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자 인식

Search Result 2,01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ffecting on the Learning Effects i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정보활용능력 교육 효과에 대한 학습자 영향요인 분석)

  • Ju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139-146
    • /
    • 2010
  •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따른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인식의 변화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영향에 미치는 학습자의 영향 요인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D 대학의 한 학기 교양과목으로 개설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해당과목 수강생 47명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 인식을 교육전과 교육후의 질문지법을 통해 그 변화를 조사 분석하고 이들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에는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이외에 유사 교육 프로그램 경험 유무, 도서관에 대한 인식 등이 조사되었다.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가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은 ACRL의 고등 교육자를 위한 정보활용능력 평가기준을 참조하였고 사용된 분석도구는 Excel과 SPSS 17.0이다.

  • PDF

Analysis of Administrator's Difficulties in Software Education Operations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서 학교 관리자의 어려움 분석)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5-2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관리자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과정에서 컴퓨터 실습실이나 피지컬 컴퓨팅 같은 교구,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을 위한 예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수업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부족한 것도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은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높지 않았으나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였다.

  • PDF

Comparing the Perception of College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Convergence Education in IT (IT 분야의 융합교육에 대한 전문대학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비교)

  • Kim, Kyong Ah;Kim, Ji Sim;Kwon, Suhyun;Kim, Joonyoung;Jin, M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9-350
    • /
    • 2019
  • 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자원의 감소로 인해 대부분의 대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이 생존과 양질의 교육을 위해 모색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융합교육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희망 융합 학문 분야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문대학의 융합교육에 필요한 학문 분야별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IT 분야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융합 희망 분야에 대한 인식 비교를 통해 향후, IT 분야 융합교육의 운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act of Self Awarenes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 Jung, Young-M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3 no.4
    • /
    • pp.265-28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ontributes to change and impro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self awar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ich comprised the same question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braries were executed on 47 students in an information literacy-related regular course at D University. The information literacy-related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were based on ACRL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Curriculum Orienta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 Educators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

  • Ryu, Sang-He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0 no.1
    • /
    • pp.1-13
    • /
    • 2001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교육자(전국 국 사립 대학의 가정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들의 교육과정 관점을 조사함으로써 실천적 비판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교사교육자들을 위한 세미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과 교사교육자들은 하나의 두드러진 교육과정 관점을 선호하지는 않았지만 인지과정중심 교육과정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2) 석사과정에서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3) 박사과정에서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을 전공한 교사교육자보다 개인중심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4) 가정교육학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는 가정학 세부영역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교육자보다 기술중심 교육과정을 가정과 교육을 위한 적절한 관점으로 인식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 중심의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Ju, Nahee;Kwon, Nanjoo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3
    • /
    • pp.443-456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development plan for science career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We investigated changes in perception and interest in sci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and analyzed surveys, research journals, student worksheets, and interview records.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cientists and science. Moreover, they influenc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astly, students' perception of this program was positive and gave high marks to all parameter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에 관한 과학교육자의 인식 조사)

  • Lee, Bongwoo;Shim, Kew-Cheol;Kim, Hui-Bae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17-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science research exper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in surveying their perception consisted of the necessity of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inven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in-service invention education for science teachers. Subjects were 119 science educators (67 science teachers and 52 science research experts). They perceived positively about including invention educational content in school science education. They perceived that invention education was high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Even though science educators have almost average level of understanding invention education, they demand in-service invention education for science teachers. Most of them referred informal courses to formal ones for school science education. Considering real life, engineering design, creative thinking in science education, invention method, and educational strategies can be effective for science education.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tudent factors and achievements in computing education for computer science non-majors (컴퓨터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 관련 연구)

  • Kim, Minja;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35-239
    • /
    • 2017
  • 학습자는 교육의 3요소인 교육자, 학습자, 교육내용의 하나로 학습자 특성과 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습자 특성을 이전경험/사전지식,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의 3가지로 분류하였고, 연구대상을 3그룹으로 설정, 다양한 하위 요소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대상 1의 경우 학습스타일(순차적: 부적상관, 통합적: 정적상관), 대상 2는 자기 효능감(사후), 대상 3은 수학 사전지식, 컴퓨팅과 전공의 연계성 인식, 정보적 사고에 대한 인식이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상관성이 모두 0.5이하로 크지 않고, 자기 효능감과 전공 연계성 인식의 경우 대상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변수에 대한 연구와 상관관계가 밝혀진 변수만을 대상으로 인과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상학적 관점으로 학습자 특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 PDF

Analysis of Perceptions on Safety and Health Training and Measures to Improve the Training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Park, Yoo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346-3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safety and health training by analyzing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26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and completed the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employers for the training programs was the lowest compared to the middle managers and employees. Moreover, the middle managers' job competencies were increased, and they applied newly acquired knowledge and skills to their job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Finally, although all levels of trainee agreed on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training, the perceptions of employers were lower than those of employe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training were suggested.

Gifted Children′s Perceptions of Scientists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 임희준;여상인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2
    • /
    • pp.39-57
    • /
    • 2001
  • In this study, gifted children's perceptions of scientists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91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raw-A-Scientist-Test (DAST) and questionnaires about the life of scientists. As the results, most scientists were depicted as well-featured and young people. There was a tendency that boys mainly described scientists as male, but girls as female. Many of the students perceived scientists as those who did significant works to try to help other people and pursue the novelty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gifted on scientists were positive. Majority of students, however, perceived that scientists worked indoors with glassware or chemicals. Relatively, fewer students described books, other materials, and technologies including computer. Many of the students perceived scientists'work as research or invention. Concerning working pattern, students mainly replied that scientists worked alone. In order to make students'restricted perceptions enhance for opened and flexible manner, various educational methods need to be implem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