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설계 교육과정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9초

STEAM 교육을 위한 기초 회로 시스템 설계와 제어 방법 (Design and Control of a Basic Circuit System for STEAM Education)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99-106
    • /
    • 2017
  • STEAM 과학예술융합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STEAM 융합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회로 시스템 설계와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브레드 보드를 이용한 회로 시스템 설계 실습은 국내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수준의 해당 학과에서 필수 교육과정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실습에는 회로 시스템 설계와 제어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STEAM 융합 형태의 구현 예제가 부족하다. 따라서, 미디어 아트 형태의 회로 시스템을 구현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험하였다.

직무분석기법을 변용한 공학 교과과정 설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의 예) (The Design of the Engineering Curriculum Changing Process using the Transformed Job Analysis Method of the Technical Service Area. (Example of the Electrical Engineering of the Myongji University))

  • 김갑일;박용원;김병재;이병기;백승화;김태옥;임연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36-48
    • /
    • 2005
  • 공학분야의 빠른 발전에 따라 교육이 뒤쳐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시의 적절한 공학교육을 위해서는 교수들의 임의적인 교과과정의 개정이 아닌 적절한 시스템에 의한 교과과정의 개편이 요구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직 교과에서 사용하던 직무분석법을 일반 교과과정 설계에 사용한 예를 보여준다. 직능원에서 제시한 교과과정 설계는 지나치게 세부적으로 작업에 필요한 competence(지식, 기능력, 태도 도구 등)를 제시하였다. 일반 교과과정에서는 이렇게 자세한 직무분석은 피하고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학습 성과를 설정하고 이것을 이루기 위한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졸업생의 사회진출 추이를 조사하여 대표 직무를 선정하고 직무를 분석하여 필요한 competence를 도출하고 거기에 따라 교육목표도 수정하였다. 전문가 회의도 주체하여 졸업생 및 산업체의 의견도 수렴하여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과과정의 개편은 명지대학교에서 수행하고 있는 순환적 자율 개선형 교육제도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Design of Flipped Learning with Strategic Questioning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Engineering)

  • 임경화;안정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5-81
    • /
    • 2016
  • 본 연구는 교과지식에 기반하여 공학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제시하고 있다. 설계한 플립러닝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정규학부 공학교육과정과 재직자 계약학과 공학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적용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평가 의견을 조사하고 학습자 문제해결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이후 수업 설계에서 보다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STEAM 융합 교육과정 설계 -안드로이드 기반 동력 전달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중심으로- (Design of the STEAM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Focus on Android-based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 김은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51-560
    • /
    • 2011
  • STEAM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의 연계 지도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주제 중심의 학습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가르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STEAM 교육과정을 프로젝트 기반 학습 형태로 설계하고 운영에 필요한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STEAM 교육에서 IT 기술이 모의실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Blended-Leaming 기반 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Design of Learning Model and System Based on Blended-Learning)

  • 진선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259-261
    • /
    • 2004
  • 정보통신 공학의 발전과 급속한 사회변화의 가속화는 e-Learning이라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게 되었다. 사이버공간에서의 e-Learning의 많은 장점들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거대한 시장성이 확보되고 있는 실정이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사이버 시대에 걸맞는 교육시스템으로는 오프라인 교육과정 중심, 일회성 교육중심에서 온, 오프라인이 통합되는 총체적인 학습 촉진 시스템의 설계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학습을 오프라인 상의 어떤 활동으로 연계시켜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불완성을 극복하고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 대안으로 blended-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을 지원해 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BRMS를 이용한 졸업사정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Graduation Evaluation System using BRMS)

  • 박종철;김기환;강은지;김문정;박충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3-296
    • /
    • 2009
  • 비즈니스 룰(Business Rule)은 하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조직에 적용하는 운영, 정의, 제약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규칙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이다. 대학에서의 졸업사정은 학사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여러 복합적 충족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이다. 학교의 전반적인 규칙이나 해마다 교육과정의 변화가 있어 프로그래밍 구현이 어렵고, 졸업사정시스템을 전산화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룰의 장점들을 활용해 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BRMS를 이용하여 졸업사정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초등용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Elementary STEAM Program Emphasizing Engineering Design Process)

  • 임희준;허진석;유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605-61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경인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5차시에 걸쳐 진행하고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 검사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STEAM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여학생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변화의 차이 분석 결과,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의 하위요인인 '소통 및 협업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들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공학설계', '소통 및 협업능력' 요인에 대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만족도와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전문대학 특성화와 관련한 교과과정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 Curriculum of the Junior Technical College)

  • 엄우용;류장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7권4호
    • /
    • pp.47-56
    • /
    • 2000
  • 수학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습의용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학생의 수학능력과 학습의욕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전문대학 전자과의 교육과정을 세분야(전자통신기기 분야, 마이크로프로세서 분야, 집적회로설계 분야)로 편성하여, 전자통신기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두고, 국제적인 추세인 집적회로설계 분야를 이해하게 된다. 특히 국내의 빈약한 반도체 설계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설계기술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키고 특성화하여, 반도체 설계분야의 기능화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 PDF

금형산업현장과 연계된 금형설계공학전공 교육과정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Die & Mold Design Engineering Curriculum tailored for Industries)

  • 김세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8-919
    • /
    • 2006
  • 금형산업체의 직무능력 요구에 적응하는 산업현장과 연계된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의 금형기술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취업 후 회사의 사전교육 없이 직능별 업무에 투입 시킬 수 있는 창의력 있는 우수한 전문기술인을 양성하여 교육의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고 산업체 및 국가의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며 학생은 인력수요자인 산업체로부터 요구하는 현장실무에 접근성 높은 교육을 받아 취업이 보장되어야 한다. 동시에 산업체는 전문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해소 시켜주기 바라고 있다. 이상의 요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금형산업체와 연계된 금형설계공학전공의 교육과정 개발을 수행하였다.

  • PDF

재난 대응 3D 시뮬레이션 설계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An Educational Effect on the Process of Design for 3D Simulation of Disaster Response System)

  • 송은지;서동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3-29
    • /
    • 2016
  • 세월호 사건 이후, 불감증이 만연한 우리사회는 안전 교육과 재난대응 훈련에 다시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훈련을 하는 데는 비용도 많이 들며, 체험감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가상현실의 이점을 활용한 대안들이 콘텐츠 산업분야에서 중요시 되어 여러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 재난 대응 3D시뮬레이션 설계 시 중점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고 새로운 설계안을 제안하고 설계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고찰해 본다. 제안하는 시스템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3D공간제시를 위한 시스템설계, 재난 대응의 다양한 시나리오 구축, 사용자 효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게임요소 적용에는 프로그램능력을 요하는 컴퓨터학과 등과 같은 IT 기반교육과 더불어 모델링 능력을 요하는 미술계 기반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시스템 설계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융합분야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고찰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