 2021
  • 본 논문은 제조 산업 현장에서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XR 교육훈련 콘텐츠의 가변적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가변적 시나리오를 적용한 XR 교육훈련 콘텐츠는 교육훈련 관리자가 자유롭게 시나리오를 가감할 수 있어 동일한 콘텐츠 내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로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기존 하나의 시나리오로 반복되는 교육훈련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적 상황 및 변화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Learning을 위한 ICT 활용 교육용 콘텐츠 개발의 실태와 방향

  • 안성훈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 no.2
    • /
    • pp.36-49
    • /
    • 2003
  • 국민의 정부에서는 2000년 대통령 신년사에서 '세계에서 컴퓨터를 가장 잘 쓰는 국민'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 본격적인 정보통신 기술 교육이 도입되게 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학교급에서 정보통신기술 교육을 시행하는 시책을 2000년 2월 11일에 발표하였다. 이 시책은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생애 기술로 정착된 컴퓨터를 조기에 학교 교육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배워야 할 최소한의 정보 통신 기술 교육의 목표와 수준을 선정, 제시하기로 하는 한편, 현재 부분적,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컴퓨터교육을 2001학년도부터 단계적으로 모든 학년에서 시행하기로 한 것이다. (중략)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n Archival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 분석)

  • Shin, Ye-Jin;Choi, Jae-Hw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5 no.3
    • /
    • pp.193-217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historical thinking contents through the experimentation methodology.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ill review foreign and domestic historical thinking cases of archival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derive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view; and apply the implications to classes targeted for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classes utilizing historical thinking contents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subcategorie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historical inquiry ability,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ment ability. The average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results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obtain better scores after examination tha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