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채널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공정무역 의류 광고에서 정서 소구의 효과 - 광고채널의 조절효과와 PCE의 매개효과 분석 - (The Impact of Emotional Appeals in Fair Trade Apparel Advertisements - Th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ing Channel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CE -)

  • 이조은;이유리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49-6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otional appeal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s fair trade apparel advertisement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those fair trade apparel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advertising channel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PCE) were examined. Four stimuli were manipulated using two types of emotions(positive/negative) and two types of advertising channels(magazine/SNS) were used to analyze consumers' reac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s ads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emotional appeals used in fair trade apparel ads.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emotion and advertising channels was not identified.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emotion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directly without form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ads, whereas negative emo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towards the ads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also identified that PCE mediated between emotion elicited by ads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livering images and messages that creates positive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fair trade ads are produced. In addition, fair trade ads need to be devised to enhance PCE by emphasizing that ethical choices of individual consumers can change the working environment of manufacturing countries.

기업의 유튜브 채널에서 활용된 광고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브이로그(Vlog)를 중심으로 (Effects of Advertising Strategies in Corporate YouTube Channels on Consumer Responses: Focusing on Vlogs)

  • 송유진;최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48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인 유튜브를 활용해 많은 기업들이 채널을 운영하고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기존 광고의 속성 및 전략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공식계정을 운영하는 국내 기업의 브이로그 100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 광고모델 속성, 광고 소구,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기업 계정에서 제공하는 직장인 브이로그는 해당 직무에 관한 정보와 직장 동료의 인터뷰가 결합된 형식이었다. 더불어 광고모델의 속성이 소비자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크리에이티브 전략 중에서는 사용자 이미지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광고 소구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미비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광고 유형인 기업 브이로그의 광고효과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브이로그의 특성에 해당하는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기존 광고 전략에 관한 요인을 함께 활용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기업 브이로그 제작 시 사용자 이미지 전략을 강화하고 매력성이 높게 측정되는 다수의 모델을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광고 채널로서 틱톡(TikTok) 사용, 동기, 반응에 대한 연구 (Use, Motivations, and Responses of TikTok as an Advertising Channel)

  • 마뤼야오;김소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07-519
    • /
    • 2021
  •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틱톡의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틱톡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를 고찰함으로써 틱톡 광고 효과에 주요한 광고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20-30대 틱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주요 틱톡 이용 동기로는 정보성과 오락성이 도출되었으며 틱톡 특성으로 짧은 동영상, 다양한 콘텐츠 내용, 형식의 참신성이 언급되었다. 또한, 유용성, 오락성, 광고 회피를 위한 조작용이성, 친근감, 상호작용이 주요 틱톡 광고 특성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틱톡 광고 참여행위는 대체적으로 '좋아요' 클릭, 댓글쓰기, 공유, 구매 링크/광고주 홈페이지 클릭, 광고 제작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소셜미디어 광고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틱톡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광고에 나타난 텍스트성과 수용자 해석에 관한 연구 - 이니스프리 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xtuality and Reader′s Interpretation mentioned in The AD - especially on innisfree advertisement-)

  • 김민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89-19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에 나타난 텍스트성에 기초하여 광고가 수용자 에게 해독되는 과정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풀어보고 광고텍스트에 나타난 슈기적 기호체계들의 관계를 규면하는데 있다. 이를 위래 일정시기돈안 집행되었던 연작광고를 중심으로 가변적 특성을 파악 했으며 이를통해 텍스트간의 연결구조와 수용자의 광고 해석에 관한 의미구조 파악에 접근 하였다. 이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모색할수 있었다 광고택스트는 제품자체의 질이나 삶의반영 이라기 보다는 변혁적 기표를 사용하여 메세지를 생산한다 뿐만아니라 그 자체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하여 정보 지향적인 관범을 취하기보다는 사고의 변형적 방법을 선택한다. 관고는 그 자체의 생산적 노력에 못지 않게 여러채널을 통한 수요자의 해석여부에 따라 그 이상의 메세지를 생산할수 있다. 연상텍스트의 내,외적 연결성 수용자의 해석과정,테마적 구성은 광고 텍스트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 PDF

모바일 채널을 활용한 협동적인 마케팅 전략: OB 맥주 신제품 모바일 캠페인 (A Cooperative Marketing Strategy using Mobile Communications: The New OB Mobile Campaign)

  • 이중엽;김범수;안중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153-171
    • /
    • 2005
  • 모바일을 활용한 마케팅의 장점 중의 하나는 고객에게 도달하는 채널을 다양하게 가져갈 수 있고, 보다 직접적인 마케팅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는 마치 고객까지 이어지는 길을 넓혀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거리를 단축시켜 시간을 줄이는 것과 유사하다. 국내 모바일 광고 시장은 태동기인 2001년 14억 원을 시작으로 2004년 400억 원을 넘어서는 급성장을 하고 있다. 영국 조사기관 OVUM은 2005년 세계 모바일 광고 시장이 1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모바일 인프라 구축과 확산에 비하여 이의 효과적 활용 부족이 많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 가입자 중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이용한 기업의 적극적인 활용 전략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채널의 특징, 개인화 가능성, 일인 매체성, 공간 비제약성, 시간자유성 등을 고려한 기업에서의 전략적인 활용 방안을 예시하고 비교하며, 기업 모바일 마케팅 전략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분석하였다. 특히, AIDMA의 단계축소효과와 다양한 채널 연계를 통한 고객접점의 극대화라는 두 가지를 중심으로 기존에 시행된 모바일 마케팅 사례를 분석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진 대표적인 모바일 마케팅 사례로서, OB맥주 모바일 마케팅을 위의 두 가지 특징과 참여업체들간의 협동적인 채널 구성을 통한 win-win 마케팅 전략으로 그 효과를 소개한다.

지상파 계열 MPP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유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s of portfolio of MPP(multiple program provider) -Focused on the affiliates of free TV-)

  • 이문행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107-139
    • /
    • 2008
  • 급변하는 방송 환경 속에서 지상파 방송사는 광고 매체로서 또한 제작사로서 그 역할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변화하는 방송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지상파 방송사의 채널사용사업으로의 진출에 주목하고 지상파 계열 MPP를 에이커(Aaker)가 제시한 캐쉬 카우 브랜드 방패 브랜드, 전략적 브랜드, 실버 블렛 브랜드, 브랜드 에너자이저 등의 5가지 브랜드 포트폴리오 유형에 따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상파 계열 MPP들은 다른 케이블 채널에 비해 높은 광고 수익으로 안정적인 채널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포트폴리오 전체에 수익을 창출해주는 캐시 카우 브랜드 사례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 지상파 방송사들 간의 포트폴리오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브랜드 간 역할도 중복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 PDF

OTT(Over The Top) 서비스 플랫폼에서 디지털 콘텐츠마케팅 효과 연구: 간접광고 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ntent marketing in OTT (Over The Top) service platform: focusing on indirect advertising types)

  • 김태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5-164
    • /
    • 2020
  • 본 연구는 OTT(Over the Top) 서비스 상에 노출되는 간접광고의 유형에 따른 효과를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지상파채널에 실제 방영되었던 간접광고를 3가지 유형의 실험 자극물로 구성하여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 장비를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시청한 간접광고에 대한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응시시간과 응시횟수 모두 맥락적 PPL, 단순노출 PPL, 일반협찬 PPL순으로 차이가 있음을 밝혀졌으며, 맥락적 PPL과 단순노출 PPL은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협찬 PPL은 단순회귀분석결과, 광고태도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OTT서비스에서 간접광고의 가능성과 OTT서비스를 통하여 마케팅을 펼치려는 기업에게 보다 효과적인 간접광고의 전략적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지역 지상파방송 대응 전략 (Strategies of Local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 정종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92-209
    • /
    • 2011
  • 본 연구는 미디어 시장에서 종합편성채널 도입이 확정된 이후 지역 지상파방송사들의 대응전략을 살펴보았다. 종합편성채널 등장으로 시장경쟁력이 취약한 지역 지상파방송은 제한된 광고시장에서 더욱 생존의 어려움에 내몰린다. 그리고 지역 지상파방송은 규제의 측면에서 종합편성채널에 비해 차별적 적용을 받는다. 의무재송신, 방송권역, 편성규제, 광고규제, 방송발전기금 등에서 역차별을 받고 있다. 이에 지역 지상파 방송사는 어려운 미디어 환경에서 다각적인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강화가 절실할 때이다. 그러기에 콘텐츠 유통구조를 다원화할 필요가 있다. 지역방송의 유통구조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에 지역프로그램 편성총량제 도입이 강조된다. 지역방송사가 제작한 프로그램이 주시청시간대에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정규적으로 방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의무화정책이 그 예이다. 또한 독자적인 우수한 콘텐츠개발로 2차 유통창구의 다원화가 필요하다. 각 지역방송사와 SO 등 다양한 플랫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역방송사간 권역 간, 권역별 공동제작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중앙사와 지역 방송사 간 전파료를 현실적으로 분배해야 하고 지역방송 자체적으로도 수익모델을 광고 이외에 협찬과 자체사업을 확대하여 경쟁력을 강화시켜 자생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광역화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전자신문 제공업자를 위한 인터넷 상에서의 개인화된 광고 기법 (Personalized Advertising Techniques on the Internet for Electronic Newspaper Provider)

  • 하성호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3권1호
    • /
    • pp.1-21
    • /
    • 2001
  •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WWW)의 폭발적인 성장은 온라인 기반의 전세계적인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촉발시켰다. 상거래를 위한 매체로서의 인터넷의 급속한 도입은 기업과 소비자간에 새로운 대화 채널로서의 웹 기반 광고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제대로 된 웹 광고가 올바르게 소비자에게 전달된다면 웹 광고의 효과는 극대화되고 기업의 수입은 지대하게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상에서 전자 신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위한 지능화된 고객 서비스의 일환으로 개인화(personalization) 된 광고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자 신문은 통상적으로 정치, 경제, 스포츠, 문화 등의 여러 섹션으로 구분되어 제공되어지는데,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 기법을 도입하여 고객이 전자신문 페이지에 접속, 검색하고 읽어보는 기록을 분석하고 적절한 웹 광고 (특히, 배너광고)를 선택한 뒤, 그것을 고객이 해당 웹 사이트에 재접속할 때 제시함으로써 웹 광고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극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한민국의 인터넷 전자신문 제공업자 중 유명한 한 곳을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 PDF

온라인 동영상 시청 플랫폼의 정보구조 탐색 - 웹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tructure of Online Video Platform Focused on Web-Drama Case)

  • 차동민;성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웹드라마가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들을 대상으로 접근단계 분석과 광고 노출빈도 측정을 통해,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웹드라마 시장의 점유율을 확인하고 접근단계와 광고회피를 바탕으로 채널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신 콘텐츠에 대한 접근단계는 2~3단계이며 접근단계로 인하여 사용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메인페이지나 검색결과에 노출되지 않아 디렉토리 검색이 필요한 경우 5~6단계의 접근단계가 필요하였다. 광고는 모든 플랫폼에서 2개 이상의 이미지광고가 표시되며, 유튜브와 네이버tv는 동영상 플레이어 내부에서 영상시작 전 프리롤(Pre-roll)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확인했다. 위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정보구조 상에서 디렉토리 검색을 하는 경우 높은 접근단계와 많은 광고노출로 사용자의 이탈률이 증가하고, 재방문 빈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드롭다운(Drop-Down) 메뉴를 활용하여 접근단계를 줄이는 정보구조 개선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