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지질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산 차의 발효 정도에 따른 생리활성 기능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 박신영;이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6-242
    • /
    • 2011
  • 제주산 녹차 및 발효 정도를 20%, 50%, 80%로 달리한 3종류의 발효차를 $90^{\circ}C$ 열수에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능, 지질과산화 억제능 그리고 혈관내피세포(CPAE)를 이용하여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녹차나 다른 발효차에 비해 20% 발효차에서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DPPH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발효차의 80 ${\mu}g/mL$ 처리 시 50 ${\mu}M$ 농도의 EGCG 처리와 거의 유사한 free radical 소거율을 보였다. 녹차와 3종류의 발효차 모두 LDL 산화를 억제하여 우수한 지질과 산화 억제능을 보였으나 특히 저농도인 40 ${\mu}g/mL$ 처리 시에 녹차와 20% 발효차의 경우 다른 발효차에 비해 25~30% 정도 더 LDL의 산화가 억제 되어 50 ${\mu}M$/mL EGCG 처리 시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CPAE 세포에 녹차 및 3종류의 발효차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 전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세포활성이 40~60% 증가하였다. 특히 세포에 1 mM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실험에서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의 처리가 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녹차 및 발효차 추출물이 세포 내 free radical을 제거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에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작용한 것과 20% 발효차가 다른 발효차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오레가노(Origanum majorana 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25-4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mu}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mu}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mu}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mu}g$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mu}g$은 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취 분말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owdered Herb of Aster scaber Thunb. on Antioxidant System in Ethanol-Treated Rats)

  • 이승은;성낙술;정태영;최미영;윤은경;정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15-1219
    • /
    • 2001
  • In vitro 항산화 활성이 확인된 참취가 생체 내에서도 활성을 나타내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과 5%및 10% 참취 분말을 첨가한 식이를 4주간 횐쥐에 투여하면서 마지막 1주간 알콜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희생시킨 흰쥐의 체중 증가량과 함께 체중에 대한 장기의 상대 중량, 간, 신장에서의 지질과산화, 항산화효소 활성, glutathione 및 혈청 알부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주간의 사육 후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 5% 참취첨가군 그리고 10% 참취첨가군의 순으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에 대한 상대적인 장기 중량 중에서 간, 비장은 대조군에 비해 참취 첨가군의 경우 더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간에서 지질과산화로 생성되는 TBARS 함량은 대조군(66 $\mu\textrm{g}$)에 비해 5%(45 $\mu\textrm{g}$) 및 10% 참취 분말 식이군(35 $\mu\textrm{g}$)에서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다. Mn-SOD와 catalase활성은 참취 첨가군들에서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Cu, Zn-SOD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 및 glutathione 함량은 실험군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장에서는 Mn-SOD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이 대조군보다 참취 첨가군에서 유사하거나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Cu, Zn-SOD와 catalase의 활성 및 TBARS, glutathione의 함량은 실험군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혈청 알부민의 함량은 실험군들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를 종합할 때 참취는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방어하여 특히 간장에서의 지질과산화 및 Mn-SOD활성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그 효과는 참취의 첨가량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생체 안에서 알코올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제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온기 생균제 급여가 육계의 혈액, 소장 점막 및 간 조직에서 항산화 생화학 지표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s on Antioxidant Biochemical Parameters and Antioxidant Enzymesin the Blood, Intestinal Mucosal Tissues and Liver of Broiler Chick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 서문강민;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9-118
    • /
    • 2023
  • 본 연구는 고온기 복합생균제(L. plantarum, B.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급여가 육계의 항산화 방어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CON), 0.25% 생균제 급여군(LPB) 및 0.5% 생균제 급여군(HPB) 등 3 처리군으로 설정하여 혈장, 소장 점막 및 간 조직에서 항산화 지표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혈장 total protein, albumin, bloodurea nitrogen(BUN) 및 glutathione(GSH) 수준 등 질소화합물은 처리군 간 차이가 없었다. 혈장에서 조사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와 glutathione S-transferase(GST) 및 지질과산화(MDA) 역시 생균제 급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소장점막조직에서 SOD 활성도는 0.5% 생균제 급여군(HPB)에서 대조군과 LPB군 보다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소장 점막조직의 MDA 수준은 대조군보다 HPB군에서 현저하게(P<0.05) 감소하였다. 그러나 소장 점막조직의 GPX와 GST 활성도는 생균제 급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에 존재하는 SOD, GPX, GST 활성도 및 MDA 수준은 생균제 급여와 급여 수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고 모든 군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HPB군의 소장 점막조직에서 SOD 활성도가 증가하고 지질과산화도가 감소하는 결과로 보아 고온기에 0.5% 생균제 급여는 육계 소장 점막조직의 항산화 방어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보배추섭취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랫드에서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송원영;최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6-3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곰보배추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곰보배추 파우더를 5% 및 10% 첨가한 군으로 각각 나누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catalase 및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HF군에 비해 곰보배추 파우더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tochondria 및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곰보배추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microsome 에서는 군간의 유의한 차이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cytosol 및 mitochondria에서 $H_2O_2$의 함량에서는 곰보배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청에서 간수치 GOT 및 GPT를 측정한 결과 10%의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 또한 곰보배추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이 곰보배추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곰보배추의 공급으로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손상된 간조직의 항산화계는 곰보배추 내 함유되어진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생성된 free radical에 의한 산화를 억제시켰으리라 사료되어진다. 이로 미루어 곰보배추는 체내 조직의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작용에 효과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말똥진흙버섯 및 버들송이버섯의 균사체 및 배양액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ycelium and Culture Broth of Phellinus igniarius and Agrocybe cylindracea)

  • 이항우;이동우;하효철;정인창;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7-43
    • /
    • 2002
  • 버들송이버섯(A.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 igniarius)의 균사체 추출액과 배양액을 용매별 분획 후 각 분획별로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였다. 전자공여능의 측정 결과, A. cylindracea 균사체 추출액의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 배양액의 butanol 분획 그리고 Phellinus igniarius 균사체 추출액의 diethyl ether 분획, 배양액의 diethyl ether 분획, ethyl acetate 분획에서 모두 70% 이상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실험에서는 A. cylindracea 균사체 추출액의 diethyl ether 분획과 butanol 분획, 물분획 그리고 배앙액의 물분획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Xanthine oxidase의 활성 측정에서는 A. cylindracea 균사체 추출액에서 uric acid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측정 결과에서는 A. cylindracea 균사체 추출액의 diethyl ether 분획과 배양액의 ethyl acetate 분획, 물분획 그리고 P. igniarius 균사체 추출액의 diethyl ether 분획과 배양액의 diethyl ether 분획, chloroform 분획, butanol 분획, 물분획에서 $50{\sim}60%$의 고른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melanin 생성 저해 활성에 대한 결과는 A. cylindracea 균사체 추출액의 물분획과 P. igniarius 균사체 추출액의 butanol 분획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2배 이상의 저해 활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 말똥진흙버섯과 버들송이버섯의 균사체추출액이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뱀딸기풀의 항산화 활성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방어계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uchesnea chrysantha on Regul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3-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뱀딸기풀 파우더가 간조직의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4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5% 첨가한 군(DA 군),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뱀딸기풀 파우더를 10% 첨가한 군(DB 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4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계인 GSH-px 및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 군)에 비해 HF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F 군에 비해 뱀딸기풀 파우더 공급군(DA 및 DB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유리기를 소거하는 지표인 간조직의 superoxide radical 함량을 microsome에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뱀딸기풀 공급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mitochondria에서는 HF 군에 비해 DB 군에서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되어졌다. 간조직의 cytosol에서 $H_2O_2$의 함량에서는 DA 및 DB 군 모두에서 유의적인 감소로 정상군 수준을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microsome 및 mitochondria에서의 산화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뱀딸기풀 파우더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함량을 간조직에서 관찰 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증가된 과산화지질은 뱀딸기풀 파우더를 공급한 군에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 공급한 군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뱀딸기풀에 함유된 여러 항산화성분들은 효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켰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한국전통차 재료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 흰주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Water Extract 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Lead Administered Rats)

  • 김덕진;조수열;신경희;이미경;김명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17-124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유해 활성산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 투여 하였다.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 투여 하여 사육한 결과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한국전통차 급여시 과산화지질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CYP 함량과 AD 활성은 납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억제된 활성이 회복됨으로써 한국전통차 급여가 CYP 함량과 산화적 디메틸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납투여로 증가된 간조직의 XO와 SOD의 활성은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MAO 활성은 납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었으며 녹차와 감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간조직 중 CAT 활성은 납투여시 약 3.3배 증가되었는데 감잎군 37%, 녹차군 34%, 두충군 30%, 홍화군 28%, 순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SH-Px와 GST 활성 및 글루타티온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한국전통차 급여로 회복되었다. GR 활성은 실험군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G6PD 활성은 납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실험식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수원 5호 메밀 채소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by Acetone Extract from Buckwheat)

  • 김영순;조정순;서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3호
    • /
    • pp.254-258
    • /
    • 1997
  • 메밀 채소 아세톤 추출물을 각 용매로 분획시 회수율은 헥산이 57%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페놀 성분의 양은 아세트산에틸과 1-부탄올 분획이 47.96 mg/ml과 44.02 mg/ml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수소 공여능은 부탄오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에테르, 헥산 순으로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기질로 리놀레산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에 대한 산화 억제능으로서 검토하였다. 과산화지질의 형성 억제능은 부탄올과 헥산 분획에서는 0.9% 첨가시 1시간 조사한 결과 65%와 57%의 억제능과 2시간 조사시 75%와 60% 억제능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은 xanthine/xanthie oxidase를 이용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각 분획의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 활성은 부탄을 분획은 392.6 U/mg으로 가장 높은 SOD의 활성, $IC_{50}$값은 $2.5\;{\mu}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임에 따라 다른 분획에 비해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력 이 가장 높았다. 또한 각 분획의 spectrophotogram을 검토한 결과 부탄올 분획은 메밀의 활성 성분인 rutin과 유사한 spectophotogram을 보였다. 초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rutin 함량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분획의 xanthine oxidase의 활성 저해는 $IC_{50}$값이 $3.1\;{\mu}g$을 보인 부탄올 분획의 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 PDF

라지 팻치에 감염된 잔디의 산화적 스트레스 발현과 항산화효소의 활력의 변화 I. 산화적 스트레스 발현 (The Oxidative Stress Induction and Response of Antioxidative Enzymes in the Large Patch-Infected Zoysiagrass I. Oxidative stress induction)

  • 김대현;이복례;이명;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9-136
    • /
    • 2007
  • 한국형 잔디에 있어 병원성 (라지 팻치) 감염이 산화적 스트레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라지 팻치에 감염된 잔디의 생육, 뿌리 건사율, 과산화수소 농도 및 지질과산화 정도를 감염이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처리 후 6일 동안 이틀간격으로 잎과 뿌리 시료에 대해 각각 분석하였다. 라지 팻치에 감염된 잔디 뿌리의 건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약 30% 증가하였다. 건물 함량은 4일째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6일차에서만 라지 팻치 감염에 따라 잎에서 14% 뿌리에서 20% 각각 감소하였다. 과산화수소의 농도는 라지 팻치에 감염된 잎에서 초기 2일 동안 약 28%의 높은 증가를 하였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여 6일차에는 대조구에 비교하여 11% 낮은 수준이었다. 뿌리에서는 감염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증가가 뚜렷하여 6일차에는 대조구에 비해 약 1.7배 높았다. 지질과산화 정도는 잎의 경우, 라지 팻치 감염에 따라 초기 4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 정체하였으며 뿌리에서는 초기 2일간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잔디에 있어 라지 팻치 감염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며, 잎과 뿌리 조직간에 산화적 스트레스 발현정도 및 역동성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