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교수학습 모형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Feature and Application of Science Teaching Models (과학 교수 모형의 특징과 적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 Cho, Hee-Hyung;Kim, Hee-Kyung;Yoon, Hee-Sook;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5
    • /
    • pp.557-575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science teaching model for use as criteria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science in secondary schools.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 goals have been organized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literature on the teaching and/or instructional model. The teaching models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each area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cdot$ Traditional models: teaching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lectures,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discovery, acquisition of inquiry process skills through inquiry-based teaching/learning $\cdot$ Transitional models: demonstration and discovery as teaching strategies, acquisition of inquiry process skills through inquiry approach, acquisition and change of scientific knowledge $\cdot$ Modernistic model - conceptual change models: differenti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exchange of misconceptions for scientific concepts - learning cycle models: conceptual differentiation, exchange of misconceptions, acquisition of science process skills Also described in this paper are the model's characteristics and goals that can be used 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e subject that will be taught.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Han, Oak-Young;Kim, Jae-Hyo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2
    • /
    • pp.13-22
    • /
    • 2011
  • The importance of algorithm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Especially,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related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re under development to enhance logical thinking.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teaching-learning models applicabl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reflects two characteristics : an algorithm learning process is spiral, and algorithm education is based on logical thinking.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result was a mixed teaching-learning model with PBL, SDL, and peer tutoring. Based on the proposed model, examples of classe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are suggested to show the feasibility of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Thinking Extension of Information-Gifted by Steps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결과 비교 분석)

  • Young-Uhg Lho;Deok-Gil Jung;Byung-Jo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66-1169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정보 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트리 구성과 트리 탐색에 기반을 둔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제시된 교수-학습 모형은 문제를 표현하는 트리의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 모형은 다시 네 가지 단계의 학습 단계로 구성된다. 구성되는 트리의 모형에 따라 적용되는 알고리즘에는 recursion, heuristic, minimax 탐색 방법 등이 도입되어 적용된다. 이 모델은 저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간단한 모형에서 출발하여 고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복잡한 모형으로 발전시키는 교육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고력 신장의 정도에 따라 초등학교 학생들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에 이르기 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점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 유형별로 학습 단계간의 적용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on Digital Citizenship and Empathy (디지털 시민성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과학수업이 디지털 시민성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 Lee, June;You, Suk-Kyung;Lee, Yun-Ou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91-102
    • /
    • 2021
  •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digital citizen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For this purpose,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28 students) was taught science classes using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28 students) was taught in regular lectures. The measurement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were digital citizenship and empathy tools. The data collected for the effect verification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COVA.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showed higher scores of digital citizenship and empath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applying the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digital citizenship and empath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s of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model at different school levels and other subjects.

A Study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the Combination Training of Mathematics-information Gifted Students (수학.정보영재 통합운영 교수-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 Lee, Seok-Ju;Kim, Eui-J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3
    • /
    • pp.596-601
    • /
    • 2008
  • The study shows the typical 7 models of gifted students teaching-learning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so far and suggests on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odel that we can commonly apply to mathematics-information gifted students. This teaching-learning model is developed, based on Renzulli Enrichment Triad Model.

A Design of Automatically Chang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SA for Smart Learning System (스마트 러닝 시스템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자동변화 SSA 설계)

  • 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45-1446
    • /
    • 2011
  • 최근 스마트 컴퓨팅 시대를 맞아 스마트 러닝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 러닝의 개념은 크게 2가지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과 학습을 위한 스마트 학습 기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스마트 학습 기법은 학습자에게 좀 더 효율적이면서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학습자의 성향과 학습자의 프로파일, 학습 상황 등을 인지하여 분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에게 스마트 러닝을 위한 스마트 학습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러닝 시스템은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자동으로 적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습의 유형과 학습 패턴의 변화에 따라 시스템이 학습자에게 지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모형이 학습자에게 자동변화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향분석 그리고 형성평가, 사후평가 등의 데이터 분석을 수집하고 자동으로 분석하여 적용 할 수 있는 스마트 학습 에이전트(SSA:Smart Study Agent)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SA 설계를 기반으로 스마트 러닝 시스템의 필요성과 향후 연구 발전에 따른 이러닝(e-learning) 교육 혁신에 기여하고자 한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Creativity Improvement Learning Model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활용한 창의력 증진 학습모형 개발 연구)

  • Chung, Young-Ho;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40-1043
    • /
    • 2013
  • 최근 IT기술의 발전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IT의 기술이 학습환경을 변화시키며 학습모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창의적인 생각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중요시 하는 국가적 교육 경쟁력이 핵심으로 작용하면서 창의력 증진을 위한 학습모형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지식보다는 그룹의 지식이 강조되는 집단지성 기반의 창의력 증진 학습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학습모형은 교수자 중심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 이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참여자라는 집단의 생성과 학습 자료의 공유, 개방을 극대화 한 창의력 증진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창의력 증진 학습모형을 위한 기술과 교육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의 통합적 적용 설계 모델을 제시한다.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hn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제해결력 향상 교수학습 모형개발)

  • Kim, GilYong;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9-502
    • /
    • 2009
  • 7차 교육과정은 응용소프트웨어를 얼마나 잘 다루는지와 같은 컴퓨터를 도구적 활용을 중점으로 구성되었다. 컴퓨터 과학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구현하기 이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방법과 절차라는 대영역이 포함되었다. 정보과목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에서 다양한 문제를 이해 분석하여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어 원활한 교수학습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도구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상용소프트웨어들의 비용부담과 언어적 문법, 에러발생에 대한 해결에 비중이 높아 학습자가 겪는 인지적 부담을 감소 할 수 있는 EPl(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인 Scratch 프로그래밍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Explor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 Choi, Kyoul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483-507
    • /
    • 2014
  • This is a follow up study to develop an education model focu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model that was developed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ience-gifted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nd studying science-gifted educational methods by using a Delphi survey. The developed science-gifted education model, termed the Blossom Model, consists of four educational dimensions: leadership, science inquiry, convergence, and problem solving. The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Blossom Model were developed with fou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were applied to unit schools' gifted education classes or district education office's gifted education center. After clas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dividually, and students' outcomes were collected. So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model was suggested by analyzing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