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지질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32초

UV-B가 벼잎의 carotenoid, polyamine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V-B radiation on carotenoids, polyamines and lipid peroxidation in rice (Oryza sativa L.) leaves)

  • 김학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35-642
    • /
    • 1996
  • UV-B증가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과 UV-B조사에 대한 carotenoid 및 polyamine의 지질과산화 방어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자연광 이용의 인공기상실내에서 12일간 벼 (Oryza sativa L., cv. Koshihikari) 유식물에 2단계의 UV-B조사 실험을 수행했다. UV-B처리에 의한 건물량의 감소는 조사시간의 경과와 함께 증가하였다. 지질과산화산물인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은 6일간의 UV-B처리에 의해 약 30 %의 증가를 보였다. Carotenoid의 함량은 UV-B처리에 의해 약 10%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벼에는 크게 3종류의 polyamines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이 존재하였으며, 이들 모두 UV-B처리에 의해 상당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V-B조사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가 생체막지질의 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polyamine의 증가는 UV-B조사에 의한 세포막 파괴를 막기 위한 생화학적 방어반응으로 사료된다.

  • PDF

발효 대두 식품의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by fermented soybean)

  • 류병호;박종옥;김의숙;임복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74-581
    • /
    • 2001
  • 대두 발효 식품의 항산화 활서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과산화 지질의 생성 억제와 항산화 관련 효소인 superoxide dismutae(SOD), catalase및 glu-tathion perosidase 활성을 증강시키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실험한 결과 대두 발효식품은 POV와 관산화 지질의 생성을 유의성있게 억제시켰으며, quercetin과 catechin와 비교와 결과 SOD 활성은 상당히 높았다. 그리고 대두 발효 식품은 SD계 수컷 쥐에 2주간 사료에 첨가하여 먹인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결과, 대두 발효식품을 쥐에 투여하여 사염화 탄소($CCl_4$)로 손상을 유도시킨 뒤 쥐의 간 microsome의 지질 과산화를 유의성 있게 억제 시켰다. 항산화 관련 효소인 SOD, catalase 및 glu-tathion perosidase 활성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지질 과산화도 억제시켰다. 따라서 대두 발효 식품은 산화 스트레스로 생성되는 활성 산소의 소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Opuntia ficus-indica가 과산화지질 및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on Lipidperoxide and cholesterol level)

  • 전홍기;정영기;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65-870
    • /
    • 2003
  • 본 연구는 손바닥 선인장 투여 후 급성 $CCl_4$ 로 처리한 흰쥐의 간과 혈청을 사용하여,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lipid, triglyceride (TG)를 간조직중에서 MDA를 측정함으로써 과산화지질 활성도와 콜레스테롤의 양을 조사하였다 OFC군은 손바닥 선인장 200mg/kg을, CTA 군은 saline을 2주간 매일 투여한 다음 간 손상의 유도는 사염화탄소를 olive oil에 1:1 비율로 용해시켜 체중 1kg당 50% $3.3m\ell$ 의용량을 복강으로 해부하기 24시간 전에 반 투여, 12시간 전에 나머지 반 투여하였다. 그 후 10시간 절식 후 혈액과 간을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간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CTA 군은 NCT 군에 대하여 31.9% 증가를 보였으나, OFC 군에서는 CTA 군에 대해 32.6%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중 total lipid와 TG의 양은 손바닥 선인장을 투여한 군 (OFC) 이 CTA 군에 비해 각각 16.8%, 52.3%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은 OFC 군이 CTA 군에 대해 각각 12.7% 17.4% 정도로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cholesterol은 CTA 군이 NCT 군에 대해 42.8% 감소하였으나, 손바닥 선인장을 투여함으로써 CTA 군에 대해 19.7% 증가를 나타냈다. 동맥경화지수는 CTA 군이 NCT 군에 비해 3.6배 높고, OFC 군이 CTA 군에 비해 1.8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손바닥 선인장을 투여한 후 간 독성을 유발하였을 때 과산화지질 및 콜레스테롤이 유의적인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식이 중의 Coenzyme $Q_10$첨가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1. 지질과산화물 대사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enzyme $Q_10$ on Lipid Peroxidation in Adriamycin-treated Rats - I. Effect on Lipid Peroxide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서정숙;한인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3호
    • /
    • pp.166-178
    • /
    • 1991
  • 식이 중에 첨가된 conzyme $Q_{10}$이 ADR을 투여한 횐쥐의 체내 지질과산화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1에서는 basal diet로 적응시킨 후 바로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함과 동시에 ADR을 투여하였으나 실험2에서는 coenzyme $Q_{10}$이 미리 섭취된 상태하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자 basal diet로 적응시킨 다음 4주간 실험식이만을 급여한 후 다시 4주간 실험1과 같은 방법으로 ADR투여와 실험식이 공급을 병행하였다. 실험군은 실험1과 2에서 모두 ADR 2수준 (1.Omg/kg B.W./week. 2.0mg/kg B.W./week)과 coenzyme $Q_{10}$ 3수준(무첨 가군, 0.1g/kg diet 및 0.5g/kg diet)에 의한 6개의 실험군과 basal diet만을 공급하는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혈장과 심장 mitochondria내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수준별 ADR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coenzyme $Q_{10}$ 첨가에 의하여 이러한 경향은 조절되었다. 실험2에 있어서 심장 mitochondria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coenzyme $Q_{10}$의 첨가에 의해 실험1에 비하여 그 감소효과가 더욱 증대되었다. 지질과산화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적혈구와 심장조직내에서의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1에서 GSH-Px 활성도는 적혈구 내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고수준의 ADR을 투여 한 실험군의 심장조직에서만 coenzyme $Q_{10}$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SOD 활성도 역시 적혈구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심장조직 내에서 ADR투여로 증가되었으나 coenzyme $Q_{10}$의 급여로 그 활성도가 더욱 유도되었다. Catalase의 활성도는 심장조직 내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적혈구내에서 ADR투여로 그 활성도가 증가되었으나 coenzyme $Q_{10}$의 급여는 그 활성도의 유도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실험2의 적혈구내에서는 GSH-Px활성도가 고수준의 ADR의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심장조직의 효소활성도에 있어서는 GSH-Px의 경우, 고수준의 coenzyme $Q_{10}$의 급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며 SOD활성도는 ADR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coenzyme $Q_{10}$의 공급에 의해 더욱 유도되었다. 그러나 catalase 활성도는 모든 처리군들 사이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ADR투여로 유발되는 심장의 손상은 생체내 지질과산화반응의 유도가 중요한 원인이 되고 이는 coenzyme $Q_{10}$ 급여에 의해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유지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양조간장과 멜라노이딘의 지질산화 억제효과 (Protective Effect of Soybean Sauce and Melanoidin on Lipid Oxidation in Rats Fed High PUFA Oils)

  • 이상조;류승희;이영순;송영선;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13-920
    • /
    • 2003
  • In vitro와 in vivo에서 양조간장과 glucose-lysine 모델 멜라노이딘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In vitro에서 양조간장과 멜라노이딘의 항산화효과를 linoleic acid emulsion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양조간장과 멜라노이딘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조간장의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멜라노이딘에 비해 양조간장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이 상이한 옥수수기름과 어유를 섭취시킨 흰쥐에 10% 양조간장 및 멜라노이딘을 5주간 섭취시켰을 때 간의 지방산 조성은 섭취 지방산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양조간장과 멜라노이딘의 효과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로 측정하였을 때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어유 섭취군에서 지질과산화가 증가하였으며 간장과 멜라노이딘은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CL(chemilurninescence)-HPLC 방법을 이용하여 간과 혈장의 막 인지질 PCOOH 함량을 측정한 결과, 어유의 섭취는 옥수수기름 섭취 군에 비해 지질 과산화를 월등히 증가시켰고 양조간장과 멜라노이딘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조간장의 효과가 멜라노이딘 보다 우수하여 이는 콩유래 항산화물질인 수용성 펩티드나 저분자 단백질들이 효과적으로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여겨지며, 불포화지방산이 높은 식품의 섭취시 간장을 소스로 이용하는 것이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Coenzyme $Q_10$과 Vitamin E 첨가식이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enzyme $Q_10$ and Vitamin E on Lipid Peroxidation in Adriamycin-treated Rat)

  • 서정숙;양경미;정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0-328
    • /
    • 1991
  • 본 연구는 항암제로서의 효능을 가진 ADR을 투여하여 유도된 흰쥐의 체내 지질과산화에 대하여 vitamin E와 coenzyme $Q_{10}$ 의 항산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횐쥐의 성장상태는 ADR의 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나 vitamin E나 coenzyme $Q_{10}$ 공급에 의하여 별다른 영향을 받지 못했다. 혈장과 심장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ADR 단독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vitamin E나 coenzyme $Q_{10}$ 의 공급량에 비례하여 저하되었고 그 작용 능력은 vitamin E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과산화물 대사효소 활성도에 있어서는 catalase 활성도가 전 처리군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알은 반면 GSH-Px 활성도는 ADR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vitamin E의 공급으로 대조군의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Adriamycin에 의해 증가된 SOD 활성도는 vitamin E와 coenzyme $Q_{10}$ 공급에 의해서 모두 영향을 받았으나 coenzyme $Q_{10}$ 보다는 vitamin E에 의해 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심장 미토콘드리아 분획의 지방산 조성은 ADR 단독 투여군에 있어서는 arachidonic acid가 다른 처리군들에 비해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에 docosahexaenioc acid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vitamin E나 coenzyme $Q_{10}$ 을 공급시켰을 때 arachidonic acid는 감소하는 대신 docosahexaenioc acid는 증가되었으며 높은 수준의 vitamin E가 coenzyme $Q_{10}$ 보다도 더 큰 보호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ADR 투여로 인해 심장에서 일어난 지질과산화 반응에 대해 vitamin E 나 coenzyme $Q_{10}$ 이 정상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나 지질과산화 방어계 효소변화를 통해 보호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장에서 ADR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키는 능력에 있어서는 농도에 비례하여 vitamin E가 coenzyme $Q_{10}$ 보다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알코올성 간독성 흰쥐의 혈청 지질 및 조직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영향 (Effe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the Contents of Serum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Alcohol Feeding Rat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윤경훈;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71-1380
    • /
    • 2013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식이 중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30% 알코올과 함께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혈중 지질 농도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혈중 중성지질 농도 및 유리 지방산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의 증가가 알코올 실험군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특히 발효당귀군(AFAG)에서 낮은 감소수치를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HDL-cholesterol 농도에서 발효당귀군(AFAG)이 증가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장, 심장, 비장,신장, 고환 및 혈청에서 생체막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는 정상군(N)에 비해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발효당귀군(AFAG)과 양성 대조군(ASM)에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 조직 내 내인성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발효당귀군(AFA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과산화 지질 생성정도와 glutathione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알코올 투여 동물실험에서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물론 조직 내 항산화 활성증가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독성 개선에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쇠비름(Portulace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 이희정;이범종;이동석;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65-169
    • /
    • 2003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의 항산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MeOH과 CH$_2$Cl$_2$를 이용해서 추출하여 crude extract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조추출물 (crude extract)에 대해 n-hexane, 15% aq. MeOH, EtOAc, n-BuOH, $H_2O$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였다. 쇠비름의 조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마우스 간 균질물 (homogenate)을 이용한 과산화지질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쇠비름 조추출물이 DPPH 라디칼에 대한 강한 소거작용과 in vitro 과산화지질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효과에 대한 $IC_{50}$/은 53.33 $\mu\textrm{g}$/$m\ell$로 천연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1.25 $\mu\textrm{g}$/$m\ell$)와 a-tocopherol (6.99 $\mu\textrm{g}$/$m\ell$)보다는 약하지만,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HT(87.84 $\mu\textrm{g}$/$m\ell$)보다는 월등히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분획물 중 EtOAc와 n-BuOH 분획물의 DPPH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마우스 간 균질물(mouse liver homogenate)을 이용한 과산화지질 저해효과에 대해서도 쇠비름 조추출물의 농도의존적인 (0.1 mg/$m\ell$~5 mg/$m\ell$) 상관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n-BuOH 분획물은 L-ascorbic acid의 효과와 거의 대등한 것을 나타났다. 이것으로 쇠비름 조추출물이 항산화효과 (in vitro)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 항산화활성은 극성이 비교적 큰 화합물들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이 Galactosamine에 의해 유발(誘發)된 백서(白鼠) 간기능손상(肝機能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eegapunsusan on galactosamine induced hepatoxity in rats)

  • 김지형;박선동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91-106
    • /
    • 1997
  •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의 galactosamine에 의해 야기된 백서의 간손상에 대한 해독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을 전처지한 후 시험관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및 간장의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및 간장에서 항산화방지제(SOD)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시험관내에서 xanthine oxidase의 활성변화 및 간장조직의 xanthine oxidase의 형전환 변화를 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간분수산(利肝分水散)의 이요작용(利尿作用)을 통한 독성물질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서 세포나 조직의 손상 및 생체독성에 대하여 유의한 방어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PDF

식용식물의 항산화효과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 조세연;한용봉;신국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3-137
    • /
    • 2001
  • 21종 식용식물의 부위별 MeOH Ex. DPPH와 TBA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DPPH를 이용한 유리라디칼 소거 효과는 참취잎, 쑥갓잎 및 머위잎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시료추출물의 buffer에 의해 유발된 과산화지질 억제효과는 참외껍질의 억제 효과 강도는 $IC_{50}$ 값이 $10\mu\textrm{g}/mL$로 매우 강하였다. $S_2O_z$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0.25 mg 농도에서 L-ascorbic acid의 과산화 억제율과 비교하면 가지 잎, 머위 잎, 감자껍질의 항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FeSO_4$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쑥갓잎의 $IC_{50}$가 0.08 mg/mL로 특이적으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