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42초

IT테스트, IT품질보증 직무분야 교육훈련 우선순위 탐색 (Exploring Training Priority about IT Test and IT Quality Assurance Jobs)

  • 강지운;송현경;박정환;윤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0-634
    • /
    • 2017
  • 사회 전반의 영역에서 SW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SW 품질의 중요성 또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역량개발은 SW 제품 품질 확보를 위해 필수적으로, 그 세부내용은 산업현장의 요구를 우선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제시된 SW 테스트, 품질 분야 세분류에서 정의하고 있는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IT산업계 종사자 약 202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 및 교육훈련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t-검정,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으며, 결과의 중복성 확인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된 결과로, 최우선 순위 및 차우선 순위군 능력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테스트, 품질 분야 교육훈련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 PDF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교사와 학부모의 구강보건교육 내용 우선순위 요구분석 (A Needs Analysis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for Teachers and Parents Using Borich Priority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김지수;강유민;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2-264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 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구강보건교육 요구를 바탕으로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 26일부터 2018년 1월 21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충청, 경상, 세종, 부산 지역의 보육 교육기관 교사 212명과 학부모 215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 구강보건교육의 요구는 교사와 학부모가 각각 89.7%, 88.8%로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 담당자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는 '영유아전담 치과위생사'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구강보건교육 내용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교육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보건교육 8개 영역의 40개 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의 최우선 순위는 7개 항목, 학부모의 최우선 순위는 9개 항목으로 두 집단의 최우선 순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가 구강보건교육의 최우선 우선순위 내용은 5개 항목으로 '치아우식증의 진행과정', '치아우식증의 증상',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방법', '영구치의 맹출 순서', '치아 탈구 시 응급처치 방법'이었다.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가 최우선으로 요구하는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유치의 맹출 순서', '영구치의 기능'이 추가되었고, 학부모가 최우선으로 요구하는 구강보건교육 내용은 '불소도포의 효과', '영구치의 개수', '부정교합의 예방법', '부정교합의 치료시기'가 추가되었다. 향후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와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최우선순위 구강보건 교육 내용 5개 항목을 포함하고, 보육 교육기관의 교사대상 구강보건교육에서는 7개 교육 내용, 학부모대상 구강보건교육에는 9개의 교육 내용이 우선적으로 반영된 피교육자 요구도 중심으로 영유아 구강보건교육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 연계전공에 대한 교육요구 우선순위 탐색 (Search for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Interdisciplinary Programs at University)

  • 안수현;이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43-451
    • /
    • 2021
  • 대부분의 대학에서 4차산업혁명시대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연계전공, 융합전공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교육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계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연계전공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계전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계전공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대학 차원의 지원을 탐색하였고, 온라인 조사를 통해 t-test,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전담조직 설치 및 운영', '전용 강의실 및 실습실'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커리큘럼 특성화', '연계전공 장학금 지원', '연계전공 홍보', '전담조교 배정'이 차우선 고려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연계전공의 교육요구 우선순위에 대한 활성화 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 Needs for Instructional Competenc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 김미정;안영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41-56
    • /
    • 2017
  • 본 연구는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교수 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을 기획 역량, 실행 역량, 관리 역량, 지원 역량으로 구분하고 35개의 하위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동시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는 35개의 항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항목은 '사회관계망 관리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교육 교수자의 교육 요구 최우선순위 항목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의 1사분면에 위치하고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에 따라 '프로그램 평가 역량'으로 나타났다. 차순위 항목은 '학습 자원 및 정보 수집 역량', '교수매체 개발 역량', '교수매체 활용 역량', '프레젠테이션 역량', '행 재정 이해 역량', '집중력 개발 역량', '공정한 학생 평가 역량', '팀워크 구축 역량'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량들은 평생교육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우선순위 개발 역량으로 판단되며 개인차원과 조직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증강현실(AR) 기반 맞춤형지지 프로그램 개발 요구분석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on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Support Progra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Preterm infants and their Families)

  • 신재은;김아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49-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와 가족 대상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관련 전문가 합의를 도출한 델파이 조사 연구이다. 3D 콘텐츠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 구성요소 혹은 교육 콘텐츠를 발굴하여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델파이 분석에, 미숙아 및 전문가 집단 14명(1차)과 113명(2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델파이 집단에서 수집된 반응들의 분석 결과, 4개의 하위영역(AR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가치(장점), AR 기반 프로그램 도입과 적용 시 고려할 점, AR 기반 전인적 e케어 프로그램 도입 시 요구와 전략적 방안,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우선순위)이 분류되었으며, 총 57문항이 도출되었다. 입원 초기부터 퇴원 전 단계별 지지케어 위한 3D 콘텐츠 개발 요구도와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부모 경우 신생아 케어의 반복적 체험 훈련 통한 부모 교육, 아기 본연의 독특하고 고유한 캐릭터나 습관 및 특성 관련 정보 공유, 발달을 돕는 양육 또는 놀이 교육, 가족 요구 기반 특수 간호 기술 훈련 등의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한편, 전문가의 경우 건강한 부모역할로의 이행을 돕기 위한 심리사회적지지, 부모-아기 간 단절 최소화, 미숙아 발달 관련 정보 및 양육 또는 놀이 정보 공유, 부모-아기 상호작용 기회 제공 등으로 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델파이 평가문항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 .89~.94로 높았고, 타당도와 문항 구성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미숙아와 가족을 위한 AR 기반 맞춤형지지 케어 프로그램 개발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프로그램의 임상적, 기술적, 사용적 가치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과 교수매체로서 부모와 전문가 집단이 요구하는 3D 콘텐츠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기획 및 설계의 근거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The Study on Needs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Extracurricular Programs)

  • 김희경;김명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25-134
    • /
    • 2022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재학생의 비교과 교육의 방향성 제고와 체계적인 비교과 교육과정 및 운영 체계 구축을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계열 재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보리치 요구도 분석과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와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리치 요구도 분석 상위 10위 내 프로그램에는 '자격증', '진로탐색', '해외봉사', '제2외국어', '취업교육', '재능기부', '영어, '컴퓨터 활용', '국내봉사', '전공 융·복합학습'이 포함되었다.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에서의 우선순위는 '자격증', '진로탐색', 취업교육', '해외봉사, '영어', '국내봉사', '제2외국어', '재능기부', '컴퓨터 활용 순이었다. 보리치 요구도 분석과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을 접목하여 총 9개 프로그램이 도출되었으며 우선순위로는 '자격증', '진로탐색', '해외봉사', '제2외국어', '취업교육', '재능기부', '영어', '컴퓨터 활용', '국내봉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보건계열 재학생은 취업 및 봉사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게 도출되어. 향후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반영한 교육이 필요하며, 대학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보건계열 재학생들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체계를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eds of Women Immigrants on Life-Long Education)

  • 김소정;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84-1090
    • /
    • 2012
  • 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12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평생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순위 결정은 Borich 결정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첫째, 취업교육, 둘째, 자녀교육, 셋째, 임신 출산 건강생활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유스 케이스 기반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리스크 추출 및 우선순위화 연구 (A Risk Extraction and Prioritization through Requirements Analysis based on Use Case Approach)

  • 김보연;김재승;박보경;손현승;김영철;김우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19-1522
    • /
    • 2012
  • 기존의 리스크기반 테스팅은 조직, 프로젝트, 제품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련된 리스크 활동은 잘 고려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소트프웨어 개발에 리스크를 적용하고자 유스케이스 기반 리스크 위험도 측정과 우선순위화를 제안한다. 제안한 리스크 위험도 측정방법은 GoRE의 Goal 중요도 매트릭스를 리스크 결정 매트릭스로 확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스크의 위험도를 우선 순위화에 적용한 것이다. 확장한 리스크 결정 매트릭스는 유스 케이스와 요구사항의 연관관계를 파악한 후 고객 중요도를 계산하여 리스크 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전 리스크 요구사항 고려로 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중등학교 교장의 교사신뢰 형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Needs Analysis on Secondary School Principals for Building Trust in Teachers)

  • 권다남;박화춘;김대현;이상수;변용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155-3167
    • /
    • 2018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장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신뢰 요인을 규명하고, 중등학교 교장의 교사 신뢰 형성에 있어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장의 교사신뢰 측정도구를 개발한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중등학교 교장 총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로커스 포 포커스(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요구도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에서 학급경영, 수업, 학생지도 범주의 항목들이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부모와의 동반자 관계 범주의 항목들이 차순위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중등학교 교장들이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과 교장의 교사신뢰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역량모델에 기초한 직업훈련기관장의 훈련요구분석 (Training Needs Assessment Based on the CEO Competency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 임경화;김정일;이문수;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58-165
    • /
    • 201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 분야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직훈기관의 최고관리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육요구분석 차원에서 직훈기관장의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공공직훈기관, 민간직훈기관, 학원 및 기타 평생교육기관의 최고관리자로서, 주요조사 내용은 교육요구조사와 역량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직훈기관장의 직무분석, 잠정적으로 정리한 역량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중요도, 숙달수준, 학습 희망도를 통해 역량의 우선순위의 파악과 이에 기초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FGI, 현장조사 등의 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교육역량모델에 기반한 교육훈련요구 분석결과 그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은 '인재확보능력', '시장변화 및 교육생의 요구파악', '문제해결능력', '리더십 스킬', '창의적 사고', '조직역량분석 및 진단', '정보수집 분석능력'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