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실행

검색결과 1,738건 처리시간 0.031초

수학 교과 독서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 실행 - 예비 교사 교육 사례를 연계한 현직 교사 연수 -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독서의 이해'를 주제로 수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 연수는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효과적인 교과 독서 지도의 실천을 유도하고자 계획되었다. 특히, 연수 과정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지도 내용을 현직 수학 교사 연수 과정에 접목시키면서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과 독서 지도를 의미있게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접하면서, 자신의 지도 경험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고 이전보다 개선된 지도 방법을 탐색해 나가는 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교사 양성 기관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 교육자나 교사 모두에게 개선된 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경화;강현영;고은성;이동환;신보미;이환철;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819-834
    • /
    • 2016
  • 수학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개혁은 최근 과정 중심 평가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최신 교육 평가 이론과 연구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조건 등을 탐색하여 그 실행 방안을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자유학기 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Middle School Free-Learning Semester Curriculum)

  • 김평원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2호
    • /
    • pp.81-108
    • /
    • 2017
  •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학생의 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추진된 교육 정책으로,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더욱 강화되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보통 오전 교과와 오후 자유학기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표방하는 독특한 교육과정, 수업 형태, 평가, 운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교과 수업모형을 아우르는 표준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자유학기 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 보완한 표준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운영의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유학기 교과 수업 모형은 기존의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변형한 것으로, 이는 각각 학습, 실행, 사회생활 능력과 인성을 강조하는 유네스코의 제안을 반영하여 설계한 것이다. 자유학기 교과 수업을 운영할 때는 그동안 학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었던 정규고사를 잠시 내려놓고 활동 중심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중심 수업은 철저하게 구조화된 유의미 수용학습을 추구해야 하며, 활동 중심 수업은 재미를 추구하되 작품화를 지향해야 한다.

  • PDF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in Curriculum for Developing their Discursive Competency)

  • 김동중;최상호;이주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관계 및 수업 과정에서 요구되는 담론적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수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수학교수론]을 경험하게 하고, 직접 수업을 실행하고 담론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 파이널 프로젝트를 연구 자료로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예상치 못한 교수·학습 상황을 경험함으로써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차이를 인식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한 담론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과 연결시켜 반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과 실행을 통합하는 교수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담론적 역량의 존재가능성과 이를 함양해야 하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수학교사가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중등 과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An Understanding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formance on STEAM Lessons in the Perspective of the CHAT)

  • 최숙영;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49-95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CHAT을 분석 도구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중등 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실행에 대해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2명의 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STEAM 수업을 실행하기 전에 모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각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의 교무실, 학급 분위기 등을 관찰하였다. STEAM 수업의 전, 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들을 활동체계의 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지속적 비교 방법을 통해 요소별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수업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주체 요소에서는 두 교사가 차이를 보였으나, 두 교사 모두 STEAM 수업 실행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또한, 학교의 환경적 특성, STEAM과 관련된 정책과 같은 활동체계의 다양한 요소들이 STEAM 수업 실행에 영향을 미쳤다. 두 교사의 활동체계에서 요소들 간의 모순이 나타났고, 이는 다양한 활동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활동체계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STEAM 수업에 대한 성공 경험을 이끌었고, 두 교사의 STEAM 수업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TEAM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변화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hanges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using the Biographical Approach)

  • 한혜진;이선경;김찬종;이경호;김희백;오필석;맹승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2-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가 자신의 생애, 특히 교직입문 이후 경력이 경과함에 따라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경험들 속에서 이루어진 교수실행의 연화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교사의 관점에 근거해 교사의 삶을 살펴보는 생애사적 접근을 취하였고, 실천원리 (practical principle)의 변화 중심으로 개별 과학 교사의 교수실행 변화 과정을 상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각 7년차, 10년차 중등 과학교사로 면담 및 수업관찰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교수실행 특징 및 변화 과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연구 참여자들의 교수실행 변화과정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교수실행 변화는 1) 변화를 촉발한 결정적 경험, 이후 2) 기존 교수실행에 대한 적극적인 반성, 마지막으로 3) 교수실행의 구체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경험들이라는 3 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교수실행 변화는 실천원리의 지형 (국면) 변화로 나타났다. 과거와 비교하여 변화원 주요 실천원리의 변화 양상은 (1) 기존 실천원리의 강화, (2) 기존 실천원리의 대체 (3) 새로운 실천원리의 형성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Exploring a Teacher's Argumentation-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dentified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Teaching Practice for Science Argumentation)

  • 김선아;이신영;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9-1030
    • /
    • 2015
  •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지도하는 교사의 수업실행 변화와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변특이적 PCK의 요소를 확인하고 이것이 수업 실행에 미친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과학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 연구 당시 교육경력이 19년이었으며 연구에 참여하기 이전에 논변수업을 지도해 본 경험은 없었다. 논변활동 수업은 중학교 1학년 광합성 단원에 대한 9차시로 구성되었고 수업 이후 주 1회 약 30여분 총 5회에 걸쳐 연구자와 교사 간 협력적 성찰이 이루어졌다. 모든 수업과 협력적 성찰은 녹화, 녹음되었으며, 교사의 사전사후 논변검사지, 수업전사본, 관찰일지, 협력적 성찰 전사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교사의 발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업 실행은 1~3차시에 해당하는 초반부에는 학생들에게 말하기, 논변 정의하기, 정당화하기 등을 촉진하는 발화가 주로 나타났으나 4차시 이후부터는 교사가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며 상대방 이야기를 들어주기, 대안주장하기, 논변과정 반성해보기 등을 촉진시키는 발화도 함께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성찰과 논변 수업 실행으로부터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발달이 나타났으며, 논변특이적 PCK는 학생에 대한 이해, 논변의 본성에 대한 이해, 논변 과제전략에 대한 이해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참여 교사의 논변 특이적 PCK에 대한 이해는 협력적 성찰과 수업실행이 반복되면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교사는 논변수업에서 학생이 갖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으며, 논변에 대한 이해를 개인적 측면으로부터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것으로 발달시켰다. 또한 논변과제를 자발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과제전략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과학교사 행위주체성 탐색 -COVID-19에 따른 원격 수업 2년 차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Science Teacher Agency at the Age of the New Normal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of Second Year of Distance Learning Practice)

  • 이혜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15-428
    • /
    • 2021
  • COVID-19로 인하여 도입된 원격 과학 수업은 이제 교사들에게 새로운 일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가 지난해의 실행을 습관적으로 되풀이하기보다는 변화하는 맥락을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에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하여 시행된 원격 수업 2년 차 상황에서 교사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는 실행에서 드러나는 교사 행위주체성과 이때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특히, 2020년 4월에서부터 2021년 7월까지 16개월 동안 교사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을 추적하여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교사의 행위주체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 과학교사 3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지속해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원격 과학 수업 실행에서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거나 자신이 추구하는 과학 교육을 원격 수업 상황에서도 구현하기 위하여 행위주체성을 발현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지난해 원격 과학 수업을 실행한 경험 및 이로부터 축적된 실천적 지식, 자신의 실행에 대한 성찰, 원격 과학 수업에 대한 장·단기적 목표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가 속한 맥락에서 원격 수업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학교 공동체의 분위기나 교사 사이의 활발한 소통과 협력 역시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격 과학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과학교사 행위주체성이 발현되었는지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맥락을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교사가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행위 주체성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의 개인적인 요인 및 맥락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 행위주체성 발현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보호관리자에 대한 직무분석

  • 김기윤;나현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3-74
    • /
    • 2000
  • 정보보호관리자에 대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정보보호관리자에 대한 직무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직무준석을 실행함으로서 정보보호관리자의 직무정의 직무흐름도. 직업명세서, 직무명세서, 작업명세서를 도출하였다 정보보호관리자의 직무는 4가지 책무와 13가지 작업으로 분석되었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18가지 교육내용과 7가지 교육과정이 제시되었다.

  • PDF

가정에서의 올바른 유아 ICT 활용환경에 관해 부모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Parents' Perception in an ICT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 주영주;이광희;김나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17-528
    • /
    • 2007
  • 최근 들어 ICT를 활용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나아가 이제는 유아들까지 교육기관에서는 물론 가정에서의 ICT 활용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올바른 ICT 활용을 위해 요구되는 가정에서의 활용환경에 대하여 부모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아ICT 활용환경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부모들이 인식하는 ICT 활용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과 항목을 대상으로 IPA(중요도-실행도 분석)를 거쳐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할 요인과 항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유아의 자질, 행정적 지원요인 및 물리적 환경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