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신념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초

예비교사를 위한 온라인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physical computing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김태령;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21-632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온라인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15주 과정의 소프트웨어와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스마트폰 기반의 EPL인 포켓코드와 그에 포함된 각종 센서를 사용한 프로그램을 주제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은 개인효능감, 교수학적 지식,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결과 기대, 학생에 대한 신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소프트웨어 태도 부분은 소프트웨어 흥미와 소프트웨어의 가치 부분이 유의미하게 증대되었고 소프트웨어 공학자에 대한 인식은 변화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피지컬 컴퓨팅의 경우 조작 활동이 많이 들어가 온라인 환경에서 실행하기 어렵다. 해당 연구와 같이 비대면 환경 또는 블렌디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물질의 입자성 학습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n the New Teaching Strategy Facilitat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Learn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 김도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0-6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잘 변화하지 않는 학습자의 신념체계인 연속적인 물질관을 입자적인 물질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입자모델 교수 전략으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을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처치한 후,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입자모델 교수 전략의 효과를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비교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문제점으로는 1) 입자모델을 실제물과 연결시켜 생각하지 못하는 문제점, 2) 입자모델을 학습할 때 무조건 암기하는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은점, 3) 입자모델을 수없이 학습한 후에도 연속적 물질관을 입자적 물질관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학생의 비율이 매우 놓은점, 4) 물질을 학습할 때 과학적 상황으로 학습하므로 물질에 대한 사고가 과학적 상황에 제한되어 있어 일상적 상황으로 연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전통적인 과학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과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이 개념이해측면, 흥미측면, 입자적 물질관 형성정도, 기억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교육에의 중요한 시사점은 일상적 상황의 입자모델 교수전략 방법이 과학을 과학적 상황(실험실 상황)에서만 국한되어 사고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과학 수업시간에 학습한 과학을 일상 상황과 연관시켜 사고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이다.

  • PDF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Analysis on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Teach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Mathematics Teacher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201-21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들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과 수학적 활동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 대한 15개 문항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 대한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만들었고, 초등교사 114명과 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개념적 지식에서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들은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 인식적 지식에서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서는 지식의 표현, 지식의 생성, 지식의 심의, 지식의 발표에서 예비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지식(구문)의 사용에서 만 초등교사들이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초등교사들과 예비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수학적 지식과 활동의 항목이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은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다.

  • PDF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eaching Intention for Mathema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서정민;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5-20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Methods: A total of 266 early child teacher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 naires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First, we observed several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variables. Second, we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had effect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athematics among the sub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was observ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th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Conclusion: We need to take more interest in the pedagogical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As a result, this will makea contribution to high quality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오인정;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69-28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nfluences of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co-friendly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399 teachers teaching 3,4 and 5-year-old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the Sobel test. Results: First,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Second, with teacher's career as the control variabl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have more influence in mathematical teaching efficacy than the other variable. Thir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are important facto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rograms that increas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s.

빛의 반사 및 굴절 시뮬레이션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Simulated Courseware Design and Materialization of Light Reflection and Refraction)

  • 조용준;박덕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60-66
    • /
    • 1999
  • 본 논문은 새로운 교육환경에 부응하는 학습자 중심의 시뮬레이션 코스웨어를 설계 구현하였다. 그 소재는 고등학교 물리과목의 빛의 반사와 굴절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코스웨어의 유형과 학생 중심 학습 신념이나 대체 개념을 교수-학습에 고려한 구성주의 학습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배경을 소개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교수-이론 구조 절차를 살펴보았으며. 빛의 반사와 굴절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고, 구면거을의 상과 렌즈의 상을 간단한 원리와 관계식 모형으로 설명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근간한 컴퓨터시뮬레이션 코스웨어 설계절차를 제시하고 구현함으로써 빛의 반사와 굴절시 물체의 거리와 초점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의 종류 상의 형태상의 거리가 변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현장 적용 유아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방법 신념 및 과학 교수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rough Field Practice on the Belief of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 김래은;장문정;송민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81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2 female stude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t G university in Gyeongbuk provinc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carbon scanners verification, and homogeneity verification; ANCOVA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belief of science teaching method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scores of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 through the field practice on the belief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of preschool teachers.

영유아 교사의 전문성, 교수창의성, 놀이신념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교실환경의 다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ple Medi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Expertise, Teaching Creativity, and Play Beliefs on Play Teaching Efficacy)

  • 이미선;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87-98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variables that improve the efficacy of the play teaching of infants and toddlers following a play-orient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287 infant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on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mediating effect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lay belief was significant, but teaching crea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expertise, play belief,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both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ultimedia effe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diating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play and their teaching skills.

영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 김성은;조우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9-73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ll over the country.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which assessed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SPSS 2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at the same tim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were partially mediated by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in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relationship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reative teaching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eaching efficacy based on constructivist educational beliefs.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 김나림;권이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83-1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 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