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교육인증제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주요 외국의 운영 사례 (Need of Accreditation System for Engineering Technology Programs in Junior College and Case of the Main Foreign Countries)

  • 함승연;노태천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51-63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의 질을 높이고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공학 기술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도입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전문대학 인증제도를 실시하여 시드니 협정의 가입국이 되면 우리나라의 전문대학 공학교육은 국제적인 수준의 교육을 인증 받으면서 졸업생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미 전문대학 공학기술교육 인증제를 실시하거나 시드니 협정의 가입국의 인증제도와 평가준거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육현실과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평가준거를 개발하여 전문대학 공학교육 인증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전문대학 공학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정착하기 위해서는 인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산 학 연이 상호 협력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인증제도와 평가준거를 만드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공학교육인증활동을 교수업적평가에 반영하는 방안 (A Study on Including the ABEEK Activities in the Professor Evaluation System)

  • 박진원;백현덕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93-101
    • /
    • 2009
  • 국내 많은 공학계 대학에서 공학교육인증제가 시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교육, 연구, 봉사로 나누어 교수업적평가를 시행하고 있고, 승진과 관련하여 전문학술지에 게재한 연구논문 실적이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인증 관련 활동이 교수업적평가에 반영되지 않고 있어 평가기준과 교육관련 의무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공학교육인증 관련 활동을 교수업적평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제시된 5가지 방안 중에서 설문조사결과 정년을 보장받은 정교수급은 책임시수 경감을 선호했고 부 조교수급은 논문게재 실적 경감을 선호하였다. 논리성과 교수들의 선호도를 감안해 보면 공학교육인증제 시행에 참여하는 교수들에게 책임강의 시수 일부를 경감해 주거나 추가 강의실적으로 인정해 주는 등 교육관련 업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그러나 오랫동안 공학교육인증제를 시행해 오고 있는 미국의 경우 공학계 교수들에게 특별한 혜택이 부여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보면, 우리나라도 도입과 정착기를 지나면 공학교육인증제 시행에 따른 혜택을 점차 폐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학교육인증제에서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에 대한 고찰 (Review on Improvement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ABEEK)

  • 김종화;이영호;박경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102-110
    • /
    • 2023
  • 공학교육인증 정기평가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의 경우 부족사항이 거의 없어야 하지만,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정기평가부터는 두 번째 부족사항에 대하여 조건부 인증으로 판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과 인증평가를 준비하면서 교육목표 설정에 대하여 프로그램 차원의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 환경변화를 고려한 프로그램 교육목표(이하 교육목표) 적절성 검토체계의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교육목표 개정 및 개선 과정에서의 세부인증기준 간의 연계 적용 방안 등에 대하여 인증기준, 공학교육인증평가 판정가이드 및 자체평가보고서 양식을 중심으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The Relationship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Gender, and Academic Year with Attitude towards Convergence among Engineering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3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 공학전공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 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공학전공대학생들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중심 접근을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분류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였으며, 규명된 각 잠재집단과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76명의 공과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신뢰도, 라쉬분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공과대학학생들에게 적용한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신뢰성과 타당함을 확인되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는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성별,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남학생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융합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구별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다섯 가지의 잠재집단이 규명되었다. 또한 규명된 잠재집단과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선택여부와 성별, 학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수행한 결과 세 변수는 모두 잠재집단 분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공과대학 융합 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학교육에서의 수학에 관하여

  • 이춘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223-234
    • /
    • 2003
  • 공학에서의 수학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부제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점차 많은 대학의 공과대학에서는 수학없이 공학교육을 하려하고 있다. 외국의 시장개방 압력에 따라 공학인증제의 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이때에 공학인증제에 따른 공학에서의 수학교육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ABEEK 인증기준에 의한 교육요소 및 교과과정 개발 (Development of Program Curriculum Based on ABEEK Criteria)

  • 김정국;박재현;박강
    • 공학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26-47
    • /
    • 2001
  •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기준 중 세 번째인 교육요소와 그에 따른 교과과정 개발은 현재 국내의 많은 대학들이 시행하고 있는 학부제가 특정 전공의 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인증제와 상충하며, 또한 현재까지 인증기준에 따라 인증을 준비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흔란과 의문을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 전공을 예로 선정하여 인증기준에 의한 교육요소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과과정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인증기준에 따른 교과과정 개발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발과정에서 경험한 여러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공학교육 체제 개선을 위한 공과대학 이해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 ${\bigcirc}{\bigcirc}$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gineering College Stakeholder's Perceptions for Improvements of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 박기문;이규녀;김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39-25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이해관계자(stakeholder)인 교수, 학생, 직원/조교들을 대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를 포함한 공학교육 체제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사항을 조사 분석하여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학교육 체제의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터한 공학교육 체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실 및 장비 등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중장기 교육환경 개선과 재정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 공학교육 이해관계자간 관계 증진을 위하여 멘토링 프로그램과 미래상담설계 등의 제도가 실효성 있게 재정비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의 질 평가를 통한 우수 직원/조교에 대한 보상과 직무교육 강화 등의 개선이 요구되며, 공학교육인증제와 관련한 행정 업무의 단순화와 전담인원 충원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공학교육인증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학교육혁신센터의 위상 강화와 체계적인 홍보 체제가 필요하며, 외부 인사가 포함된 '공학교육 체제 평가 협의회(가칭)'와 같은 공학교육 평가 전문가 위원회가 필요하다. 다섯째, 공학교육인증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실익 부재와 행정 소요의 피로 누적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하여 공학교육 관련기관 차원의 방안 연구가 시급하다.

"SW공학적 종합설계" 수업 운영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ing Operational Realities of "Software-Engineering-Capstone-Design")

  • 김영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9-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학기술교육인증제에서 요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의 수업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업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종합설계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현장 실무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과이다. 종합설계는 대부분 목표 및 약간의 제약조건, 평가 기준들을 포함하고 있다.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 기준은 8개이며, 교육과정 영역에서 종합설계 교과의 필수 개설 및 실질적 운영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컴퓨터멀티미디어과는 2011년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TAC 인증평가를 받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SW공학적 종합설계" 교과의 수업 운영 실태 중심으로 컴퓨터공학 분야 종합설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보통신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 Ethics from the Survey of College Students)

  • 이유종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96-103
    • /
    • 2010
  • 공학교육인증제와 더불어 공대생들의 윤리적 자질 함양 및 공학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공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시사점과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의한 연구 내용으로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대학생의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 윤리의식을 '회사이익을 위한 불법적 비윤리의식'(2.11점), '경제적 이익추구를 위한 비윤리의식'(2.86점), '자신을 위한 묵과적 비윤리의식'(1.99점)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공학을 전공 중인 학생들의 성향은,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비존중의식을 가질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군대에 다녀오지 않은 경우 정보통신 산업 종사자로서의 윤리의식이 비윤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교육인증제 실시와 더불어 정보통신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공학윤리 및 정보통신윤리 강좌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본의 기술자교육인정평가의 실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Argument Over the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In Japan)

  • 신동은;최금진;임승순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20-31
    • /
    • 2011
  • 본 연구는 공학교육 인증제를 시작한 시기나 공학교육이 진행되어 온 문화적 풍토가 어느 정도 유사한 일본의 인증제 운영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인증제 운영에 유의미한 시 사점을 얻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accreditation"의 번역어로서 일본의 JABEE가 채택하고 있는 "평가인정"과 공인원이 채택하고 있는 "평가인증"의 개념 정의를 하였고, 둘째, 평가주체, 평가목적, 평가절차, 평가결과 활용 등의 측면에서 일본의 평가인정의 개요를 조사하였고, 셋째, JABEE의 인정기준별로 심사항목 및 프로그램의 준비상황을 분석하였고, 넷째, 공학교육인정제를 둘러싼 논의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평가는 전문분야별 평가로서 학회를 보다 실질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가급적 서류 작업을 줄이고 인증제의 본질적인 목적에 보다 충실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인증기준을 개정하고 기본적인 템플릿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평가자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일본의 옵저버 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증 프로그램 및 졸업생에 대한 혜택을 주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개선 시스템이 평가 결과를 기초로 교과목의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습성과 달성도 평가에서 교과목의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공인 원의 인증활동에 대하여 메타평가(meta-evaluation)를 받음으로써 인증활동에 대한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받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