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중합체

Search Result 92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ynamic Viscoelasticity and Opt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g-styrene) Copolymers in the Glass Transition Zone (Poly(carbonate-g-styrene)공중합체의 유리정이 영역에서의 동적 점탄성과 광학특성)

  • 황의정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63-173
    • /
    • 1997
  • Polystyrene/polycarbonate 조성이 약 50/50인 3종류의 Poly(carbonate-g-styrene) 공중합체의 동적 탄성율, E*($\omega$)와 동적 스트레인-광학계수 O*($\omega$)을 유리전이 영역부근의 여러온도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두 개의 공중합체는 각각의 스티렌 그라프트쇄 에 5, 10 wt%의 MAH를 함유하고 있다. 이들 공중합체의 E*($\omega$)와 O*($\omega$)완화거동과 그라 프트 공중합체의 상용성과 연관하여 비교 고찰하였다. 공중합체들의 E*($\omega$)는 전형적인 무 정형 고분자의 유리전이 완하거동을 보였으며 정성적인 차이를 발견할수 없었다. 그러나 고 강도의 단일 tan$\delta$분산의 저주파수 영역에 미세분산을 나타내, 공중합체는 2상으로 분리되 어 있음이 추정되엇다. 폴리스티렌 그라프트체에 무수 말레인산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 주파수 영역의 미세피크가 $\alpha$주분산에 병합되어 성분 고분자간의 상호 형동성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3공중합체의 유사한 기계적 특성과는 달리, 광학적 완화 스펙트럼 O*($\omega$)는 정 성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여 공중합체들의 광학완화 거동이 명확히 다름을 나타냈다. 기계 적 특성보다는 광학적 특성이 공중합체내의 성분 고분자의 미세한 완하 거동에 훨씬 민감한 응답을나타냈다. 이러한 특성적인 공중합체의 O*($\omega$)차이를 공중합체의 조성단일 고분자 PS, PC의 O*($\omega$)의 가성성을 가정하여 모사하였다 모사에서 구한 광학적 부분 기여 파라메 터를 사용하여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고찰하였다.

  • PDF

Behavior of Nano-patterns with PS-b-PMMA Block Copolymer by Substrates and Process Conditions (기판 및 공정조건에 따른 PS-b-PMMA 블락 공중합체의 나노패턴 형상 거동)

  • Han, Gwang-Min;Kim, Jun-Hyung;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59-59
    • /
    • 2010
  •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를 위한 새로운 패터닝 공정을 위하여 블락 공중합체의 자가 조립 특성을 적용한 고분자 패턴을 TiN기판 위에 적용화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블락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에 의한 패턴의 모양은 각 기판과 블락 공중합체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sphere, cylinder, lamellar 형태의 모양을 띄게 된다. 표면처리가 안된 TiN기판 위의 PS-b-PMMA 블락 공중합체의 패턴의 형태는 cylinder와 lamellar 구조가 섞여 있는 구조로써 PS-r-PMMA 랜덤 공중합체로 기판 표면을 처리해 줄 경우 좀 더 균일한 cylinder 패턴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PS-r-PMMA로 기판 표면 처리 전 후의 상호 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물방울 접촉각 테스트를 하였으며 랜덤 공중합체와 블락 공중합체의 표면 처리 열처리 조건에 따른 패턴 행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두 24,48,72시간으로 변화시켜 열처리 하였다. 최종 열처리 후 블락 공중합체의 패턴 형태의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하여 acetic acid에 60분 동안 침지시켜 PMMA를 제거 후 괄찰하였다.

  • PDF

Study of the Synthesis of Cinducting Polymer(Study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cry lonitrile-Acrylic Acid Series Copolymers lnduced by Cu Ion) (전도성 섬유의 합성에 관한 연구(구리이온을 도입한 Acrylinitrile-Acrylic Acid계 공중합체의 도전성에 관한 연구))

  • 김동철;송해영;한상옥;전재완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 no.2
    • /
    • pp.126-135
    • /
    • 1988
  • Acrylonitrile-Acrylic acid 공중합체와 이를 amidation시킬 공중합체에 구리착물을 형성시켜 IR spectrum분석, 점도측정, 전자현미경관찰, 열분석, 전기전도성등을 검토하였다. AN-AA 공중합체-Cu(II)와 아미드화 AN-AA 공중합체-Cu(II)착물은 pH9의 범위에서 가장 안정한 값을 가지며 착물이 형성되거나 Cu$_{x}$S가 도입된 공중합체는 그 구조가 ompact해짐을 알 수 있었다. 공중합체에 Cu(II)착물이 형성되면 열안정성이 감소되며 Cu(II)착물은 아세톤 용액에서 요오드로 dope 될 때 저항값이 $10^{5}$-$10^{6}$.OMEGA..cm를 나타냈다. 저항값은 CuCl$_{2}$와 I$_{2}$의 양에 영향을 받으며 20wt% 이상의 CuCl$_{2}$와 1.0wt% I$_{2}$로 처리하였을 때 반도체영역의 저항값을 보였다. 또 Cu$_{x}$S를 도입할 경우 CuSO$_{4}$의 농도가 30g/l로, 3시간 반응시켰을 때 가장 만족스러운 전도도값을 나타냈다. 공중합체-Cu(II)보다 구리이온을 도입한 Cu$_{x}$S공중합체의 전도도값이 $10^{4}$정도로서 공중합체-Cu(II)보다 높은 전도성을 나타냈다.다.

  • PDF

LCST-type Self-Assembly Behavior in Block Copolymer Melts (LCST형 자기 집합 현상을 발현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상 거동)

  • 이병묵;김옥선;이혜은;조준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51-351
    • /
    • 2002
  • 새로운 LCST 형 블록 공중합체를 설계하기 위하여 LCST 블렌드 계를 선정하고, 이로부터 대응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고안하였다 고안된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 변수와 자기 집합에 의한 나노 미세 상 발현 거동과의 관계를 Cho의 압축성 random-phase approximation (RPA) 이론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물질은 polystyrene (PS)과 poly(vinyl methyl ether) (PVME), PS 와 Poly(cyclo hexyl methacrylate) (PCHMA)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중략)

  • PDF

Proton Exchange Membrane from Hydrophobic-hydrophilic Block Copolymers based on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in Fuel Cells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구조를 가진 소수성-친수성 블록공중합체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 Park, Ji-Young;Choi, Jong-Ho;Kim, Hyung-Joong;Hong, Young-Tai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95-196
    • /
    • 2009
  •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공중합체를 기본구조로 한, 6F OH를 알코올 단량체로 사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직접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이때 각각의 소수성-친수성 소중합체들은 동일한 분자량을 이용하여 합성했으며 그때의 두 소중합체의 몰비는 1:1로 하여 블록 공중합체의 술폰화도를 50%로 고정하였다. N-메틸-2피롤리돈(NMP) 용매 상에서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여 이온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도등의 측정을 통하여 최종 블록 공중합체 전해질 막의 기본 특성을 파악했다. 소수성-친수성 소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함에 따라 최종 전해질 막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연료전지 성능 테스트 결과에서도 나피온(Nafion 115)과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 PDF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ies of Acrylic Copolymers Containing AlQ3 Pendant Group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Kim, Eun-Young;Myung, Sung-Hyun;Lee, Young-Hee;Kim, Han-Do
    • Clean Technology
    • /
    • v.18 no.4
    • /
    • pp.366-372
    • /
    • 2012
  • Three acrylic copolymers containing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pendant group (25 wt%), acrylateco-HEMA-$AlQ_3$ (25 wt%),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from acrylates [methyl methacrylate (MMA), acrylonitrile (AN) or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with HEMA functionalized with AlQ3 pendant groups (HEMA-p-$AlQ_3$).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of MMA-co-HEMA-p-$AlQ_3$ (copolymer 1), AN-co-HEMA-p-$AlQ_3$ (copolymer 2) and HEMA-co-HEMA-p-$AlQ_3$ (copolymer 3) were found to be 158, 150 and $126^{\circ}C$, respectively. They have good thermal stability: a very desirable feature for the stability of OLEDs. Their solubility, thermal properties, UV-visible absorption and photoluminescence behaviors were investigated. They were found to be soluble in various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THF), dimethylformamide (DMF), toluene and chloroform. It was also found that the UV-visible absorption and photoluminescence behaviors of these copolymers were similar to those of pristine $AlQ_3$.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also been fabricated using these copolymers as light emission/electron transport components obtained easily by spin coating, and their current density voltage (J-V) curves were compared. The OLED device of the copolymer 3 had the lowest turn-on voltage of about 2 V compared to other copolymer types devices.

A Study on Fabrication of Polyester Copolymers (IV) - Physical Properties of PET/BPA Copolymer -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IV) - PET/BPA 공중합체의 물리적 특성 -)

  • 현은재;이소화;제갈영순;장상희;최현국
    • Polymer(Korea)
    • /
    • v.25 no.2
    • /
    • pp.208-217
    • /
    • 2001
  • PET/BP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bisphenol-A and ethylene glycol was melt-pressed and quenched in ice water. This copolymer film was drawn by capillary rheometer. Shrinkage, crystallinity, morphology, thermal, dynamic mechan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copolymer films were investigated. The PET/BPA copolymer film exhibited T$_{m}$ lower than that of PET film. The crystallinity and density of these drawn copolymer films increased with draw ratio and draw rate but decreased with draw temperature.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of the copolymer films increased with draw ratio but decreased with draw temperature. Shrinkage of the drawn copolymer film decreased with draw ratio and draw rate.e.

  • PDF

Synthesis and Degradability of Aliphatic Copolyester and Aliphatic Copolyesteramide(2) (지방족 copolyester 및 copolyesteramide의 합성과 분해성(2))

  • Kim, Woo-Sik;Hyun, Seok-Hee;Jeon, Il-Ryon;Kang, Hye-Jung;Lee, Chi-Giu;Kim, Sung-Hw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7 no.3
    • /
    • pp.481-489
    • /
    • 1996
  • D,L-lactide (2-LA) was copolymerized with ${\beta}$-methyl-${\delta}$-valerolactone (MVL) using tetraphenyltin as a catalyst and the properties of the copolymers wer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he repeating unit of lactic acid in the copolymer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nomer feeds. The composition of the lactic acid unit in the copolym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polymerization time. The yield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ncreased with increasing 2-LA in the feed com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activity of 2-LA is larger than that of MVL.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in the range of 54,000 to 63,000 and the polydispersity index was in the range of 1.7 to 2.1. The copolymers did not show melting point, bu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degradable tendency of the copolymers with lipase was almost equal to that of L-lactide-MVL copolymer.

  • PDF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yrene/Butyl Acrylate/Methyl Methacrylate Terpolymers (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삼원 공중합체의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

  • Jang, Sang Jin;Park, Hae Youn;Seo, Kwan Ho
    • Polymer(Korea)
    • /
    • v.39 no.2
    • /
    • pp.191-199
    • /
    • 2015
  • In order to improve the low impact resistance of polystyrene without harming its transparency the styrene monomer was copolymerized with transparent butyl acrylate (BA), and methylmethacrylate (MMA) to obtained a poly(styrene-co-butylacrylate) P(SM-co-BA) and a terpolymer copolymer P(SM-co-BA-co-MMA). The polymers were then cross-linked with the aid of a cross-linking agent dicumylperoxide (DCP), and their mechanical and optical properties were tested.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monomers and DCP affect the mechanical, therm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s. An increase in BA contents in P(SM-co-BA) and P(SM-BA-MMA) improved the mechanical strength, but the optical properties remained the same with some exception for P(SM-co-BA). An increase in the DCP contents improved the mechanical but found losses in the optical properties.

PVA-based Graft Copolymer Composite Membrane Synthesized by Free-Radical Polymerization for CO2 Gas Separation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한 CO2 기체분리용 PVA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복합막)

  • Park, Min Su;Kim, Jong Hak;Patel, Rajkumar
    • Membrane Journal
    • /
    • v.31 no.4
    • /
    • pp.268-274
    • /
    • 2021
  • One of the chronic problems i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is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CO2),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various greenhouse gases,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by humans to separate it. From this point of view,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copolymer with acrylic acid monomer was utilized in a gas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employed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o fabricate PVA-g-PAA (VAA) graft copolymer. It was utiliz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membrane on a polysulfone substrate. The proper amount of acrylic acid reduced the crystallinity of PVA and increased CO2 solubility in separation membranes.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2 separation membrane area by grafting and solution-diff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