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과정 구성

Search Result 3,10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f Assessment elements in Information Subject Curriculum (정보교과 교육과정 평가 구성 요소 고찰)

  • Cho, Young-Chan;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73-79
    • /
    • 2004
  • 정보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교육평가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평가 방법에 초점을 맞춘 특징을 보인다. 타일러에 의해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은 교육평가는 구성주의 이론의 발달과 더불어 결과중심 평가에서 과정 중심평가로 관점이 이동하고 있으며 형성평가, 협동학습에 네트워크를 적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세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평가 구성요소 분류 개념에 따라 각 국의 정보교과교육과정 평가 체계를 고찰하였다.

  • PDF

Network-based education platform design to provide nano/micro degree (나노/마이크로 디그리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 교육 플랫폼 설계)

  • Park, Pill-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7-60
    • /
    • 2021
  • 최근 대학교는 코로나로 인하여 교육에 언택트를 접목시킬 것과, 학생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습득시킬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들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구성함과 동시에, 고효율 교육방법으로서 모듈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모듈형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과 다른 부분이 있어 기존에 활용하던 온라인 교육 플랫폼으로는 모듈형 교육과정을 온전히 제공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조사하여 교육에 필요한 기능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다수의 동영상, 퀴즈, 실습, 과제, 그리고 프로젝트로 구성된 모듈형 교육과정을 가정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능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모듈형 교육과정용 플랫폼의 기능별 구성, 구성요소별 연결 방식, 활용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온라인 기반 모듈형 교육과정 플랫폼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모듈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이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통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하여, 한국의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양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고찰한 결과, 한일 양국의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가 상당한 부분 비슷하거나 같았다 그러나, 지도목표 서술과 학제가 다르며, 실제 수학과 교과운영에는 차이가 많이 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ies curriculum based on overseas higher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 Woo, HoSu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0 no.1
    • /
    • pp.27-38
    • /
    • 2017
  • The United States (CS2013) and Japan (J07-CS) constitute a standard informatics curriculum that reflects a changing society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standard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 composition of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e subjects were com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curriculum and content knowledge in Kore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has evolved into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nging computing environment. The information curriculum of domestic colleges included only 52% of the knowledge area of CS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of sub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policy of Japan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curriculum composition without the standard informatics education course of the college in korea.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Lee, Sang-Bok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87-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시행된 일본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의 특징은 통합학습시간 신설로 미국식 주제 교육의 도입, 완전학교 주 5 일제실시, 중고 일관교육, 단위제 고등학교학교 신설, 종합 학교의 설치로 설명된다. 확률통계 교육의 내용과 범위는 과거 교육과정과 크게 달라진 점은 없으나, 7교과 분야 가운데 3 교과 부분에 자료 위주의 실용통계계산 교육과 통계소프트웨어교육 강화가 그 특징이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s and Composition Factors -Focus on Depart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교육과정 결정 요인과 교육 과목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 김정열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5 no.4
    • /
    • pp.211-217
    • /
    • 2000
  • The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s of Information Management are identified Manpower Demand Factor, Department Associate Perception Factor, Imitation Factor, Education Demand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that Computer Science Field, IT Field, Internet Field had to Include to Curriculum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dentified that Curriculum Determinant Factor is related to Composition Factor. Manpower Demand factor Department Associate Perception Factor are important to Curriculum Determinant. And IT Field, Computer Science Field are critical to curriculum of Information Management.

  • PDF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with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Contents in 1st and 2nd Grades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1학년과 2학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Lee, Boo-Da;Kim,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3 no.3
    • /
    • pp.415-442
    • /
    • 2010
  • If the philosophy of the curriculum is changed when the curriculum is revised, discussion about knowledge viewpoints in the changed philosophy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EM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as basic philosophy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o present aim of textbooks development through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and operation units of 1st and 2nd grades of EMT compil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didn't reflect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as the philosophy of the curriculum. From the analysis, EMT were not composed so as to agree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that emphasize concepts, conceptua1 principles, variety, integration.

  • PDF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 Lee, 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605-6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maker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ker edu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for pre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mean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maker education were low, while the effectiveness, importance, value, continuou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were highly recognized and the necessity of maker teache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teacher curriculum composition was classified into basic and advanced courses. The basic course included basic contents to understand maker education and maker space. The advanced course included information on how to use various tools, materials and digital media, how to conduct and evaluate maker education to apply maker education. The teacher curriculum composition for maker education can suggest basic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digital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s in the future.

A Study on Compilation Strategy of 『Manufacturing Processes』 Textbook for Technical High School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기계 공작법' 교과서 편찬 방안 연구)

  • Kim, ki-Soo;Woo, Yeoun Jae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4 no.2
    • /
    • pp.87-102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lect lesson contents of "Manufacturing Processes" textbook and to provide means to improve the compilation strategy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of the study, reviews of "Manufacturing Processes" textbook by 7th national curriculum and questionaries are conducted. Contents organization of lessons is done by special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hanging in contents organization of units and chapters in "Manufacturing Processes" textbook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confirmed. Second, learning subjects of lessons are reformed and complemented. Third, contents organization of units, chapters, lessons are indicated.

지역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윤옥경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2-226
    • /
    • 2003
  •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한 학습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출발점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따라 진행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이 가지는 문제점과 지역에 대한 개념 형성과정에 작용하는 학생들의 지역 인식 특징에 대한 관심이었다. 학생들의 지역에 대해 인식 조사 과정에서 중간적 수준의 지역을 설정할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의 틀은 지역의 본질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육의 주체인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반영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