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 역량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1초

기술·가정과 생활자립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자료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ing Instruction with Evaluation Materials for Strengthening of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Focused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 임윤진;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3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자립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 대한 가정교과 전문가와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 결과에 따라 교수학습-평가 설계안을 구상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 전문가 10명의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와 가정과교사 422명의 설문조사에서 생활자립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식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프로젝트 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프로젝트 평가 순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생활자립역량 함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생애주기별 발달 과업과 생애 설계' 단원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방법을 연계하여 교수학습-평가 과정 예시안 개발 및 적용한 수업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평가 활동의 일관성, 방법의 통일성, 평가의 환류성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교과역량별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 대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9-369
    • /
    • 2020
  • 본 연구는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조사가 수행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핵심역량과 각 학문별 전공역량을 포함한다. 역량중심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회복지전공역량을 무엇이고, 전공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공역량과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참여적 학습을 위한 환경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edia Literacy)

  • 김서현;진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4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다문화교육 관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으로 설정하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해 다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역량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6종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후, 총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으로 고등학교 1학년 24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이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 중 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 237부를 SPSS/WIN(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재구성하여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특히, 교수 학습 과정안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문화의 의미를 읽어내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교육적 경험을 갖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을 실행한 후,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화 일반 이해'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수업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바람직한 다문화 가치를 내재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 PDF

교수역량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f the Impact of Professor's Capability on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the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동문;김은희;나혜인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4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교수의 연구 활동과 성과를 바탕으로 교수의 역량이 대학의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술이전 경험이 있는 이공계 분야 교수 80명의 개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논문 질적 수준, 특허활동, 정부지원 연구비 규모, 민간 연구비 규모, 임용 전 산업체 경력, 임용 후 경력, 연구팀 규모가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학에서 교수의 특허활동, 민간 연구비 규모, 교수 임용 후 경력이 기술이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수학교과역량과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 (A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 최상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77-3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역량을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담론적 역량을 분석하여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20년 이상 교수법을 변화시킨 중학교 교사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문제해결 역량에서 문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이 수학적으로 중요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게 하고, 추론 역량에서 수학적 정당화의 필요성 이해를 위해 사고를 명확히 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그리고 창의 융합 역량에서 동료의 풀이 방법 공유와 다른 풀이 방법 활용을 격려하기 위해 논의를 생성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고 의사소통 역량에서 다양한 수학적 표현의 필요성과 차이점 협의를 위해 수학적 관계를 탐구하는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수를 위해 필요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바탕으로 실행을 통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교사교육과정 개발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1-1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할 때 대상자의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2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높았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 모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평균이상인 학생이 평균미만인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3개의 변수로 구축된 핵심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1%이었고,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4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동기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5%이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동기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만족도 모형의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핵심역량과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학습 준비도와 함께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대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UDDPAAP 역량 교수·학습 모델 설계 (A Design of an UDDPAAP Competence Teaching-Learning Model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in College Students)

  • 전미연;김의정;강신천;김창석;정종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7-331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W 교육 핵심역량 중 컴퓨팅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역량 교수 학습 모델을 설계하였다. 사전에 소프트웨어 코딩 경험이 없는 학습자의 역량을 분석하고 기존의 SW 중심 교수 학습 5가지 모델 중 시연 중심 모델(DMM)과 개발 중심 모델(DDD) 그리고 CT 요소 중심 모델(DPAA) 등을 재구성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 및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Unplugged 활동과 Bebras Challenge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역량 교수 학습 모델인 UDDPAAP (Unplugged-Demonstration-Decomposition-Pattern Recognition-Abstraction-Algorithm-Progrmming)을 설계하였다. Unplugged 활동 중 일부분을 대학생들 수업에 적합하게 변형하고, Bebras Challenge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에서 제시하는 문제를 선별한 후 기존의 교수 학습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코딩 경험이 없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SW 교육 및 컴퓨터 정보 소양 교육 경험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과 자신감 등의 사전 검사를 하고 UDDPAAP 교수 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 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UDDPAAP 교수 학습 모델을 통해 SW 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역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DDIE 교수설계모형 기반 교육용 정보역량강화 프로그램 (Educational Information Capacity Reinforcement Program Based on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 곽재효;유헌창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43-146
    • /
    • 2018
  • 최근 다양한 tv프로그램과 문화생활로 인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역량을 지닌 '창의 융합형 인재'가 떠오르고 있다. 거기에다가 21세기 사회에 접어들면서 정보 기술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2015 정보과 교육과정이 그 증거를 말해 주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 및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용 정보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게임 엔진은 최근에 떠오르고 있는 '유니티'를 사용할 것이며, 교수설계모형의 기초인 ADDIE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하여 더욱더 효과적인 교육용 정보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작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성폭력 예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lans for Digital Literacy Cultivation: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 정지우;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40
    • /
    • 2023
  • 본 연구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과 정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을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2015 개정 가정과교육과정의 '성폭력 예방'과 관련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 설계를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각 차시별로 배움목표와 내용구성,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따른 디지털 도구 활용 계획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성폭력 예방'을 주제로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각 차시별 교수·학습 활동에서 디지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평가 단계에서 6명의 가정교육 전문가로부터 타당도 평가를 받았으며, 5점 리커트 척도 문항 평균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이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하는 데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개방형 문항에 대한 전문가 의견들을 바탕으로 교수·학습과정안 수정 및 보완되어 총 7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이 완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폭력 예방' 가정과 교수·학습과정안이 수업 실행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