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지식의 구조

Search Result 36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현황과 지식구조 분석)

  • Kim, EunMi;Yi, Chan-Go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1
    • /
    • pp.33-6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to analyz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dopt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we established a data set of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and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from 1993 to 2016. As a result of analysis, a great part of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Seoul and Daejeon area,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 So it should be carried out in diversified form rather than being concentrated on specific regions or research performing subjects in the future. By research scope, more than 70%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future, more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in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we performe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lustered into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So It has not been different from research scope proposed by Yi, Kim and Oh(2016). And also, in earlier stage, research topics were general such as researchers and R&D investment. But as time goes by, topics were more diversified and subdivided. Therefore, in future, the research scop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hould be further expanded in terms of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systematic knowledge structure should be formed.

국가지원 슈퍼컴퓨팅센터의 발전방향

  • Song, Wi-Ji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2
    • /
    • pp.104-107
    • /
    • 2003
  • 지식하부구조는 '능력'의 형태를 띠고 있다. 능력은 기본적으로 지식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 지식은 기초연구 또는 교과서나 설계도와 같은 형식화된 지식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공식언어로는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 암묵적인 지식(tacit knowledge)까지 포괄하고 있다. 암묵적인 지식은 일반적으로 기업 특수적 성격을 지니고 있거나 산업 특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암묵적인 지식은 공동의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나 조직들 사이에 공유되는 지식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능력으로서 존재하는 지식하부구조는 특정 산업이나 영역에서 국지성을 지니고 있다고 파악된다.

  • PDF

심포지움-기술과 사회 변동

  • Kim, Gyeong-D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2 no.6 s.121
    • /
    • pp.27-32
    • /
    • 1979
  • 산업사회를 구성하고 발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힘은 과학과 지식이다. 그러므로 과학지식의 구조와 그림자는 현대사회의 구조와 과제에 그대로 반영된다. 한국과학저술인협회는 6월 18일 성균관대학에서 「과학과 사회」심포지움을 갖고 현대과학의 방법론적 특징등을 분석, 현대사회와 현대인이 처한 상황 진단을 모색했다. 이날 심포지움에서는 김경동교수(서울대 사회학과)의「기술과 사회변동」 및 노재식 박사(원자력연구소 환경부장)의 「국가발전과 환경보전」등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다음은 그 요지이다.

  • PDF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Knowledge state Analysis of Light Concept Through Evaluation Questions (평가 문항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빛 개념 지식상태 분석)

  • Lee, Hyeong-Jae;Ha, Ji-Seon;Park, Sang-T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4
    • /
    • pp.861-884
    • /
    • 2011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15 evaluation questions about light to 30 middle school students in K University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n we used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knowledge state about light. By schematizing the hierarchy from it, we intended to not only measure students' knowledge state about light, but use it as the basic materials to improve teach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evaluation results and individual knowledge state and hierarchy of questions.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t knowledge structures in the individual, and we found that we should diagnose them differently. In addition, we have had implications that it has the connection with each questions and the individual knowledge stat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eveloped by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 Yang, Jungeun;Choi, Aer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5
    • /
    • pp.565-58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developed by fiv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Science teachers in this study collaborated to examine lesson plans and reflect on teaching practice and collaboratively analyzed science curriculum, discussed video-recordings of teaching practice, and discussed to design detailed and elaborated lesson plan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pre and post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udio-recording of teacher discuss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one year, lesson plans, teacher written reflection, and video-recording of teaching practice. Data analysis reveals that science teachers develop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that consists of eleven sub-components of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for science practice, knowledge of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al strategy, knowledge of students' science practice-based learning, and knowledge of science practice-based learning assessment. Science teachers in this study developed highly structur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practice-based instruction.

Fundamental Structure of Knowledge in Nursing (간호학의 기본 지식 구조)

  • Lee, Kwang-Ja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3 no.3
    • /
    • pp.127-144
    • /
    • 1983
  • 오늘날은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지식의 수명이 점차 짧아져 가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식의 증가는 단순히 지식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뿐 아니라 많은 기존지식을 불충분하고 쓸모 없는 것으로 바꿔버리게 한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어떤 특정지식의 축척보다는 그 학문에 내재해 있는 기본적인 지식의 구조를 학습하게 하여 여러 가지 개념을 관련시키는 논리적 방법을 학습하게 하고 합리적인 탐구방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여 변화하는 미지의 세계에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의 기본 지식구조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간호업무의 근거로 활용도리 지식체계는 교육과정의 조직원리로 작용될 유형이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런 유형이나 구조를 중심으로 간호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간호교육에 필수적이라는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연구방법은 1982년 9월부터 1983년 5월에 걸쳐 간호학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간호학의 개념적 지식구조와 구문적 지식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간호학의 개념적 구조: 모든 학문에는 탐구의 대상인 특수현상을 설명하고 서술하는데 활용되는 일련의 실질적, 개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학문의 중요한 부분 또는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들이 그 분야 또는 학문의 개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결과 간호학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대표적 특질을 지닌 개념은 인간, 건강, 환자/대상자, 간호, 행동으로 분석되었다. 2. 간호학의 구문적 지식구조 : 지식구조의 두 번째 요소인 학문의 구문(syntax)은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과 관련되나 개념적 구조와 마찬가지로 탐구방법은 학문에 따라 다르며 그 분야의 주요양상을 나타낸다. 연구결과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은 공동적으로 간호과정(nursing process)임이 나타났으며 그 요인으로는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다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 PDF

Mapping Knowledge 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University Research Domain Analysis (대학의 연구 영역 분석을 통한 과학 기술 분야의 지식 구조 매핑에 관한 연구)

  • Chung, Young-Mee;Han, Ji-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2
    • /
    • pp.195-210
    • /
    • 2009
  • This study explores knowledge struc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disciplines using a cocitation analysis of journal subject categories with the publication data of a science &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y in Korea. References cited in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 faculty of the university were analyzed to produce MDS maps and network centralities. For the whole university research domain, six clusters were created including clusters of Biology related subjects, Medicine related subjects, Chemistry plus Engineering subjects, and multidisciplinary sciences plus other subjects of multidisciplinary nature. It was found that subjects of multidisciplinary nature and Biology related subjects function as central nodes in knowledge communication network in science and technology. Same analysis procedure was applied to two natural science disciplines and another two engineering disciplines to present knowledge structures of the departmental research domains.

Future Direction of Expert Communities (전문가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

  • 이주영;한선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517-524
    • /
    • 2003
  • 현재 전 세계 각국은 지식 경쟁력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풍부한 인터넷 인프라를 구비하여 지식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충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인력은 인터넷 시대의 핵심적 지식 자원으로서, 전문가 두뇌 연계 망(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을 통해 해당 분야 전문가간 협력 및 교류가 진행되면, 지식 정보의 동시 생성, 공유, 활용 체제의 확립이 가능하다 전문가 커뮤니티의 구성원은 정보의 공유와 확산에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지식의 선 순환 구조를 이루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과학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KOSEN, www.kosen21.org)를 사례로 전문가 네트워크의 역할과 특징을 살펴보고, 지식 기반 사회에서 전문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KOSEN은 지식의 생성, 공유, 활용 등의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과학기술 전문가 커뮤니티이다. 향후 인적 자원 및 정보 자원의 적절한 연계를 통해 지식의 활용 측면을 더욱 확대하여 본격적인 지식 정보 활용의 장으로 거듭나야 한다. 컨텐트 가치증대를 통한 전문가 참여 확대, 전문가들간 상호 연계의 확대를 통한 소 공동체 형성, 전문가들간 상호 학습, 정보 거래 메커니즘 구축 등의 다양한 방안을 통해 보완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식공학을 위한 하드웨어

  • 황시영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5 no.3
    • /
    • pp.43-50
    • /
    • 1988
  • 대다수의 사람들이 갖고 있지 않은 특정분야-예를 들어 의학, 법률, 과학적 분석, 회로설계 등-의지식을 요하는 일은 이에 필요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에 의해서만 가능하였으나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이런 일을 해주는 프로그램의 탄생을 보게 되었으며 이런 프로그램을 전문가 시스템이라고 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을 지식공학(knowledge engineering)이라고 한다. 지식공학은 인공지능을 응용면에서 추구하는 바이며 지적기능을 프로그램화하는 과학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지식공학을 위한 컴퓨터 구조를 기술하기 전에 인공지능 응용 프로그램의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Globalization Trends in the Korean Scientific Knowledge: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the Scientific Collaboration Structure in the Science Citation Index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한국 과학지식의 세계화 추이 분석: 한국 SCI 저널의 발전 양상과 분야별 차이)

  • Kim, Young J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2 no.2
    • /
    • pp.1-31
    • /
    • 2012
  • Rapid globalization process is applying to Science field in Korea. Until now, most researches and government's announcement used to examine the scientific level of Korea by using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e SCI Journals. I investigate other aspects of the scientific globalization: a scientific collaboration trend, participations of foreign researchers, and the national level of collaboration networks. There are increasing patterns in collaboration and foreign researchers' participation, and the Impact Factors of the Journals were preceded by inflating trend in the participations of foreign researchers. Also, the breadth and the density are different from each science fields in the national level of collaboration networks. These findings are related to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the Korean science journals and the science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