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eacher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 Selection and Qualification: An Analysis of Mongolian Case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실태 분석과 개선과제

  • Received : 2017.07.15
  • Accepted : 2017.09.2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Mongolian teacher quality management of selection and qualification and to recommend improvement. We examined the Mongolian teacher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four criteria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ngolian government established quality management mechanisms such as selection of pre-service teachers, verification of teacher certificate, and appointment of in-service teachers, and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These Mongolian teacher selections and qualification systems were operated to attract the manpower required for teaching, to verify their qualifications and to induce professional development. However, the systems have not been able to verify the teachers' ability to practice in the field. We also found that the systems themselves were criticized for failing to guarantee conformity, fairness and transpar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er quality management of selection and qualification in Mongolia.

본 연구는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체제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설정한 네 가지 기준을 토대로 몽골의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몽골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예비교사 선발 및 교사자격검정, 그리고 현직교사 임용 방식 및 교사자격체계를 명문화하여 운용하는 등 질 관리 기제가 마련되어 있다. 예비교사 단계에서는 대학입학시험 점수로 예비교사를 선발하고, 시험 검정을 통해 예비교사 자격을 검증한다. 현직교사 단계에서는 교육청과 학교 차원의 전형을 토대로 교사를 선발하고 있으며, 일련의 자격체계를 통해 교사의 승진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몽골의 교사 선발 및 자격 질 관리 체제는 교직에 필요한 인력을 유인하고 그들의 자격을 검증하는 한편, 전문성 계발을 유도할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교사로서의 현장실천 적합성을 검증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역력했으며, 제도 자체가 적합성 공정성 투명성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몽골 교사 선발 및 자격정책의 개선을 겨냥한 과제로서 교원양성기관의 학생선발 적합성 제고, 교사자격시험에 교실 실천 기반 검증 추가, 현직교사 선발에서 단위학교 전형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교사자격체계가 교사 전문성 계발 유도 및 동기 유발 기회로 작동하도록 재구조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