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소양교육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6초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articipators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Hongik University -)

  • 박진원;황광진;조규남;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3
    • /
    • 2007
  • 본 논문은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대학에서 교수, 재학생 및 졸업생 등 공학교육 당사자들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여러 대학들을 조사하여 실무형 공학교육을 각각 기업 맞춤형, 전공 강화형, 기본소양 강화형 및 기타 등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들에 대한 공학 교육 당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한 것이다. 그리고 취업을 위해 어떤 교육 내용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실무형 공학교육을 기업 맞춤형 교육으로 가장 많이 이해하고 있었고 실무 적응을 위한 기본소양 강화 교육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도 상당수가 있었다. 신입사원 채용 시험에 교수와 졸업생은 인성, 품성 등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재학생은 전공 실력과 영어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공계 학생으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점은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영어 능력을 들었으나 교수는 전공 실력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는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를 위한 공학교육의 발전 방향을 유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추출했다고 판단되나 실무형 공학교육에 대해 좀 더 세밀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VR 저작도구 기반 노벨 엔지니어링(NE) 교육이 초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ovel Engineering (NE) Education using VR authoring tool on STEAM literacy and Learning Immersion)

  • 송해남;김태령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53-165
    • /
    • 2022
  • 본 연구는 독서와 공학을 융합한 수업 모델인 노벨 엔지니어링(이하 NE)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NE 수업의 도구로 VR 저작도구인 CospacesEdu를 이용하여 직접 가상현실을 설계하고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해당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융합인재소양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교육 내용의 소재로는 독도 교육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융합인재소양의 평균이 상승하였으며, 그 중 융합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학습몰입은 총 5가지 하위 영역 중 과제와 능력의 균형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책 읽기로 시작하여 정보 수집, VR 설계, 이야기 바꿔쓰기까지 진행되는 차시가 긴 NE 수업 모델의 특성상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NE 수업 모델의 일반화에 도움을 주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통섭교육으로서 공학소양교육의 위상과 과제 (The Place and Problem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as Consilience Education)

  • 송성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8-25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academic basis,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as consilience education. After paying attention to the list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cluding history of technology, technology and society, engineering ethics, economics of technology,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echnology policy, I found the academic basis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or innovation studies. And then I monitored how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s managed focusing on the cas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introduced new attempts on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in other universities in Korea. Lastly,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for engineers were suggested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lecturers' expertise, the reconstruc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course, and the promotion of relevant academic associations' cooperation.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한 로봇교육과정의 발전방향 모색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Robot Curriculum by analyzing Foreign Cases)

  • 류영춘;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7-164
    • /
    • 2007
  • 로봇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요구하는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학습을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로봇교육은 공학적으로 여러 기술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통합적인 기초 교육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학습 내용, 학습 방법 및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로봇을 통해 기초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로봇의 특성과 관련된 과학, 수학, 기술, 공학의 내용 요소들을 추출하며 로봇소양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로봇활용에 대한 내용으로도 구성해야 하며 로봇 창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순한 로봇 조립보다는 창작 및 프로그래밍의 과정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학습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공학소양교육 요구분석 (The Needs Analysis of the General Educ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Engineering Related Departments)

  • 정은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5호
    • /
    • pp.22-3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eneral education conten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engineering related departments through need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creative and integral talents. For this study, the need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Borich's educational need equation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highly ranked priorities on both methods proposed as the highest priorities. As a result, 'drawing up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nd a portfolio', 'understanding fields', 'understanding careers related to the major', 'presentation skills', 'knowledge for certificated exams', 'method to deduct creative ideas' were high on the list of top five priorities. The selected items by Locus for Focus Model show that undergraduate students at engineering related departments need general educ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career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by priority.

공학설계활동과 팀 내, 팀 간 협력 기반 고등학생 공학 캠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식물공장을 주제로 (Case Study on Engineering Camp Program involving Engineering Design Activity and Intra-/Inter-Team Works for High School Students: Plant factory as main theme)

  • 조경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8
    • /
    • 2015
  • 고등학생의 공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대학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비정규 공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 농업 기술인 식물공장을 주제로 선정하여 공학설계 및 팀 내 팀 간 활동 중심의 공학 캠프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의 첨단 강의실을 이용하여 38명의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참가학생들은 생물공학, 정보통신공학, 에너지공학, 기계공학 및 건축공학 등 5가지 식물공장 요소 기술 중심으로 팀 내 활동과 팀 간 협력을 통해 '교정에 식물공장 세우기'라는 최종 미션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팀 활동은 8단계로 구성된 공학설계과정(문제와 필요 확인하기, 기준과 제한조건 확인하기, 가능한 해결책 찾기, 최선의 해결책 선택, 시작품 제작, 시험과 해결책 평가하기, 해결책에 대한 의사소통, 재설계 및 설계 수정하기)으로 진행되었다. 만족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공학설계 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8점 이었고, 창의적 활동 및 탐구방법의 합리성/체계성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4.43점 이었다. 참가학생의 94%가 팀워크에 만족한다고 답변하였고, 대학(원)생들이 제공한 진로 멘토링 활동에 대해서도 참가학생의 92%가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학설계과정 및 팀 내 및 팀 간 협업을 기반한 공학 교육 프로그램은 참가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동심,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공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공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운동부를 위한 스포츠 데이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Sports Clubs using Sports Data)

  • 김세민;우성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5-4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교 운동부 학생 선수들에게 스포츠 데이터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소양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스포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존 연구와 요구사항에 대하여 분석하고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으며,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학교 운동부 및 성인 스포츠 관계자들을 위한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므로,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었던 데이터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모의 분석의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데이터에 대한 스포츠 산업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의 기술자 윤리 교육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 Japan)

  • 김정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86-9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본에서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로 대변되는 공학 윤리의 원리에 대한 교육의 상황과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여러 가지 출판 자료와 관련된 중요 이슈에 대한 상황을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다. 미국 대학의 경우에는 정규 교과 과정으로 공학 윤리, 혹은 기술자 윤리 교육은 1980년대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최근 JABEE(일본 기술자 인정기구)의 출현과 더불어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공학 윤리, 기술자 윤리 교육의 목적은 공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할 기본 소양으로써 매우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요한 공학관련 학문의 범주에 들게 되었다. 공학 분야의 윤리교육에 있어서 시작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의 기술자 윤리 교육 현황 분석은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 신장을 위한 데이터와 인공지능 예측모델 기반의 통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tistical Programs Based on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rediction Model to Improve Statistic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윤하;장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17-736
    • /
    • 2023
  • 본 연구는 데이터와 인공지능 예측모델을 활용한 통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신장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초등학교 통계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중시되는 데이터와 인공지능 교육을 융합하여 통계적 문제해결의 전 과정을 경험하고 미래에 대한 올바른 예측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총 15차시의 통계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인공지능 교육의 중점 요소인 데이터의 중요성 인식, 공공데이터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실생활 데이터를 사용하여 맥락을 고려한 자료 수집 및 분석 활동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공학 도구인 엔트리와 이지통계를 활용하고, 인공지능 예측모델을 제작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해 보는 활동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역량, 정보처리역량, 비판적 사고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역량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프로그램 적용은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 주체적이고 비판적 탐구, 통계적 문제해결 전 과정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