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사비분류체계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초

하이테크 공장의 효율적 건설 사업비 분석 및 예측을 위한 WBS·CBS 기반 건설정보 분류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WBS·CBS-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Efficient Construction Cost Analysis and Prediction of High-tech Facilities)

  • 최성훈;김진철;권순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6-366
    • /
    • 2021
  • 국가 경제를 이끌고 있는 하이테크 산업은 일반 건축물에 비해 투자비 규모가 크고 공사 기간이 짧으며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특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공사비 예측과 빠른 의사결정은 효율적인 비용 및 공정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국외의 경우, 1980년부터 건설정보 분류체계 표준화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체계적으로 프로젝트 전 생애 주기 정보를 수집·활용하는 등 건설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반면, 국내의 건설 현장에서는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표준화를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표준화 주체의 부재, 건설사별 비용 및 공정관리 방식의 차이로 인한 지속적인 표준화 및 체계화가 이루어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큰 규모, 수많은 공종, 복잡한 공사, 보안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하이테크 공장 건설을 위한 건설정보 분류체계 표준화·체계화 수준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된 관련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분류·분석을 통하여 하이테크 공장 건설에 적합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류·분석된 WBS(Work Breakdown Structure)·CBS(Cost Breakdown Structure)를 기반으로 계층적 구분을 통한 코드체계를 제안하였고, WBS와 CBS를 연계를 통한 건축물의 비용 모델을 입체화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건설정보 구분 체계인 일 방향의 트리구조를 벗어나 상호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 정보 분류체계가 가능하여,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 효과를 극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천시설물 공사의 기획단계 개략공사비 산정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Framework for River Facility Construction at Planning Stage)

  • 신정민;우성권;이시욱;김옥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D호
    • /
    • pp.371-381
    • /
    • 2008
  • 국내 하천시설물 건설공사는 도로 등의 다른 토목시설공사에 비해서 사업의 금액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등의 특성으로 인해 사업의 기획 및 계획단계에서의 개략적인 공사비용을 예측하는 기준 단가가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견적 방법론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천시설물 건설공사의 실적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4단계로 이루어진 하천 제방공사 실적정보 구성 체계를 제시하고, 공사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을 주요 공종별로 도출하여, 하천시설물 공사의 기획단계에서 적정한 개략공사비를 산정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BIM기반 비용.일정 통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BIM based Integration Method of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 정도영;백영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1-325
    • /
    • 2008
  • 공정과 공사비는 건설 프로젝트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요소로써, 그동안 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의 국가계약법에 따른 내역체계의 한계점과 내역 및 WBS 표준화 작업의 미흡으로 인해 실제 시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관리기법인 BIM의 객체기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과 일정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구성정보를 비용, 일정, 구조물의 부위별 구성요소로 나누고 각 구성정보에 의한 분류체계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국내의 내역중심 관리체계와 전체적인 관리 시스템 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제약조건을 절정하고 작업분류체계(WBS)를 통한 일정정보를 중심으로 비용과 3D 모델링의 부위별 객체들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의 검증을 위하여 대림산업에서 시공중인 청풍대교 현장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일정변화에 따른 시각화 및 비용예측 등의 기대효과를 확인하고 한계점 및 향후 추가 연구사항들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 PDF

교육시설 BTL 사업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구축 (A Model of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being applied to Historical Data in BTL Project for Educational Facilities)

  • 김성겸;조창연;손재호;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9-502
    • /
    • 2007
  • 정부는 기존의 품셈에 의한 예정가격 산정 방식을 폐지하고, 실적계약 단가를 근거로 하는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를 도입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BTL 교육시설물 예정가격 산정방법의 경우 표준화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내역서 작성지침의 부족으로 인하여 단가 산정에 정확한 근거 마련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L로 발주된 교육시설물의 내역서를 바탕으로 BTL 교육시설물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일반 시설물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는 교육시설물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공사비 항목 및 유지보수비 항목의 체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공공건설사업에서의 EVMS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EVM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김성진;김남곤;윤회수;문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46-47
    • /
    • 2012
  • 기존 공공건설사업은 내역체계의 공정방식으로 인해 공정-공사비가 통합관리될 수 없어 작업분류체계(WBS)를 이용한 EVMS를 도입하여 공정별 공사비 세부집행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로건설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측정단계 중심으로 작업분류체계 및 관련 기능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도로공사의 공정 및 공사비 연계활용을 위한 디지털 수량산출정보시스템(QDBS)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WBS based QDBS(Quantity Database System) for the schedule and the cost data integration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

  • 윤석헌;김성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9-127
    • /
    • 2007
  • 공정 및 공사비는 건설사업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들로써, 건설사업관리는 이들 정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에 달려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체계적인 공정관리가 정착되지 못하였으며, 공사비와의 연계관리 또한 정보의 연계성 부족과 많은 노력의 필요로 인하여 실용성이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 공사비 정보의 연계관리를 위하여, 도로공사를 대상으로 사업초기단계부터 공통작업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디지털수량산출정보(QDB)를 작성하는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수량산출정보시스템(QDBS)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육시설물 공사비 관리 효율화를 위한 BIM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based BIM for School Facilities to Increase Cost Management Efficiency)

  • 권오빈;손재호;이승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9-60
    • /
    • 2010
  • 건설 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적산업무는 사업에 참여하는 각 주체들로 하여금 최적화된 공사비를 계획하고 분배하며,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2D 설계도서를 기반으로 하는 적산업무는 누락이나 중복, 혹은 계산상의 오류 등과 같은 부정확성이나 적산업무의 비효율성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교육시설물의 적산의 경우도 이러한 상황과 더불어 표준화된 분류체계(WBS)의 미흡과 불충분한 내역서 작성지침 등으로 인하여 적산업무 효율저하와 정확한 적산 결과를 통한 공사비 산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여러 가지로 활용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 3D 모델링 기반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도구를 물량산출 및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활용함으로써 교육시설물의 적산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BIM 적용 시 합리적인 3D 모델링에 부합하는 교육 시설물 분류체계를 새로이 제시하고, 이를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시설물의 적산업무에 있어서 더 많은 정보에 기초하여 적산 단계별로 효율적으로 BIM을 활용한 공사비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공사비 관리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액티비티 기반의 EVM - PMIS 통합모델 구축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ity-Based EVM - PMIS Integration Model)

  • 나광태;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9-212
    • /
    • 2010
  • 국내 건설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기반구조를 확립하기 위하여 몇몇 건설정보관련 법규가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EVM), 프로젝트관리 정보시스템(PMIS)은 주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현행 PMIS의 기능은 시공자 위주의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EVM이 적용되지 않아 발주자를 위한 보고, 분석, 예측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더욱이 EVM과 PMIS가 서로 분리된 체계로 운영되고 있어 발주자가 실시간으로 공정 및 공사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PMIS가 EVM기능을 제공하고 사업참여자들이 제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WBS 구축방안과 EVM - PMIS 통합모델을 제안하여, E-비즈니스 업무환경하에서 PMIS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틀(framework)을 제공하는 것이다. EVM - PMIS 통합의 핵심은 EVM과 PMIS가 액티비티 기반의 동일한 운영체계를 갖는 것이다. 통합의 원리는 액티비티의 정보항목(field)을 PMIS의 공정 및 공사비관리 기능을 위한 하위모듈을 구성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table)의 항목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액티비티의 계획공사비(PA), 달성공사비(EV), 실투입비(AC), 공정편차(SV), 공정수행지수(SPI), 공사비편차(CV), 공사비지출지수(CPI)는 PMIS의 공정 및 공사비 하위모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항목으로 연계된다.

공정-내역정보 연계를 위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기반의 공통WBS 활용방안 -도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Using the common-WBS based on the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Schedule and Cost information)

  • 윤석헌;김성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107-114
    • /
    • 2005
  • 공정과 공사비는 건설사업의 관리에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축으로써, 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많은 노력이 진행중이나,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는 상황이다 내역체계의 특성으로 인해, 국내의 경우는 내역과 공정체계의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건설사업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국토관리청의 도로공사를 중심으로 내역체계와 공정체계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위해 도로공사 현장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시설물별 공통WBS와 부위별 수량산출서를 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은공정과 내역의 연계활용뿐만 아니라, 타 정보와의 연계 활용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로분야 공사비정보 관리를 위한 설계변경 기능 개발 (A Development of the Design modification function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 Cost management)

  • 문진석;윤회수;한충한;김성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16-17
    • /
    • 2012
  • 국토해양부는 지방국토관리청의 도로공사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공사비 정보의 교환 및 공유를 목적으로 작업분류체계 기반의 공사비 관리 항목을 추가하여 전자설계도서 작성 납품 지침을 개정하였다. 이를 반영하고 문제점 개선 및 활성화를 위하여 5개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중인 10개 도로건설공사를 시범적용 사업으로 지정하여 발생하는 공사비 정보를 디지털 수량산출정보로 관리하고 있다.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건설공사에 발생하는 설계변경 업무를 전자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추가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사에서 생성한 설계변경 정보를 건설사와 발주처가 동일한 형태로 공사비 정보를 공유 및 관리 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