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효능감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초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제적 수준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Level and Teaching Efficacy : Focused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 하정희;이종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93-4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경제적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경제적 수준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457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변수들 간에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경제적 수준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 주요변수들 간에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경제적 수준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과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대한 경제적 수준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eaching Efficacy)

  • 강현영;서현아;엄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93-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cale for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 김리나;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43-4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수학 교수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수학 수업 효능감, 수학 효능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 문항의 신뢰도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은 문헌 연구 및 수학 교과 전문 교사의 검토를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절차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13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 인수정;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9-3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1년간 수행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이 무엇인지 개별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하는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은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각 단계에서의 효능감은 수업 관리 효능감, 교수 전략 효능감, 교과지식 효능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 개요 설정 효능감', '과학 실천 간 논리적 조직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적절한 발문 계획 효능감', '과학 실천을 하는 학생에 대한 이해 효능감'이 포함되었으며, 교과 지식 효능감에는 '교과 지식 및 과학 실천 이해 효능감', '핵심 개념 설정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과학 탐구 수업 수행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별 시간 배분 효능감', '과학 실천 교실 문화 정착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동기 부여 효능감', '과학 실천 적응적 교수 효능감', '능동적 사고 기회 제공 효능감', '과학 실천 별 논의 참여 독려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참여도 평가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으로 교과 지식 효능감은 언급하지 않았다.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은정;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70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예비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PCK와 교수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교 사범대학의 가정교육과 학생 또는 교육대학원의 가정교육전공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PCK 하위범주 중에서는 내용지식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표현 지식과 내용 지식이 많을수록 가정교과의 교수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지식과 환경상황지식이 높을수록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지식도 자기 효능감의 두 변수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학년, 교직진로선택 여부,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에 따라 PCK와 교수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학년의 PCK와 교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3, 4학년으로 갈수록 오히려 PCK와 교수 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을 고려하지 않을수록 PCK와 교수 효능감이 높았으며, 수강한 기본이수과목수는 PCK와 교수 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보였다.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PCK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수 효능감은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기관에서의 학생들의 교수 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사로서의 진로를 선택할 경우 진로를 위하여 준비할 수 있는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실연과 교육 실습의 기회가 충분히 주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이주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6명이다. 연구대상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총점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몰입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교수몰입이 교수효능감 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멘토링 참여 경험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Participation on Science Teachers' General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ies)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51-960
    • /
    • 2017
  • 이 연구는 저경력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저경력 과학교사 멘토링은 J도에서 현직 임용 경력 3년 이하의 과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는 선행 연구들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과학교수효능감 사전 검사 결과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은 평균 2.86점이었고,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은 평균 3.17점으로 나타나 결과 기대감이 더 높았다.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 영역에서 여교사 평균이 남교사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고, 중학교 교사평균이 고등학교 교사 평균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사후 검사 결과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 3.08점으로 사전 검사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사후 검사에서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은 평균 3.11점, 결과 기대감은 평균 3.04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멘토링 연수가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 이수연;홍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68-978
    • /
    • 2013
  •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자기 믿음이자 신념이다.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교수활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e-포트폴리오는 이러한 성찰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육적 성찰과 학습자료 정리활동에 참여하도록 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 사후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e-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 다양한 성찰 유도, 학습자료의 체계적 저장, 정보의 공유 등을, 단점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활용방법과 낮은 접근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