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사 역할

Search Result 94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 김병주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2 no.4
    • /
    • pp.119-146
    • /
    • 2001
  • Th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and that of school library services are the same and the school librarian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program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need to be reformed in spite of various obstacles. I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librarians'roles are appropriate this will greatly motivate and mare activ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by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role of school librarian and to friend out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on the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inally to use its results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in teaching programs. It is conclude, base on the results, that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ibrary and need to assign school librarians and also expect various services including school library education programs.

  • PDF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on Curriculum As a Teaching Pla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ctual Teaching Plan by teachers in Incheon. Korea (실과의 식품영양 단원의 교사용 지침서와 실제 수업과의 비교 연구 -인천직할시 공립국민학교를 중심으로-)

  • 김수자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5 no.1
    • /
    • pp.87-95
    • /
    • 1993
  •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의도하는 국민학교 실과 과목의 식품영양 단원의 지침서 내용과 현장에서의 교사 수업 실태를 교육관련 전문지인 새교육, 새교실, 새수업등에 게재된 현장교사들의 지도안 내용과 인천시내 공립국민학교 교사 510명과 학생 1,7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표 및 단원 내용과 현장 교사들의 지도안 내용은 완전일치 하였다. 2. 교육부가 제시한 수업시수가 알맞다는 응답이 4학년 88.7%, 5학년 87.4%, 6학년은 87.8%였으나 약 10%정도의 교사는 식품 영양단원에 더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현재의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응답도 4학년 0.8% 5학년 2.6% 6학년 2.4%나 되었다 또한 28-38%의 교사가 실과시간을 다른시간으로 활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3번이상 다른시간으로 쓴 경우도 4학년 6.5%, 5,6학년은 11%나 되었다. 3. 교육부가 제시한 교수방법보다 다양한 교수방법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었으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수방법은 4, 5, 6,학년 모두 설명, 발표 판서, 교과서 읽기 등이었고 실험 조사, 역할 놀이, 토의, 시범 등은 드물게, 필름이나 슬라이드, 카세트 등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사용된 학습자료로는 교과서, 교사용 지침서, 학습 과제장 등이 주된것이었으며 그 이외의 자료는 극히 활용도가 미약하였다. 5. 실험 실습을 위한 실습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으며, 조리 실습은 학생들이 재료와 도구등을 준비(4학년 96.5%, 5학년 96.1% 6학년 95.7%)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ssistive Teacher for Technical Support for Activation Software Education Class (소프트웨어교육 수업 공개 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원 보조교사 운영에 관한 연구)

  • Song, JeongBeo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2
    • /
    • pp.133-138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A education univers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echnical support assistant teachers were employed and operated. During the course of the course,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instructor and the technical support teacher.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 in the training school was high and I wanted to be supported continuously. It also called for the capacity building of assistant teach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ol of staff. On the other hand, the assistant teachers suggested that the role assignment of team teaching should be clarified and a guide of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he technical assistance assistant teacher input system discussed in this study may be different from the practice system of each university, and generalization may be limi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 will be shared and the software education will be activated.

The Role of Teachers in Reform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수학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교사의 역할)

  • Park, Sung-S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0 no.2
    • /
    • pp.151-161
    • /
    • 2007
  • There were a lot of attempt to reform mathematics education. These may include refo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materials and resources for teaching.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is related with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Thus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Although there is consensus what desirabl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is, the role of teachers is important to make desirabl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So, this paper suggested the role of teachers in reforming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Avoiding from routine and technical teaching, the teachers should play active role in constructing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students.

  • PDF

Improvements on the Status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Teacher's Fire Safety Awareness about Special School (특수학교 소방시설 및 지도교사의 화재안전의식 개선방안)

  • Lee, Youn-Ha;Lee, Ho-Young;Choi, Jun-Ho;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7-281
    • /
    • 2011
  • 장애학생들이 생활하는 특수학교의 경우 화재 발생빈도는 낮지만, 장애인은 초기 대응능력과 피난능력이 현저히 부족하므로 화재 발생 시 막대한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장애인의 안전한 피난을 위해서는 초기 소화설비와 피난에 필요한 경보설비, 피난설비의 설치 및 운영 그리고 피난보조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소방시설의 설치 및 운영, 피난보조자의 화재안전의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Fail-safe 원칙에 따라 2방향 이상의 피난이 가능해야 하지만 6개교 중 5개교가 평상시 안전을 이유로 비상구에 자물쇠를 채워 통행이 불가능하였고, 특수학교 교사들 중 피난시 교사들의 역할분담에 대해 54.2%가 모르고 있었으며, 피난보조자에 대해서도 64.5%가 모른다고 답하였다. 또한 소화기와 옥내소화전을 실제 사용해 본적 있는 교사는 각각 32.2%, 7.9%로 조사되어 화재발생시 초기소화를 담당해야 하는 교사들의 소화설비의 사용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of Step-by-Step Remote Education System Based on Web Using Teacher-Agent (교사 에이전트를 활용한 웹 기반 단계별 원격 교육 시스템의 설계)

  • Lee, Hyun-Hee;Hwang, B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939-943
    • /
    • 2000
  •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등장한 원격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주관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웹 기반 원격 교육이나 구성주의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웹상의 원격 교육은 정적이고 수동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학습자의 학업 성취 정도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교사의 역할이 거의 배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진도를 단계별로 지도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모델에서 교사 에이전트는 학습자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진행 상황에 맞는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평가에 의해 학업 성취 정도를 파악하여 다음 단계로의 학습 진행 여부를 제어한다. 이를 통하여 웹기반 원격 교육이 제공하는 학습 자원이 아무 목적없이 정보 검색 자체로 활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 PDF

Teacher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에서의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 Choi Don-hyung
    • Hwankyungkyoyuk
    • /
    • v.10 no.2
    • /
    • pp.349-36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을 태동기(1980년 이전), 성립기(1981-1991년), 정착기(1992년 이후)로 구분하여 간략히 개관한 다음, 전국 수준의 초.중등학교 학생, 교사,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에 관한 의식과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조사 연구 결과 및 이를 바탕으로 한 환경과 담당 교사의 현직연수와 양성교육에 관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 1993년 이후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변화 및 발전 현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중등학교의 교사자격증 표시과목으로 '환경'과가 1994년부터 추가됨으로써 현직교사 연수 및 교사양성대학에 환경교육과의 설치가 제도적으로 가능해졌다. 둘째, 제6차 교육과정(1995년부터 적용)에 신설된 중학교 환경 및 고등학교 환경화학 담당 교사 확보를 위한 자격연수(총 180시간)가 1994년 여름방학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1996연말까지 환경과 부전공 자격 소지자를 680명 배출하게 되었다. 셋째, 중등학교에서 환경과를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환경교육과가 전국 3개 대학(한국교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순천대학교)에 설치되었다. 넷째, 1995년부터 전국의 각급 학교에 환경주임교사를 배치하여 학생의 체험적 환경교육을 유동하고, 일반교사에게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전파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있다. 다섯째, 환경과 부전공 제도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대학재학 중에 전공과목에 대하여는 42학점 이상, 환경교육 관련 과목을 21학점 이상 이수한 학생은 환경과 부전공 교사 자격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섯째, 교사의 자생단체로 지역별 '환경교사연구회'가 구성되어 환경교육 자체연수, 교재개발과 보급, 환경캠프와 답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끝으로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서 계속 노력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 Review of Informatics Teacher's Expertise (정보 교사 전문성에 대한 고찰)

  • An, Sangjin;Lee, Taewuk;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63-2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보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사 전문성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사가 가져야 하는 전문성의 여러 종류 중 인지적 영역의 전문성은 학생 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지적 영역의 전문성을 교과에 대한 지식, 일반적 교육학 지식, 교수 내용 지식으로 나누어 생각할 때 정보 교사는 세 가지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먼저 교과의 내용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의 지식의 개정이 빠르고, 교수내용지식의 많은 부분이 컴퓨팅 도구의 활용과 이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보 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또한 꾸준히 변화하게 된다.

  • PDF

Constructing 3-year-old classroom with role play areas based on field-trips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해가는 만 3세 교실의 역할 놀이 영역)

  • Suh, Hye Jeong;Han, Ye He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6 no.2
    • /
    • pp.83-11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sights that teachers has learned through developing preschooler's classroom into field-trip-oriented ones with role play areas.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included videos, photos, teachers' journal, descriptiv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cords. The whole process of organizing role-play oriented class was composed of four steps: activities before the trip, activities on-the-spot, activities after the trip, and its evaluation. Firstly, activities before the trip were making the lists of questions, deciding children who ask the questions, making rules on the trip,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trip. Secondly, on-the-spot activities included having a tour of the place and asking the questions. Thirdly, activities after the trip was constructing the classroom into small real world with various sections. This required the teachers to reflect the field trips, make plans how to construct, prepare for the data, and furnish the classroom with role-play areas. In the process of furnishing the classroom with small real world, the field trips played a big role as the learning opportunities for language development, and keeping public rul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탐색)

  • Kim, JeongWon;Kwon, Minsung;Pang, JeongSuk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6 no.4
    • /
    • pp.299-316
    • /
    • 2023
  • Wit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sing AI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using a 5-point Likert scale with 1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with AI via four categories (i.e., Attitude of using AI, AI for teaching mathematics, AI for learning mathematics, and AI for assessing mathematics performance). As a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playe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of AI applications to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of mathematics. Specifically, they strongly agreed that AI could assist personalized teaching and learning, supplement prerequisite learning, and analyze the results of assessment. They also agreed that AI in mathematics education would not replace the teacher's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exhibited diverse perceptions ranging from negative to neutral to positive. The teachers reported that they were less confident and prepared to teach mathematics using AI,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y enacted mathematics lessons with AI or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related to AI.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s and pedagogical supports to effectively utilize AI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