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인식과 태도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 이수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1호
    • /
    • pp.99-11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 재학생인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수준을 살펴보고, 학년과 성별, 그리고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태도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초등 예비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태도, 인식, 창업 시도 및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해 이해 수준과 직접 참여 경험은 낮았으나 초등학생과 초등교사 대상의 창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과 창업가정신 교육 및 창업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었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군별로 나눠서 볼 때 초등 예비교사의 도전, 집단창의, 자기주도 역량군에 비해 혁신성, 사회적 가치지향, 변화민첩성으로 구성된 가치창출 역량군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역량 수준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초등교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역량으로서의 창업가정신 중요성을 인식하는 집단의 창업가정신 4대 핵심역량군의 평균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고, 대학에서의 창업 관련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집단과 창업 시도 의향이 있는 집단의 가치창출과 도전 역량이 상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창업가정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 이용국;최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503-512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체육교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의 장애관련 동아리활동 경험이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 및 교수수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n Mainstreaming of Circle Activities about Disabilities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Efficacy, and Performance)

  • 양진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7-17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ircle activities about disabiliti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instreaming attitudes,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performance. Subjects wer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female teachers(20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xperimental group circles met weekly for 4 hours over 24 weeks. Circle activities included viewing and discussing films and readings about disabilities, and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in mainstreaming classrooms of kindergartens and child welfare centers. Results wer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mainstreaming were positiv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reservice teachers' mainstreaming teaching performance improved by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 PDF

과학탐구에 대한 중등 초임교사의 인식: Hands-on, Minds-on, Hearts-on의 관점으로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 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798-812
    • /
    • 2010
  •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탐구에 대해서 초임과학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교사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26명의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 그리고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임과학교사에 의한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 관계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코딩작업을 통해 파악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과학교육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해 구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교사들은 과학탐구를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과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는 기회로 정의하고는 있지만 과학탐구를 하는 이유와 과학탐구를 실행하는 데 있어 교사의 역할은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을 함양하는 기회로 파악하고 있었다. 과학탐구에 대한 정의나 목적 또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요소는 거의 파악되지 않았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서는 과학적 관점보다는 순수한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었다. 초임교사를 위한 조직적인 교사교육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ChatGPT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설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Lesson Design Using ChatGPT)

  • 이유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97-51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ChatGPT에 대한 인식과 ChatGPT를 활용하여 구안한 수업설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설계역량 신장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hatGPT를 활용하여 작성된 수업설계지를 수학수업의 설계 요소, 대화 및 정보 처리 유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ChatGPT 활용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교사의 중재 가능성과 ChatGPT의 특성이 ChatGPT 활용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 활동과 배운 내용을 적용하는 놀이 활동에 ChatGPT를 활용했으며, 개인마다 ChatGPT를 활용하는 수준, 즉 ChatGPT와의 대화 양상과 정보 처리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교사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초등수학영재학급에서 교수자의 지도 목표와 학습자의 학습 목표 인식 간극 분석 (Analysis on the Perception Discrepancy between Teacher's Teaching Goal and Students' Learning Goal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for the Gifted)

  • 임성재;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6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학급에서 수업 중 교사가 강조하는 지도 목표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 목표 도달 정도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재학급에서의 학습 목표 제시 방식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각 20명씩 총 40명) 학생들의 활동지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학급 내 성취 수준이 상, 중, 하위권에서 각 1명씩을 대상으로 수업 중 연구자 참여 관찰과 수업 후 개별 면담을 통해 그들의 학습 목표 인식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 목표는 내용면, 과정면, 태도면에서 각각의 하위 요소별로 교사가 사전에 기술해 놓은 것에 대해 교사 자신이 강조한 정도와 학생이 인식한 정도의 간극을 항목별로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급 학생들은 내용면보다는 상대적으로 과정면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연역적 사고, 유추적 사고, 발전적 사고에 있어서 교사의 강조 정도와 인식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추적 사고에서 학습 목표에 대한 그 인식 정도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얻게 된 몇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으로서 수학일지 쓰기가 중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숙희;김진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57-17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학일지 쓰기가 중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 반을 선정하여 수학적 태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고안된 수학 일지를 쓰도록 한 후 수학 성적이 상 및 하에 속하는 각 3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실시한 인터뷰 자료와 인터뷰 당시 연구자가 느낀 점을 적은 메모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학일지 쓰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수학일지 쓰기는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교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충분한 사전 조사로 일지 쓰기의 횟수와 시간을 잘 결정하고 연구 기간을 충분히 잡아 학생들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평가와의 연계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PDF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of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 Making Activity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3-11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활동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탐구를 수행하고 관련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교과서를 분석한 후 영상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과 동료들이 제작한 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8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이 활동이 종료된 후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비대면 수업 자료 제작과 시청 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해 교수-학습, 영상 제작, 정서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활동을 통해 과학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고, 이 활동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의 자기 결정권 배제, 다양한 의사소통 통로 부족, 자료내용의 오류 등 아쉬운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비대면 수업도 하나의 좋은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