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적 자의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사적/공적 자의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on Vocational Identity in Convergence er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 윤준현;손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9-3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 강민주;홍정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33-35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사회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수행불안으로 구분하여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은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을 보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가 매개할 때,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할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 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자의식과 물질주의가 미국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Materialism on Compulsive Buy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f American Female College Students)

  • 박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05-7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여대생의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적 소비성향간의 관계에 관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상징적 자기완성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가설을 설계하였으며, 설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미국 중서부지역의 한 대학교의 여대생 3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6명의 응답을 연구결과분석에 이용하였다. 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공적 자의식은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소비성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적 자의식은 과시소비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순회귀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 물질주의성향과 충동구매성향 및 과시적 소비 성향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의식, 물질주의성향, 충동구매와 과시소비 성향간의 관계 메커니즘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사회 심리학적 소비자 행동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미국 여대생을 표적 시장으로 하는 기업이 표적소비자의 소비행동과 심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루함, 공적 자의식, 스타일 지향성이 인터넷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boredom proneness,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dressing style on internet shopping)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5호
    • /
    • pp.876-89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and fashion-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on purchasing fashion items on the Internet. Boredom pronenes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were selected a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dressing style was selected as a fashion-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 It was hypothesized that boredom pronenes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not only influence the purchasing frequency of fashion items on the Internet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dressing style.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wo hundred and eighty-six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was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was used for hypothesized relationship testing. The factor analysis of boredom proneness revealed five dimensions, "helplessness," "affective response," "lack of internal stimulation," "lack of external stimulation," and "perception of time." The factor analysi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revealed two dimensions, "appearance-consciousness" and "style-consciousness," and the factor analysis of dressing style revealed one dimension. The overall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suggests that the model fits the data well.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test proved that boredom proneness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influence the purchasing frequency of fashion items on the Internet indirectly through dressing style. The results implicate effective strategies for Internet shopping mall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예비 창업가의 긍정심리자본과 공적 자의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Nascent Entrepreneu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최진숙;황금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1호
    • /
    • pp.15-4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p-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s variable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and, as factors affec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established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Career ambi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self-affirmation Theory. In order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35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ep-entrepreneur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career amb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ublic self-consciousness.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the outcome of Mediating effe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self-compassion, career ambi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confirme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p-entrepreneu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새로운 세대정신?: 한국청년세대의 복지태도 지형연구 (A New Generational Spirit?: A Study on Welfare Attitude of Korean Young Generations)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7-23
    • /
    • 2023
  •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가 복지제도에 대해 가지는 사고의 지형에 주목한다. 8개의 복지영역에 대한 정부지출의 확대 또는 감소에 대한 태도, 그리고 복지태도와 관련된 주요 이슈들에 대한 청년세대의 태도들이 주요 분석내용이다. 사전 가설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탐색적 성격의 연구이며, 분석결과에 대해서는 사후적 해설이나 추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가설 도출을 수행하고자 한다. 자료는 2022년에 수행된 한국복지패널 17차년도 조사결과이며 평균차이 검증과 사후 비교, 그리고 범주형 변수 간의 구체적 연관을 보여주는 대응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의 청년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에서는 '전문대졸'과 '대졸'이, 경제활동 상태에서는 '상용직'의 분포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230대'가 생각하는 가장 시급한 사회문제는 '주거'와 '양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한국 청년세대는 중장년 및 노년세대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상용직 위주의 경제활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공적연금'에 대해서는 정부지출의 확대에 반대하지만, '주거지원'에 대해서는 정부지출 확대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년층('60대'와 '70대')에 비해 보편주의 복지태도를 지향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연령대에 비해 진보적 정치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정작 복지를 위한 증세에 반대하는 경향은 노년층에 비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적어도 복지이슈에 대해서 한국 청년세대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자의식 구조를 엿 볼 수 있는 분석결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