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악산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韓國)의 병꽃나무속(屬)의 화분형태(花粉形態)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Weigela in Korea)

  • 김지문;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6-50
    • /
    • 1979
  • 한국산(韓國産) 병꽃나무속(屬)의 화분형태(花粉形態)를 지역별(地域別),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화분(花粉)의 크기는 4종(種)사이에 변이(變異)가 있으며 붉은 병꽃나무가 가장 크고, 병꽃나무가 가장 적었다. 2. 한 종(種)에서도 화분(花粉)의 크기는 지역별(地域別), 시기별(時期別)로 차이가 있으며 가을에 채취(採取)한 병꽃나무가 가장 적었다. 3. P/E지수는 변이(變異)가 적으며 뼝꽃나무와 골병꽃나무는 아편구상(亞扁球狀)이고, 붉은병꽃나무와 소영도리나무는 구상(球狀)이다. 4, 관구(管口)의 수(數)는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의 병꽃나무속(屬)은 3개인데, 관악산(冠岳山)과 보문산(寶文山) 지역(地域)의 병꽃나무에서 4개가 관찰(觀察)되었다.

  • PDF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 최윤성;김찬종;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8-19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답사 장소를 개발하고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야외지질학습에 적용하는 것이다. Orion(1993)의 가상의 공간(Novelty Space)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하고 답사 장소를 개발하였다. G 영재 교육원 과학과 8명 학생을 대상으로 '관악산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하여 총 5차시 분량의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을 실시하였다. 야외지질학습 전후로 1차시 분량의 설문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심층 면담에서는 개념 확인과 야외지질학습의 정의적인 면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야외 답사 장소는 계곡 하류와 상류로 각각 명명하였고 변성암, 화강암, 절리, 포획암, 광물 입자를 관찰하도록 구성하였다. 두 번째, 사전 조사에서 관악산은 화산으로 만들어졌다고 응답한 학생이 7명이었다. 반면, 야외지질학습이 종료된 이후에는 7명 학생이 화강암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고 변성암을 예시로 지질시대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시간적인 스케일을 이해했음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심층면담에서 지질학에 대한 낮은 성취를 보여주는 학생이 야외지질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주었다. 즉, 학습의 정의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야외지질학습에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지질교육에 모델을 적용한 사례이고 동시에 교사에게 야외답사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지질학습에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적용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레이더 추정강우의 수문학적 활용 (I): 최적 레이더 강우 추정 (Hydrologic Utilization of Radar-Derived Rainfall (I) Optimal Radar Rainfall Estimation)

  • 배덕효;김진훈;윤성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2호
    • /
    • pp.1039-104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 레이더의 수문학적 활용성을 높이고자 최적의 레이더 강우를 추정하기 위해 관악산 레이더 자료를 대상으로 POD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지형클러터 및 빔 차폐영역 등을 제거하고 Marshall-Palmer의 Z-R 관계식으로 레이더 강우를 추정한 결과 강우계 관측강우와 비교하여 시$\cdot$공간적으로 과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계 관측강우와의 실시간 보정기법을 소양강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평균 G/R 값은 $0.95\~1.32$로 적정분포를 보이고 평균편차는 $9\~28\%$ 범위로 감소되어 불확실성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편차가 보정된 최적 레이더 추정강우로 소양강 유역평균 강우량을 산정한 결과 관측강우와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간 편차보정 기법은 수문학적 유역평균 강우량 산정시 다소 과소추정되는 레이더 강우정보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회양목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uxus koreana in Kwanak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이호영;오충현;이상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9
    • /
    • 2012
  • 서울시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고, 지정사유인 회양목 분포지를 대상으로 지형특성과 토양특성 분석을 통해 이 지역 회양목 분포의 특성을 밝히고자 $100m^2$ 조사구 22개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 결과 리기다소나무군락(I), 리기다소나무-회양목군락(II), 신갈나무군락(III),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락(IV)으로 분리되었다. 회양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과 양분조건이 양호한 계곡부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토성분석 결과 점토 성분이 낮게 나타나 배수조건도 회양목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사가 급하고 암석 비율이 높은 지형에 입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토양분석 결과 회양목이 분포하는 토양의 평균 pH는 4.79로 회양목 분포하지 않는 식생의 평균 pH 4.41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a^{2+}$$Mg^{2+}$ 등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치환성양이온 함량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보여 회양목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WPMM 방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수량 추정 : 1. 1998년 여름철 관악산 DWSR-88C를 위한 Ze-R 관계식 산출 (Radar Rainfall Estimation Using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 : 1. Establishment of Ze-R Relationship for Kwanak Mt, DWSR-88C at Summer, 1998)

  • 김효경;이동인;유철환;권원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5-36
    • /
    • 2002
  • 1998년 여름철, 기상레이더와 레이더 주위의 고밀도 우량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Z_{e}-R$ 관계식을 산출하기 위하여 관악산 레이더 자료와 강우강도 자료의 확률밀도함수를 구해 확률이 같은 지점을 매치시키는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WPMM)라는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레이더 반사도의 확률 분포는 약 15dBZ에서 가장 많은 빈도 분포를 보였고 강우강도의 확률분포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시간당 10mm 이하의 비가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WPMM을 이용한 $Z_{e}-R$ 관계식은 로그 좌표계에서 곡선형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직선형의 분포를 가지는 멱급수 형태의 관계식에 비해 반사도를 강우량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개월 동안의 누적 강수량 산출시 $Z=200R^{1.6}$ 식은 실제 우량계 강수량의 44%만을 추정하는데 반해 WPMM의 경우는 실제 강수량의 80%까지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IV) -수종 미기록 목재부후균류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V) - on some unrecorded wood-rotting fungi -)

  • 임영운;홍순규;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68-72
    • /
    • 1999
  • 1997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 동안우리나라의 중부와 남부의 전역을 통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가 다양한 국내 산림지역을 중심으로 도합 35회 에 걸쳐 계룡산, 북한산, 설악산, 소백산, 속리산, 오대산, 치악산 국립공원, 강천산 군립공원, 모악산 도립공원, 공릉 및 마니산 국민관광지, 내량리 및 광덕산 일반지역, 적목리, 명지산, 수락산, 왕산, 봉화산 경기도 일대, 그리고 관악산, 대모산, 서삼릉, 서오릉 일대의 서울시 근교를 위시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균류 탐색과 채집을 실시하여 550점의 표본을 채집하고 이들 균류의 국내 분포상을 조사하면서 국내 민주름버섯류의 미기록종과 고유종의 발굴을 수행하였다. 동정된 균류중 2속 4종은 국내 미기록균류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미기록속을 열거하면 Meruliopsis(기준종=M. taxicola, 가죽아교버섯속, 신칭)와 Pseudomerulius(기준종=P. aureus; 주름버점버섯속, 신칭)이며, 해당 미기록종을 열거하면 고약버섯과의 Phanerochaete calotricha(깃털유색고약버섯, 신칭)와 Phanerochaete chrysorhiza(침유색고약버섯, 신칭), 아교버섯과의 Meruliopsis corium(흰가죽아교버섯, 신칭), 및 버짐버섯과적 Pseudomerulius aureus(주름버짐버섯, 신칭)이다. 1994년 정학성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98속 217종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1995년도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I보에서 발표한 2속 7종 미기록균류와 1996년도에 게재한 제 II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균류 및 제 III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균류와 함께 본 연구에서 확인된 2속 4종 미기록균류를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4속 240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내량리 , 대모산, 및 왕산에서 채집되었으며, 이들중 깃털유색고약버섯과 침유색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흰가죽아교버섯은 산벚나무, 및 주름버짐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군위 지역은 과거의 균류조사 기록의 부재와 지방 산업으로 인한 공해에도 불구하고 지역특유의 균류 분포상을 지닌 것으로 보이며, 서울과 서울근교는 정학성(1996)의 제 III보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다양하고 특이한 균류 분포상을 지니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군위 지역과 서울을 위시한 서울 근교 일대는 산업 공해와 관련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연구에 매우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 PDF

수도권 거주자의 산림 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 북한산, 관악산, 수락산, 도봉산 방문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Visits of Seoul Metropolitan Citizens to Forests: Focusing on the Visitors of Mt. Bukhan, Mt. Gwanak, Mt. Surak, and Mt. Dobong)

  • 박정열;김태희;김성윤;박동균;이희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36-46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를 중심으로 산림방문수요를 분석하여 산림방문수요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선택속성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총 6개의 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산림 이용과 관련된 일반적 사항 등의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지난 1년간 산림 방문횟수에 대한 결정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산림방문수요에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 중에서 관광자원요인, 인구통계적 변수들 중에서는 남성, 서울 거주자일수록, 산림이용과 관련된 변수들 중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림방문수요에 부(負)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산림선택속성요인 중에서 산림외적요인, 인구통계적 특성 중 화이트컬러 직업군 종사자, 대졸이상 학력자인 경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방문 수요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II) (Taxonomic Investigations on Korean Higher Fungi(III))

  • 김병각;최응칠;정경수;이영수
    • 생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9-208
    • /
    • 1976
  • 저자(著者)등은 1976년(年) 7월(月) 17일(日)부터 동년(同年) 11월(月) 14일(日)까지의 기간(期間)동안 서울과 경기도내(內) 5개지역(서울 : 관악산, 경기도 : 수원, 광릉, 갈매리, 오산리)으로부터 100여 종(種)의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31종(種)을 분류(分類) 확인(確認)하였다. 분류(分類)된 31종중(種中) 9종(種) 즉 (1) Scutellinia scutellata $(St.\;A_{MANS})$ $L_{AM}$ (2) Peziza vesiculsa $F_{R}.$ (3) Helvella atra $F_{R}.$ (4) Neobulgaria pura $(P_{ERS}.)$ $P_{ETRAK}$ (5) Trametes coccinea $F_{R}.$ (6) Amanita melleiceps $H_{ONGO}$ (7) Cotylidia burtina $(P_{T}.)$ $I_{MAZ}.$ (8) Sarcodontia copelandii $(P_{AT}.)$ $I_{MAZ}.$ comb nov. (9) Sphaerobolus stellatus $P_{ERS}.$은 한국 미기록종(種)이며, 이외에 2종(種) (1) Lycoperdon D.M.C-2 및 (2) Tuber melanosporum도 잠정적으로 미기록종(種)이라 사료된다. 한편 Neobulgaria pira $P_{ERS}.$가 속해있는 과(科)인 Helotiaceae와 Sphaerobolus stellatus $P_{ERS}.$가 속해있는 과(科)인 Sphaerobolaceae는 각각(各各) 한국 미기록과(科)이다. 이에 저자등은 이들에게 신칭을 붙여 각각(各各)의 외부(外部)형태와 현미경적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들의 사진과 함께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등산활동의 건강관련 동기요인과 유인요인 분석 (Analysis of Health-related Push and Pull Factors in Mountain Climbing)

  • 김재준;이혜린;이민하;강민지;박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27-333
    • /
    • 2011
  • 본 연구는 등산객의 건강과 관련된 동기요인과 산림환경이 갖는 유인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 간의 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봉산, 북한산, 관악산, 청계산을 찾은 등산객 440명에 대해 건강과 관련된 15개의 동기항목 및 11개의 유인항목을 설문조사한 결과, 등산동기요인으로 '질병치료 치유', '정신 사회적 건강', '신체적 건강' 등 3개 요인을, 등산유인요인으로는 '인문환경',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환경' 등 3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요인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질병치료 치유요인과 신체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자연환경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신 사회적 건강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인요인은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 -on some unrecorded species-)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228-236
    • /
    • 1996
  •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도합 1속 6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해당 미기록속은 고약버섯과의 가루고약버섯속(신칭, Tylospora)으로 그리고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조각부후고약버섯(신칭, Athelia fibulata), 백설후막고약버섯(신청, Hypochnicium punctulatum), 흰가루고약버섯(신칭, Tylospora fibrillosa), 꽃구름버섯과의 배착꽃구름버섯(신칭, Stereum ochraceo-flavum), 수염버섯과의 흰바늘버섯(신칭, Steccherinum litschaueri), 그리고 구멍장이버섯과의 배착손등버섯(신칭, Oligoporus undosus)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정학성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추가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종과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1속 230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덕유산, 소백산, 지장봉, 및 천마산에서 채집되었으며 섬유부후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참나무, 흰바늘버섯은 단풍나무, 주로 침엽수에 서식하는 배착손등버섯은 딱총나무, 삼림의 부후재목과 부식토에서 발견되는 흰가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그리고 낙엽송과 향나무와 같은 침엽수 위주의 숙주에 서식하는 백설후막 고약버섯은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에서도 발견되었다. 그중 백설후막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면 천마산에서 그리고 백설후막고약버섯과 흰가루고약버섯 및 배착손등버섯은 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지장봉에서 채집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그간 균류조사의 미답지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이들 지역의 균류 분포상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과거에 조사된 균류의 분포 기록을 참조하여 볼 때 경기도 남양주군 진접읍 광릉 일대에서 다양한 균류상이 계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금번 조사를 통하여 경기도 포천군과 광릉 지역을 포함한 남양주군 일대가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연구에도 매우 이상적인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