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epresentation Mode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s in Storuboard (스토리보드에서의 학습자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 표현기법)

  • 이근백;예홍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97-699
    • /
    • 1998
  •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들을 제작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학습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나리오의 내용에 따라 각각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정의하고 화면에 배치하는 것은 물론 시간흐름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스토리보드에 손쉽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보드 작성기를 개발함에 있어서,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을 스토리보드에 표현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스토리보드 작성기의 주요 기능과 작업 화면들을 설명하고 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 Stepwise Learning Model for Learner-based Solving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Remote Instruction (웹 기반 학습자 중심의 수학문제 풀이를 위한 단계학습 설계모형 개발)

  • 조우제;김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52-757
    • /
    • 2001
  • 본 논문은 웹 상에서 자기 주도적 문제풀이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학교과의 학습목표 및 내용, 관련된 학습자료를 탐색하고, 교수자나 다근 학습자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격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을 기초로 웹 기반 코스웨어 설계모형을 제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실시간 수학문제 풀이 원격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는 웹 기반의 수학 코스웨어 및 텍스트 모드로 제작 설계되었으며 자기 주도적인 수학 문제 풀이 단계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an online university (온라인대학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촉진활동에 따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 및 이들의 관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Lee, Euikil;Kim, Yun-J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8 no.3
    • /
    • pp.69-7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by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Data including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 interactions,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collected from 119 adult learners in an online university in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as higher in the higher-aged group or active group on intranet message board than the lower-aged group or inactive group on the board. Second,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increased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However, the active group on the board has shown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ithou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Thir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 and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while the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the social presence of instructor and social presence of the cours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s' social interventions be provided systematically for those who are not active in social interaction to enhance their learning satisfaction.

A Study on Learners' Needs Analysi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Focusing on SNS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학습 수요자 요구에 관한 연구 : SNS를 중심으로)

  • Lee, Myung-Suk;Lee, Kyung-Mi;Lim, Youg-Kyu;Han, Kyung-Im;Park, Hy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59-261
    • /
    • 2016
  •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 수요자의 요구와 현재 편성되어 있는 교양교육 교과목들에 대한 차이를 알아본다. 학습 수요자의 다양한 생각들을 SNS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발견하고 시각화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로는 학습자는 교수자와 상호작용 잘되는 수업 방식,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자기주도 학습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양교육 교과목 개설로서는 취업에 필요한 외국어, 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과목,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과목들을 요구하여 실제 균형에 맞게 개설된 교과목과는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수학적 상황론에 입각한 효과적인 극한지도

  • Go, Sang-Suk;Yang, Pil-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47-69
    • /
    • 2001
  •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에서 학습자들이 오류를 범하기 쉽고, 어려워 하는 극한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한다. 현실적으로 교수활동은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일정한 수업시간동안에 교사와 학습자와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진다. 그 속에서 학습자들은 주변의 세계를 관찰함으로써, 혹은 추측과 반박을 통해 시행착오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혹은 모순, 어려움, 불균형을 일으키는 주위환경에 동화 ${\cdot}$ 조절을 함으로써 자신을 적응시켜 가면서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교수학적 의도가 미비한 환경은 학습자에게 획득하기를 기대하는 학습을 할 수 없게 한다. Brousseas의 교수학적 상황론에 근거하여 교육의 현장인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교수-학습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본 논문은 Freudenthal의 역사발생적 원리에 의한 극한의 정의와 학습자의 오류수정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 Lakatos의 발견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극한 개념에 대해 실생활에서 학습자에게 쉽게 동화 ${\cdot}$ 조절이 일어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WB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for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위한 전자계산일반의 WBI 설계 및 구현)

  • 이철호;배석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537-540
    • /
    • 2004
  • Development of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activity based on web in accedence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active. From teaming system with web, teaching-teaming data for student's leaning level is not systematic and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re insufficiency. Only result of teaming evaluation is showed not supply reason what is correct or not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or linking deeping teaming. In this paper, we tried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y analyzing study system through virtual system on high school's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And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WBI system Using ASP, the system is maximize the effect of study related to further study. It will improve the feedback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help the learners enlarge the faculty of comprehension ability.

  • PDF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Enhancing Collaboration (협업성 강화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협업적 교육 시스템)

  • Park, Byung-June;Baek, Yeong-Tae;Park, Seung-B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4
    • /
    • pp.101-109
    • /
    • 2014
  • This paper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a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The existing augment reality-based learning systems have just focused on interactivity between a system and learners without consideration of cooperability, thereby leading to an ineffective approach to encouraging an learning system to be more supportive and conducive of and to cooperation among learners. The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is a learning method, with which learners achieve a common objective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cooperative teamwork so as to seek solutions to such fulfillment. This requires positive interdependence, proactive interactions, a sense of responsibility shared by individuals as well as the group, and development of teamwork among learners. Educators and systems assume a critical role in helping the collaborative education be effective. An educator is responsible for defining a project at the outset of learning activities, organizing groups for learners, and providing evaluation criteria applied to a group's project activities. Meanwhile, a system shall support interactions to take place while facilitating learning activities. Furthermore, an educator shall provide a system for managing and evaluating activities involving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his paper suggests and embodies a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with consideration of the aforementioned collaborative education.

A Study on Instruct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Technology Convergence College for Distance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COVID-19 상황에서 원격수업에 대한 기술융합 공업계 대학의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고찰)

  • Moon, Byung-Koo;Jie, Myoung-Seok;Shin, Jun-Y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0
    • /
    • pp.171-181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of industrial college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technology convergence sector, where various technologies are combined, as distance education at colleges are prolonged due to COVID-19 and difficulties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continu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utomobile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end of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professors and students had similar perceptions about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such as freedom of time and space, repeatable learning, and recycling. In terms of difficulti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felt a decrease in learning immersion due to a lack of sense of presence, and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felt the difficulty of interaction relatively lar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pares suggestions and basic data on college policy support for online education at industrial colleges during and after COVID-19.

An Adaptive WBI System using Dynamic Course Scheduling (동적 코스 스케줄링을 이용한 적응적 웹기반 교육시스템)

  • Chang, Jee-Eun;Moon,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39-842
    • /
    • 2005
  • 웹 기반 교육에서 학습자의 완전통제에 의한 학습보다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시스템과 상호작용 적응적 통제에 교육시스템이 요구된다. 교수자에 의해 제시되는 코스와 학습자 선택에 의한 동적 코스를 통한 학습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생성된 동적코스를 타 학습자에게 제시함으로써 교수자와는 다른 시각의 코스에 의한 학습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스템과의 적응적 학습자 통제에 의한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QALT using Navigation Model (네비게이션 모델을 이용한 QALT의 설계 및 구현)

  • 김행곤;신호준;김정수;한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601-603
    • /
    • 2001
  • 초고속 인터넷 망의 구축에 따라 정보통신 교육이 활성화에 힘입어 직.간접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웹 기반 원격강의는 원거리 학습자들의 학습욕구를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되도록 전체적인 수업을 진행하므로 학습과정에서의 질의 응답을 교수자에게 면대면으로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학습자가 요구한 질의 내용을 잘못 이해함에 따라 교수자가 학습과정에서의 피드백 제공을 하지 못함으로써 개인학습의 동기부여가 감소됨에 따라 흥미를 입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설계를 위해 네비게이션 모델을 통해 질의 응답을 지원하는 QALT(Question Answer Learning Tool)를 설계 및 구현한다. 원격강의는 웹 상에서 기본적인 컨텐츠를 제시하고 그를 통해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질의 응답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다대(One-To-Many)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학습자는 교수자가 지정한 교육용 서버를 통해 텍스트 형식이 아닌 강의자료로 쓰인 문서파일에 직접 작성하여 질의 응답을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교수자와 학생간의 질의 응답을 통해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학습도구로써의 사용이 증가될 것이다. 또한 서버에서의 폴더 서비스와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질의 응답이 가능함으로써 학습자는 강의파일에서 그림에 관한 질문에 효과를 볼 수 있고 교수자는 질문 받은 내용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쉽게 볼 수 있으므로 빠른 응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