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과교실형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교실형 디지털 교과서 기능과 교실 모형 제안 (A Study of Digital Textbook and Classroom Model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lassroom)

  • 이효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61-464
    • /
    • 2010
  •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시범 사업은 다양한 학습 지원 도구들과 사회 각 분야의 최신정보, 지식DB등을 활용하여 교실에서 참여형 학습을 실행할 수 있는 사업이다. 현재 디지털 교과서는 유통되고 있는 페이지 단위의 e-book형태가 아닌 확장 가능 구조로 개발되어 있어, 기존의 e-book 단말기나 e-book reader 프로그램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 단말기의 요구 사항과 기존 단말기의 구현기능을 분석하여, 개선된 단말기의 기능과 규격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교실 교육 환경을 제안한다.

서울 광희중학교 재개발계획 연구요약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Kwanghee Middll School Building)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3권3호
    • /
    • pp.41-57
    • /
    • 1996
  • 본 연구는 광희중학교 학구내에서 재개발로 인하여 증가되는 인구수을 예측하여 장래 중학교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2016까지 학급당 학생수를 37명으로 하고 36학급 규모의 학교를 추구한다면 중학교는 적어도 1개 더 건축하여야만 재개발로 늘어나는 제1학군의 학생수를 수용할 수있을 것음을 분석하였다. 또, 교과과정을 분석한 결과 도덕 2.5교실, 국어 6교실, 사회 5교실, 수학 5교실, 과학 5교실, 체육 4교실, 음악 2교실, 미술 2교실, 가정 1.5교실, 기술 3교실, 영어 5.5교실, 한문 1교실, 컴퓨터 1교실로 분석되어 이용율이 88%가 되었다. 본 연구는 광희중학교 구체적 건축계획에 앞서 계획의 모델을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계획에 임하였다. 광희중학교 주변의 접근성, 교통 조건, 소음 상태, 지역사회인의 이용, 전망 등의 환경 분석을 토대로 4개의 죠닝(Zonning)안을 제시하여 평가한 후 가장 바람직한 안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록(Block)프랜을 5개 작성하여 평가후 1개 안을 채택하여 구체적 평면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36학급 37명 학생수를 기준으로 교과교실형으로 계획하였으며 특별 교실형의 학습도 가능하게 계획하였다. 교수, 학습의 복합화에 대처하여 칸막이를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계획하였으며, 일반 교과도 컴퓨터를 이용한 수업이 가능하게 정보 코너를 설치하였다. 지역사회인에게 열린 교실이 되게 계획하였고 개별 학습이 가능한 구조로 계획하교 기자재의 선진화를 대비한 학습 환경의 제고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입면 형상은 주변 건물과 조화되게 수평적 요소가 강조되는 형상이 되도록 계획하며 고층의 아파트의 위협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지붕이 있는 구조로 계획하여 지역사회에서 중심임을 강조하도록 계획하였다.

  • PDF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8-67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교과교실형 운영에 따른 중학교 시설 개선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Analysis of Teachers' Demands about Improving Factors of the Middle School Facilities based on the Variation Type)

  • 정주성;김정규
    • 교육시설
    • /
    • 제12권3호
    • /
    • pp.5-1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using pattern on the physical facilities and fundamental demands about improving factors associated with management of variation type. The teachers of four middle schools are participated through questionnaires with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supplemental factors of learning activities, convenient facilities for students, factors with space utilization, moving class and arrangement of similar subject blocks are influential in order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for correspondence of variation type. In the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the sampling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factors of attached group, gender, age and managemental experience of variation type. Especially, the factors with moving class and convenient facilities for students are analytically more differential than the other factors, therefore, these factors must be considered in detail.

교과교실형 중학교 학생 이동의식 및 경로선택 추이 분석 (An Analysis about Moving Awareness and Trend of Route Choice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Variation Type)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2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moving awareness of students to physical conditions and attitudes on user's place to moving route. Moving awareness and route choice of students on variation type were grasped through questionnaire. As the results, the satisfaction degree, moving awareness and elapsed time for adaptation of students to physical facilities associated with moving class were antithetical to numbers of class and student. The more students, the more negative the moving itself. Especially, student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to route choice of high frequency moving and possession awareness of their belongings according to spatial nearness and composition of homebase. These basic data will be utilizable to suggest various model for composition and rearrangement of school space.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과교실형 운영 중학교 학생 이동행태 분석 (An Analysis about the Moving Behavior of Students by Simulation on Variation Type in Middle School)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18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movement behavior of students about a change of physical condition in moving space of variation type using simulation technique. The moving pattern of students was checked by SIMULEX program. The width of corridor was adjusted to 2.4m, 3.0m and 3.9m and a flow coefficient of simulation was estimated with the change of width. The wider the width of corridor was, the lower a flow coefficient was, and the difference was large when the width of corridor was narrow.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flow coefficient was relatively high in all types of corridor setup individual locker. Unit occupation area with the change of width was additionally measured, as shown in the results, the occupation density was low when the width of corridor was wide and a stationary time was short.

교과교실형 운영 중등학교 홈베이스 이용의식 분석 (An Analysis about Awareness of Use in Homebase on Variation Type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awareness of students using homebase on variation type, about a thousand stud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By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degree of awareness regarded homebase as a base was relatively high in respondents of the schools having easy accessibility of the homebase, and thus, proportions of assigned space for homeroom, using frequency of homebase and time to stay were also high in the group showing high awareness about homebase. Especially, it is noticeable use of homebase was frequent in the schools having subdivided space in itself.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function of homebase as a base of the students can be very important factor to plan schools of variatio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