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 결합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Multiscale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interfacial characteristics and filler size effect of covalently grafted nanoparticulate composites (나노입자와 기지 간 공유결합 형성에 따른 계면특성 향상과 입자 크기효과에 대한 멀티스케일 해석)

  • Yang, Seung-Hwa;Choi, Joon-Myung;Yu, Su-Young;Cho, Maeng-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127-13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와 고분자 기지 간에 공유결합을 형성시킨 나노복합재의 계면특성과 탄성계수에서 나타나는 크기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분자동역학과 미시역학모델을 순차적으로 연계하는 멀티스케일 해석모델을 제안하였다. 나노입자의 체적분율이 동일한 5개의 나노복합재 셀에 대해, 입자의 표면 원자와 고분자 기지 간에 탄소로 구성된 공유결합을 생성시킨 후 분자동 역학 전산모사를 통해 탄성계수를 예측하였고, 공유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나노복합재의 탄성계수와 이를 비교하여 계면의 물성증가와 탄성계수에서 나타나는 입자의 크기효과를 규명하였다. 향상된 계면의 특성을 연속체 해석 모델에서 고려하기 위해 분자동역학 해석결과와 미시역학 모델을 연계하는 순차적 브리징 기법을 적용하였고, 이로부터 계산된 계면의 물성의 타당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입자와 기지 간 공유결합을 통해 나노복합재가 보다 넓은 범위에 걸친 크기효과를 나타냈으며, 제안된 브리징 모델을 통해서 물리적으로 타당한 계면의 탄성계수 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Solid-phase refolding of immobilized enterokinase for fusion protein cleavage

  • Kim, Min-Young;Na, Sea-Jin;Suh, Chang-Woo;Kim, Chang-Ho;Lee, Na-Hyun;Lee, Eun-Kyu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555-559
    • /
    • 2003
  • EK를 고정화하기 위해 니켈 친화결합 방법과 공유 결합형 고정화 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니켈 친화결합이 공유 결합형 고정화보다 높은 고정화 수율과 activity를 나타냈다. 풀림과 재접힘을 이용한 효소의 활성 회복은 공유결합형 고정화가 니켈 친화결합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질의 분자량 크기에 따른 절단율의 차이가 없었으므로 레진 공극 내부로의 확산도 차이에 의한 절단반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질 종류에 따른 EK의 활성은 작은 기질이 큰 기질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

Resource Sharing Combined with Voltage Assignment in High-level Synthesis (상위단계 합성에서의 전압 할당을 결합한 자원공유)

  • Kim, Dong-Hyeon;Kim, Tae-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21-723
    • /
    • 2005
  • 상위 단계 합성에서의 자원 공유 (또는 바인딩)는 최종회로 결과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작업들 가운데 하나이다. 기존의 자원 공유 기법의 목적은 주어진 자원 제약 조건하에서 회로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거나, 주어진 지연시간 조건하에서 하드웨어의 복잡도 (예: 회로 면적)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 공유 문제를 회로에서 소모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는 각도에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 배정 작업을 자원 공유 문제와 결합하여, 두 개의 작업을 통합된 방식으로 해결함으로서 회로 결과에서의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을 충분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줄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벤치마크를 사용한 실험에서 우리는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순차적인 자원 공유와 전압 배정 적용 방식보다 $0.7\%-16\%$ 더 적은 전력 소모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Synthesis of Self-Assembled Peptide Nanoparticles Based on Dityrosine Covalent Bonds (다이타이로신 공유결합으로 자기조립된 펩타이드 나노입자의 합성)

  • Hur, Yun-Mi;Min, Kyoung-I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1
    • /
    • pp.112-117
    • /
    • 2021
  • In this study, a method of self-assembly of peptides based on irreversible covalent bonds was studied by mimicking a biological covalent bond, dityrosine bond. A tyrosine-rich short peptide monomer having the sequence of Tyr-Tyr-Leu-Tyr-Tyr (YYLYY) was selected to achieve a high-density of dityrosine bond. The peptide nanoparticles covalently self-assembled with dityrosine bonds were synthesized by one-step photo-crosslinking of a peptide using a ruthenium catalyst under visible light.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for the size of the peptide nanoparticle was studi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UV-Vis spect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s a result, the synthesis conditions for size of the peptide nanoparticles ranging from 130 nm to 350 nm were optimized.

A study on the boost half bridge converter using a coupled inductor (공유결합 인덕터를 이용한 부스트 하프브릿지 컨버터에 관한 연구)

  • Lee, Geun-Woo;Ahn,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61-6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부스트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하고 그 정상상태 해석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특히 부스트 하프브릿지 컨버터의 기본형과 한 개의 코어를 사용하여 인덕터를 공유 결합 시킨 인덕터 공유결합형 부스트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동시에 제안하였다. 제안된 컨버터는 반도체 스위치와 주요 소자를 이상적으로 가정하여 내부손실을 무시한 등가회로를 유도하였고 등가회로로부터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상태별 등가회로로부터 주요 소자에 대한 특성식을 나타내었고 최종적으로는 컨버터의 정상상태 특성식을 유도하였으며 특성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회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A novel method with photochemical reaction for LK immobilization on the polyurethane surface (폴리우레탄 표면의 광화학적 공유결합을 이용한 새로운 LK 고정화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H.J.;Nakayama, Yasuhide;Shim, J.H.;Ryu, G.H.;Kim, J.;Matsuda, Takehisa;Min, B.G.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6 no.05
    • /
    • pp.91-96
    • /
    • 1996
  • 광반응을 이용하여 fibrinolytic 활성을 보이는 LK (lumbrokinase)를 생체재료인 PU (polyurethane) 표면에 고정화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PU표면에 amino 작용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side chain 작용기로 phenylazide 와 amino작용기를 갖는 AzPhPAL을 이용하였으며 광반응은 266nm 이상의 UV light을 약 1분간 조사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LK를 amino작용기가 유도된 PU 표면에 공유결합시키기 위하여 amide결합 형성시 사용되는 수용성 carbodiimide인 EDC를 이용하였다. ESCA측정시, AzPhPAL으로 공유결합시킨 경우 반응하지 않은 PU표면에 비하여 N/C가 0.1717로, LK 고정시 S/C가 0.0043로 증가된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AzPhPAL과 LK가 PU표면에 공유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atic contact angle 측정으로 표면개질된 PU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공유결합된 LK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fibrin plate test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고정화된 후에도 LK의 활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Fusion of Evolutionary Neural Networks Speciated by Fitness Sharing (적합도 공유에 의해 종분화된 진화 신경망의 결합)

  • Ahn, Joon-Hyun;Cho, Sung-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9 no.1_2
    • /
    • pp.1-9
    • /
    • 2002
  • Evolutionary artificial neural networks (EANNs) are towards the near optimal ANN using the global search of evolutionary instead of trial-and-error process. However, many real-world problems are too hard to be solved by only one ANN. Recently there has been plenty of interest on combining ANNs in the last gener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of constructing multiple ANNs which complement each other by speciation. Also, we develop a multiple ANN to combine the results in abstract, rank, and measurement level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Australian credit approval data from UCI benchmark data set have shown that combining of the speciated EANNs have better recognition ability than EANNs which are not speciated, and the average error rate of 0.105 prov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ANNs.

Data Control in 3D View Sharing (3D 뷰 공유에서 데이터 제어)

  • 김기현;김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501-503
    • /
    • 1999
  •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르게 저작된 애니메이션 기술과 데이터를 결합하여 동일한 뷰를 표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선 공유 가상 환경 시스템과 같은 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선 여러 가지 요구 사항이 필요하게 된다. 즉, 데이터 공유, 멀티미디어 렌더링, 상호작용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에 있는 3차원 데이터를 웹을 통하여 동일된 가상 환경상에 표현함으로써 데이터 공유에 따른 애니메이션 및 물체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게 한다.

  • PDF

Recent Advances in Covalent Triazine Framework based Separation Membranes (공유결합 트리아진 구조체 기반 분리막의 최근 발전)

  • Kim, Esther;Patel, Rajkumar
    • Membrane Journal
    • /
    • v.31 no.3
    • /
    • pp.184-199
    • /
    • 2021
  • As a branch of covalent organic frameworks (COF), covalent triazine frameworks (CTF) are inherently porous structures composed of networks of repeating hexagonal triazine rings fabricated via the ionothermal trimerization reaction. They also contain plenty of nitrogen functional groups that increase affinity for some chemicals while rejecting others. Because of their tunable properties, many researchers have synthesized and tested CTFs for gas and liquid separation processes. Various studies of novel CTFs, mixed CTF composites, and CTF membranes have experimented for gas adsorption/separation (e.g., CO2, C2H2, H2, etc.) and desalination. Some CTF studies have determined the limits and potentials through advanced computer simulations while subsequent experiments have tested CTFs for photocatalytic properties, suggesting recyclability for greater sustainability. In this review, the covalent triazine framework-based separation membrane is discussed.

A New Operation Mode to Improve Balancing Speed of Active Cell Balancing Circuits Using Coupled Inductor (결합 인덕터를 이용한 능동형 셀 밸런싱 회로의 밸런싱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동작 모드)

  • Lee, Sang-Jung;Kim, Myoungho;Kang, Dae-Wook;Baek, Ju-Won;Jung, Jee-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72-373
    • /
    • 2019
  • 본 논문은 다중 권선 결합 인덕터를 이용한 능동 셀 밸런싱 회로의 밸런싱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동작 모드를 제안한다. 다중 권선 결합 인덕터를 사용한 능동 셀 밸런싱 회로는 두 셀이 하나의 결합 인덕터 권선을 공유하며, 셀과 결합 인덕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셀당 하나의 스위치가 사용된다. 이 회로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갖는 소스 셀에 저장된 에너지를 결합 인덕터에 저장한 뒤, 그 에너지를 목표 셀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셀 밸런싱을 수행한다. 하지만, 회로 구조상서로 다른 권선을 공유하고, 동일한 위치에 연결된 셀 간 밸런싱을 수행할 경우, 두 번의 에너지 전달 과정을 통해 목표 셀로 에너지가 전달 되게 된다. 이는 에너지 전달 경로를 증가시키므로 회로의 효율과 셀 밸런싱 속도를 크게 저하시킨다. 본 논문은 위의 셀 조건에서 에너지 전달 경로를 단축시켜 셀 밸런싱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동작 모드를 제안한다. 새로운 동작 모드 성능은 15W급 시작품을 이용하여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