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용시설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MODSIM (MODSIM을 이용한 농업용수 공급능력 평가)

  • Ahn, So-Ra;Kwon, Hyung-Joong;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42-144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물수지 모형인 MODSIM을 이용하여 36개년(1967-2002) 동안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평가하였다. 금강권역을 21개의 중권역으로 분할하고 농업용 수리시설(저수지, 양수장, 보, 집수암거, 관정)을 고려한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Fig.1). 농업용 수리시설의 공급량 및 운영 자료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 과거 가뭄발생 기간에 농업용수 부족량이 다른 기간에 비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표적인 가뭄 년인 1994, 1995, 2001년의 부족량은 745.8$(10^6m^3)$, 661.1$(10^6m^3)$, 696.8$(10^6m^3)$로 분석되었다. 또한 36개년 동안의 소유역 평균 용수공급능력은 생 공용수의 경우 99.1%, 농업용수의 경우 84.4%로 비교적 낮은 공급능력을 보였으며, 1994, 1995, 2001년의 농업용수 공급능력은 74.8%, 79.2%, 77.9%로 소유역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기여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양수장과 보의 기여율은 32.5%, 집수암거와 관정의 기여율은 4.0%로 분석되었으며, 집수암거와 관정은 양수장과 보에 비해서 상당히 적은 기여율을 갖지만 농업가뭄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Legal System for Landscap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Failities in Japan (일본의 국립공원 경관관리를 위한 시설물정비에 관한 법제도적 특성)

  • 신익순;배중남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3
    • /
    • pp.183-198
    • /
    • 2000
  • 본 연구는 일본 국립공원의 경관관리를 위한 법제적 내용특성 중 공원시설물을 위주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국적 기준인 일본의 자연공원법규의 내용을 경관관리 측면에서 정리한 후. 아소. 쿠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계획서의 내용을 정리하여 전국적 기준과 지역적 관리기준의 차이를 파악하면서 국내범규와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자연공원법규 중 우리 나라와 차이가 있는 공용제한의 내용과 공원계획의 내용 및 공원시설물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공원 내 각종행위에 관한 심사기준이 법제화되어 있음이 조사되었다. 한편, 일본의 경우에 있어서 법적인 근거는 없으나 집단시설지구에서의 이용허가 및 규제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국립공원관리소장이 작성하는 관리계획은 보호, 유지할 지역의 경관자원을 명확히 하면서 각종 시설물의 건설행위에 대해 그 규모, 위치, 색채, 디자인 관련 사항 등에 관하여 관리지침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Environment-Behavior Interaction in Community Facility - Through behavior setting surveys of Shounandai Bunka Center in Japan - (지역시설에서의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일본(日本) 상남태(湘南台)문화센타 행동상황조사를 통하여 -)

  • Lee, Eulgyu;Cho,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 no.2
    • /
    • pp.103-113
    • /
    • 2000
  • An effective design of a public space that properly functions as a resting place in city can be found through the community facility studies. This study, based on the ecological psychology, discusses th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haviors and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It is demonstrated that design elements, such as chairs, tables, stairs, a flower bed, a stair-shaped exterior wall, a pond and others play important roles in providing environment for different human behaviors in public space. Thes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also increase a variety of behavior for users.

  • PDF

A Study of Sitting Areas Preferred to Use by Assisted Living Residents in the U.S. (미국 노인 생활지원시설 거주자의 공용공간 이용선호 특성 연구)

  • Lee, Min-Ah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2 no.3
    • /
    • pp.493-509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tting areas preferred to use by assisted living residents in the U.S., compared the perceptions of staff and resident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resid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n the preference for use of main sitting areas such as lounge, dining area, activity room and outdoor area. A total of 102 participants(66 residents and 36 staff) from eight facilities in the seven counties of southern Texas were asked about two sitting areas residents like to spend time a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sitting areas were the activity and outdoor area as per the residents, but the dining area and lounge as per the staff. It might be due to that the view of staff might have been limited to sitting areas usually used by the severely frail residents. Residents using higher level of mobility assistance such as wheelchairs and walkers, or living in the facility having more dispersed sitting areas were less likely to prefer to use the lounge. The residents who were younger or having good centralized outdoor area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use the outdoor area. The preference for use of dining area was affected by its proximity from the residents' individual rooms. Diverse survey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for a more in-dept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from functionally frail older residents and staff caring for them.

Layout Plan Analysis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Apartment - Focusing on Segok District 4th Complex in Gangnam-gu - (고령자 맞춤 아파트의 옥외 공용공간 및 부대·복리 시설 배치계획 분석 - 강남구 세곡지구 4단지를 중심으로 -)

  • Lee, Jeong-Lim;Hong, Won-Hwa;Kim, Tae-Woo;Choi, Jin-Wo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4 no.1
    • /
    • pp.33-40
    • /
    • 2013
  • This study has examined layout of communal outdoor space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nation's very first senior apartment complex in Segok-dong, Gangnam-gu that has been developed by Seoul City. In order for this space to play a role as a center of communication: 1) A center space of community should be created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main moving lines of pedestrians. 2) Hierarchical area should be set up between main moving lines of walking and communal outdoor space. 3) It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o reflect demands of seniors and be accommodated their activities and behaviors. 4) It should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local infrastructure facilities so that it can promote social exchanges among seniors. Points to be considered in welfare facilities: 1) They should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complex to provide convenience to all seniors. 2) Area of senior citizen center should be subject to flexible legal regulation in ligh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3) in case that welfar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same space, intermediate space is required to alleviate collision between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4) Senior assistance facilities should put more emphasis on running programs that make good use of the space than on securing the space itself.

A Study on the Space Use Patter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mmon Space of Nursing Home in Japan (일본 노인전문요양시설 치매노인의 공용공간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 Yoon Young-Sun;Byun Hea-Ry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6
    • /
    • pp.184-19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space use pattern and the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common space (dining room, day corner) of nursing home in Japan. The subjects were six units of the 2 nursing homes in Tokyo. For this, researcher visited from September 5 to December 5 and collected data by observations of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mmon space and interviews with staff for the information about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administration and operation of the facili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ith SPSS 11 program and recorded in the form of behavior map. The results revealed as follows: first, 6 types (self-concentration type, physical environment-interest type, passive others-interest type, staffs-interaction type, other elderly-interaction type, visitors-interaction type) of the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mmon space were founded. Second, the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mmon space tended to focus on self-concentration type and physical environment-interest type. Third,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ommon space affected space usage patter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t was perceived like as living oriented space, social interaction space, facility space, staff oriented space. Conclusively it was suggested to plan dining space as semi-private space, day comer as semi-public space.

The Key Poi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플로팅 주거건축의 주요 건축계획 항목에 관한 연구 -플로팅 건축 관련 기준 및 주거건축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Song, Seog-K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5281-5289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ey poi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s 6 kinds of standards about floating architecture and 14 cases of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out 4 poi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floa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first, planning of access to upland and walkway, second, public facilities and community space planning, third, planning of various equipment, material and fixed extinguishing system for fire prevention, forth, modular system planning including manufacturing, transporting and installation of modular house.

Using Behavior of Corridor and Lounge at the Residence Floor in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노인전문요양시설 거주층의 복도 및 휴게홀 이용행태)

  • Lee Min-Ah;Ryu Ok-Soo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11
    • /
    • pp.31-4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planning to reduce elderly isolation and to improve their rehabilitation ability. Four re%archers observed the using behavior of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corridor and lounge of 5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using rate of the lounge wis higher than that of the corridor since most of the elderly were controlled by the staffs at the lounge. The facility could decrease the crowd of the lounge by arranging the sofa at the corridor-especially surrounding the atrium. The use rate in the lounge was very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because its use was influenced mainly by daily schedule, and this resoled in it being largely inactive most of the time. A counter plan is needed to encourage natural interaction among the elderly. Individual or small group activiti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regular programs. Since the furniture arrangements_(sofas and tables) at the corridor could induce elderly isolation and inactivity, various equipments should be arranged for the self-controlled activities. The indirect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activities, which are usually conducted in the lounge,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orridor so that the elderly could observe them at any places.

The Study on the New Renewal Methods for Rehabilitation of Deteriorated Sewerage by Chemical Attacks (화학침식에 의해 열화된 하수관로 갱생 공법에 관한 연구)

  • Lee, Hee Won
    •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 /
    • v.5 no.3
    • /
    • pp.38-52
    • /
    • 2014
  • 도시주민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인 하수도, 하수도처리시설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부식열화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반영구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열화 인자에 의해 구조물의 사용수명은 급속히 단축된다. 하수시설 내에서는 황산이외에도 다양한 염류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이 부식될 가능성이 있지만 황산에 의한 부식이 가장 대상범위가 넓고 부식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부식현상이 발견되면 급속하고 적절한 대응조치가 필요하다. 열화예측결과 및 구조물의 공용연수를 감안한 신뢰성이 높은 공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에 적합한 유기재료와 무기재료의 복합 특성을 발휘하는 갱생공법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의 실험적 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경질염화비닐(이하 프로파일)은 내외수압 저항성에서 3분간 $1kgf/cm^2$의 압력에도 누수 및 압력의 이동이 없었으며 약품침지에 따른 중량변화량이 $0.2mg/cm^2$이하로 산에 대한 변화량은 거의 없었다. 주입재인 모르타르의 산성에 대한 저항성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기존 모르타르에 비해 비확선성 또한 우수하였다. 장거리압송시험은 200m까지 안정적인 압송이 가능하여 이 기술에 필요한 요구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on of Recurrence Rate of Public Water -Jungnangcheon Watershed-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방법의 개선연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 Jung, Chung Gil;Ahn, So Ra;Joh, Hyung Kyung;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9-509
    • /
    • 2015
  • 물 수요관리측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또는 장래에 대한 용수수급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뿐만 아니라 여러 산정요소를 필요로 하는데, 그 중 회귀수량은 물이 이용되고 다시 하천으로 회귀되어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수량으로 정의되며, 용수수급 및 용수절약 측면에서 회귀 수량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회귀수량 조사는 유역조사 사업 이래, 10년간 생?공용수를 중심으로 미시적, 거시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측정 자료의 신뢰도, 조사방법 및 지점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조사 성과의 활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등에서는 수자원관련 계획 수립시 생?공용수의 회귀율을 65 %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1970년대 말의 사회적 여건 및 경제적 상황이 반연된 결과로 현재 상황에 적용되기 곤란하다. 따라서, 현재 실정에 맞는 회귀율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 연구 한계를 보완하고 유역조사 시행을 위한 개선된 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처리구역을 기반으로 중랑천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회귀수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시험유역 회귀수량 산정을 위한 가용 자료 분석 및 용수흐름 네트워크 공간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가용자료로 시험 유역내 상수공급자료(정수장 공급량, 상수계통도, 유수 및 누수율), 하수처리자료(하수처리구역도, 하수처리계통도, 유입량 및 방류량) 및 기상자료(기상청 지점 및 AWS 강우자료)를 구축하였고 각각의 상수계통도 및 하수처리계통도로부터 용수 흐름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다. 상수공급자료로부터 상수계통도 공급지역을 구분하여 월별 유수율에 따른 월별 실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하수처리자료로부터 시험유역에서의 월별하수처리 유입량 및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회귀율(하수처리 방류량/실 공급량)을 산정한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93.97 %(2011년), 95.02%(2012년)로 과잉 추정 되었으며 7 ~ 9월의 회귀율은 110 ~ 120 %로 유입량을 초과하였다. 이는, 하수처리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하수관거는 합류식으로 구축되어 7 ~ 9월에 많은 양의 강우량이 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생활용수 이외에 자연적인 공급량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월별 회귀율 산정을 위해서는 불투수층에서의 면적강우량(mm)을 유입량(m3/s)으로 환산된 값을 고려하여 회귀율을 재산정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78.27 %(2011년), 77.58 %(2012년)로 나타났다.각각의 월별 회귀율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과거 관용적으로 사용된 65 % 회귀율보다 약 12 ~ 13%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수처리시설 구축 및 처리효율의 증가와 상수처리시설의 관로시설의 개량으로 인한 유수율 및 누수율 감소로 회귀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