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와 참여

Search Result 1,1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s' Online Participation - Focused on the pilot project for Seoul Clean Apartment - (공동체의식이 온라인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

  • Han, Soo Jeong;Jung, Ye Eun;Jeong, Moon Gi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5 no.2
    • /
    • pp.3-18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To solve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in localities, both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have been getting more important. Online voting is a project that is being implemented by the city of Seoul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e surveyed residents living in the apartment complex in Seoul that was participating in with the pilot program for online voting.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e sense of community was, indeed,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In particular, shared emotional connection, a compon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resident online participation.

Development of a Shared Vision Model for Future Drought Vulnerability Analysis (미래 가뭄 취약성 분석을 위한 비전공유모형의 개발)

  • Kim, Gi Joo;Seo, Seung Beom;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9
    • /
    • 2019
  •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매년 증가하여,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지자체의 시민들 또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가뭄으로 인해 총 127일 동안의 생 공용수 급수조정으로 인한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지금까지 시행된 국내의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은 대부분 일방적인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간의 갈등을 유발했다. 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bottom-up) 의사결정 과정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적용하였다. 또한, 비전공유계획의 핵심 요소인 비전공유모형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의 특성을 포함하여 개발하고자 STELLA Architect 소프트웨어로 보령댐 및 8개 지자체를 포함한 저수지 운영모형을 구축하였고, 총 3차례의 소위원회를 거쳐 수렴한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한 모형을 보완하였다. 구축한 모형으로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가뭄의 위험을 포함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를 진행하였고, 보령댐과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충청남도 서해수역 지자체의 가뭄으로 인한 취약성을 평균부족횟수, 평균부족기간, 평균부족량으로 표현하였다. 모의 결과, 보령댐은 8개 지자체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며, 8개 지자체에서는 가뭄 대응 대책이 주로 계획되어 있는 지역과 모의에서 가뭄이 발생하는 지역의 불일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평가지표에 비해 예측하기 어려운 평균회복기간에 대해서는 댐과 지자체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전공유모형을 통한 가뭄 취약성 분석 결과를 미래 회의에서 이해당사자와 공유하고, 용수 공급처과 수요처의 입장에서 용수 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가뭄 대응 정책 수립 과정에는 참여형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Comparison of Discourse by Environments for Using Tools in Small Group Learning with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도구 사용 환경에 따른 담화 비교)

  • Seokjin Shin;Haerheen Kim;Taehee Noh;Nayoon S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2
    • /
    • pp.181-190
    • /
    • 2023
  • In this study, we compared discourse by environments for using tools in terms of participation types, discourse types, and knowledge building processes. 24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ey were assigned to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which used one marker and one smart device, or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which used markers and smart devices individually. Students participated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R appli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hemical bonding. All classes were video- and audi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had a high proportion of one-student dominating type, while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had a high proportion of partly participating type and most students participating type. In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the ratio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onstruction discourse was similar compared to the tool sharing environment, and the sub-discourse types were also diverse. In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only some students had a meaningful knowledge build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most of the group members constructed knowledge about the target concept, and had a meaningful knowledge building process. In addition, the misconceptions that appeared to some group members were corr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A Dynamic Error Manager for A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based on IP-USN (IP-USN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을 위한 동적 오류 관리기)

  • Ko, 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55-15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오류 상호 인지 및 제어 기능이 있는 IP-USN 기반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 대하여 기술한다. 동적 오류 관리를 위해서 상호 인지가 필요하다. 상호 인지란 상호 작업 이해, 참여자 관계 설정 등 결합이라는 구현 기술을 말한다. 인지의 구현 방법에는 파일 공유, 윈도우 복사, 윈도우 오버레이, 또는 윈도우 공유 등이 있다. 윈도우 오버레이 기능에 세션 제어, 발언권 제어 등을 추가한 윈도우 공유 방법을 기술한다.

The Stakeholder Interview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Social Memory (사회적 기억을 위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이해관계자 면담 연구)

  • Park, Jinkyung;Kim, You-se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54
    • /
    • pp.249-287
    • /
    • 2017
  •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oncept of social memory and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and argues the various problems of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individ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roug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including users and operators. As a theoretical study, it analyzes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explores the complementary concepts of social memory and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discussion, the study understands social memory as a defined and generated memor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encompassing politics, socio-culture and the internal relations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it understands the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 as a digital space in which the communit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and the support of professional groups intertwine. The memories and records of this interaction are then stored, preserved, shared, spread, and reproduced. Through stakeholder interviews, the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users and operators regarding participation, policy, and service, and identified the various problems with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효과적인 사이버위협 정보공유체계 수립을 위한 요구사항의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Kim, Aechan;Lee, Dong Hoon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61-67
    • /
    • 2016
  • 공공 민간이 함께 사이버위협을 조기 탐지 전파 할 수 있는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체계 구축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사이버위협정보의 오남용에 따른 부작용과 민감 정보유출 등 잠재적인 위협이 발생할 부작용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현황과 관련법규를 살펴보고, 예상되는 문제점을 규명한 뒤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기술적 요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로, 정보공유체계를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정책적 요구사항이 기술적 요구사항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요구사항은 관련 법적 근거의 마련, 정보관리체계 마련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적 요구사항은 정보 표현방식 및 전송규격 표준화, 정보 수집 방법 및 신뢰성 개선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인 정보공유체계 수립을 위해서는 국가가 주도하여 정책적 기반과 표준기술을 구축하되, 공공 민간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협력하여 정보공유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방식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Perceptions of Researchers on Cooperative Utilization of Research Outcomes (R&D 성과물 공동활용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Chang, Durk-Hyun;Roh, Ryu-Ha;Lee, Soo-Sa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1-2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pyright issue under Open Access environment. A surve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searchers' awareness and recognitions about such issues. For this, bioinformatics research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Descriptive statistics method is employed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 (1) Although the researchers regarded the Open Access a positive initiative, the perceptions about open access were very low. (2) The researchers demanded possession of copyright depending on type of research information. (3) Many agencies did not required the transfer of copyright to the researcher.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dispute regarding copyright issues between researchers and agencies. (4) The research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open access activity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study is used in legitimate objectiv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are added in as an impetus to lower the barrier against a copyright and higher the approach to information seek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Impr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정책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공간정보정책 및 시스템 분석 사례 -)

  • Choi, Jun-Young;Won, Jong-Se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17-30
    • /
    • 2015
  •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are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increase the relatedness to upper policy regarding the share, openness and converge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reative uses linked to big data. However,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require enhancement since it need to update framework spatial data, to deriv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and to share the data.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spatial information policies and related system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local governments' spatial information policy enforcement plan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tilization survey on 32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the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spatial policies, on-demand updating of base map using the as built drawings linked to field work departments, securing up-to-date public domain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NSDI system, sharing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and benchmarking of best practices related to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policy participation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