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자격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5초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백인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5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교사로서 필요한 자격을 실증적 자료 수집에 의한 통계적 검증 과정(주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제시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정과 교사의 자격기준 중 어떤 요인(자격기준)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로서의 자격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성분 분석 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전문가', '다양한 학습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과 전문가', '공정하며 민주적인 교실 환경 조성자', '학생의 특성과 환경을 이해하는 진로 및 상담전문가'의 6가지로, 이러한 6개의 총 요인은 전체분산의 60.4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6가지 자격기준 모두를 가정과 교사가 학생보다 가정과교사에게 필요한 자격으로 보다 중요한 자격기준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각 자격기준의 중요도의 순위는 동일하여서 교사나 학생집단 모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영역을 가정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격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 전문가'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과 교사들은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복수 부전공을 이수한 교사일수록, 또 교사연수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의 6개 요인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은 가정 실습의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또 가정 담당 교사를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기술 가정 교과 성적이 높으며, 가정 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가정과 교사자격기준의 6개 각 요인이 가정과 교사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의 교사 인식에는 가정과 수업에서의 실습, 교사 선호도,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 여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 PDF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실태 분석과 개선과제 (The Teacher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 Selection and Qualification: An Analysis of Mongolian Case)

  • 김이경;떨징수렝;김경현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231-254
    • /
    • 2017
  • 본 연구는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체제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설정한 네 가지 기준을 토대로 몽골의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몽골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예비교사 선발 및 교사자격검정, 그리고 현직교사 임용 방식 및 교사자격체계를 명문화하여 운용하는 등 질 관리 기제가 마련되어 있다. 예비교사 단계에서는 대학입학시험 점수로 예비교사를 선발하고, 시험 검정을 통해 예비교사 자격을 검증한다. 현직교사 단계에서는 교육청과 학교 차원의 전형을 토대로 교사를 선발하고 있으며, 일련의 자격체계를 통해 교사의 승진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체제는 교직에 필요한 인력을 유인하고 그들의 자격을 검증하는 한편, 전문성 계발을 유도할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교사로서의 현장실천 적합성을 검증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역력했으며, 제도 자체가 적합성 공정성 투명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몽골 교사 선발 및 자격정책의 개선을 겨냥한 과제로서 교원양성기관의 학생선발 적합성 제고, 교사자격시험에 교실 실천 기반 검증 추가, 현직교사 선발에서 단위학교 전형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교사자격체계가 교사 전문성 계발 유도 및 동기 유발 기회로 작동하도록 재구조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 분석 (A Study on the Agenda Setting Process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in China)

  • 여유연;장선희;정제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249-272
    • /
    • 2018
  • 본 연구는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을 어느 집단이 주도하였는지에 대해 Cobb과 Elder(1972)와 Cobb 등(1976)의 이론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약 40여 년의 기간을 교사자격제도 도입기(1978~1992), 교사자격제도 과도기(1993~1998), 교사자격제도 안정기(1999~현재)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을 주도한 집단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자격제도 도입기는 정책결정자 및 정부가 주도한 '내부접근형', 교사자격제도 과도기는 중국 정부 및 교육부가 주도한 '동원형', 교사자격제도 안정기는 대중매체, 연구자, 정부 등 다양한 집단이 주도한 '외부주도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이 중국 사회의 발전정도에 따라 민주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교사자격에 대한 질 관리도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유아학교 교사 자격 연수의 과목과 운영 모듈 (Subjects and Operational Modules of Young Children School'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 김대욱;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43-452
    • /
    • 2023
  • 유보통합 이후에 현직교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자격전환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자격연수의 과목과 운영모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보육교사 자격이 없는 유치원교사에게는 4과목 12학점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자격만 갖고 있는 교사에게는 14과목 30학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연수기관으로 4년제 및 전문대 유아교육과와 방송통신대학교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를 소지하지 않은 유치원 교원의 경우 직무연수를 통하여 자격전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Teachers'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in the Korea and U.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7-149
    • /
    • 2011
  •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적정 수준의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학교 현장에 배치하기 위해서 교사 양성과 자격, 임용에 관한 사항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법령에 의거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에 배치한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교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주교육부와 교사인증기관에서 Praxis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교사 임용시험은 1차, 2차, 3차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1차 시험은 교과 전공 지식을 평가한다. 반면, 미국의 교사자격시험인 Praxis는 I, II, III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Praxis II는 교과 지식과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는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를 위한 자격, 임용 제도를 고찰하고, 한국과 미국의 객관식 시험 문항을 비교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and Japan)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5-53
    • /
    • 2016
  • 교육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교사의 질은 필요충분조건이다. 정보교육의 경우,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설치 운영되어야 하므로 질 높은 교사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정보교사양성제도와 비교하여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본과 교사의 자격제도, 자격 취득 및 승진제도, 교사의 자격기준, 정보교사의 자격 및 자격취득 방법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교과의 표시과목을 'Informatics'로 변경해야 한다. 정보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대학원 교육을 강화하고, 부전공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자격제도로 변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은 중등 정보교원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 자격제도와 배치기준 (A Study 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Personnel Standards for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in the United Stat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7-90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 SLMS) 자격제도의 구성과 발전, 자격요건, 명칭, 교육 프로그램, 배치규정 등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SLMS의 자격요건은 주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중요한 요건은 교사자격과 문헌정보학 석사학위이다. 자격명칭 역시 주에 따라 다양하지만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Library Media Specialist가 가장 일반적이다. 자격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 교육청, 준비교육기관(대학), 전문직 단체가 있으며, 전국 교사교육 인가위원회인 NCATE가 ALA와 함께 교육프로그램 인가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SLMS의 배치는 주 교육청 또는 지역 교육기관 인가단체에서 규정하는데 2002년 현재 19개 주가 규정을 갖고 있으며 늘어나는 추세이다. 6개의 지역 인가단체 중 3개 단체는 아주 명확한 규정을 확립하고 있다. 분야별 수석교사 평가제도인 NBPTS와 최근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의 위상을 위협하는 '65% 해법‘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 PDF

사서교사 1급 자격연수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for Level 1 Librarian Teachers)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1-54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여름방학 중에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를 운영한 K대학교 교육연수원의 사례를 바탕으로, 자격연수가 어떻게 구성 및 운영되는지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에는 초등학교에서 50명(남성 4명, 여성 46명), 중학교에서 24명(남성 4명, 여성 20명), 고등학교에서 37명(남성 5명, 여성 32명), 총 111명의 사서교사들이 참여했다. 또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은 '학습자 힘 기르기'의 영역 및 '사서교사 역할 성명서'의 직무 범위에 부합되는 핵심역량과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격연수에 참여했던 사서교사 111명의 만족도는 평균 5점 만점에 4.76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이었으나, 가장 낮거나 평균보다 낮았던 부분에 대해 제언하였다.

사서교사 자격 제도 및 직무에 대한 반성적 고찰 (A Reflective Inquir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Jobs for the Teacher Librarian in Korea)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1-180
    • /
    • 2012
  • 국제 학교도서관 기준에서는 사서와 교사의 자격을 갖춘 학교사서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하여 보조직원의 지원을 받도록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사서와 사서교사의 자격 요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에 둘 수 있는 인적자원은 교사의 자격 요건을 갖추지 않은 사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직무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도서관 기준과 학교도서관 관련법에서 정한 자격 요건이 상충하기 때문에, 사서직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은 학교도서관 교육 기능의 불완전성, 교육 서비스의 불공평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절심함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교육주제 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격 제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의 유형을 사서교사와 준전문가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구분함으로써 자격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경영자, 교수자, 정보서비스, 리더, 협동, 파트너'의 틀 안에서 자격 유형별 직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무용교원자격 및 교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Qualification for Dance Teacher and Subject System: Focused on Cases of Acquiring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홍애령;김지영;박재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2호
    • /
    • pp.363-372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원자격 취득 및 교과 운영에 관한 제도와 현황을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무용을 가르치는 교원의 유형별 교원자격과 교과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이 교육과정 개정과 예술강사 지원사업 시행을 계기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한 가운데,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이 신설되었고, 최근 중등학교 정교사 2급(무용) 자격자가 배출되고 있어 무용교원자격 전반에 관한 주목이 요청된다. 무용교사로서 중등교원자격을 취득하는 예비 교사들이 배출되는 시점을 맞아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취득 제도와 방법을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중등교원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자 6명의 사례를 통해 주요 현안과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의 정교사로서 무용교원자격의 제도, 취득경로, 방법, 교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