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협력

검색결과 887건 처리시간 0.03초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T R&D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ooperation Elements on the Joint R&D Performance: Focused on IT R&D Project)

  • 오진환;구훈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36
    • /
    • 2018
  • 공동연구 참여기관의 협력요소와 공동연구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협력적 노력의 매개효과와 함께 분석하였다. 협력요소는 공동연구성과의 영향요인으로 사용되는 전략적 합의, 자원 보완성, 신뢰, 흡수역량으로 구성된 2차 요인이다. 공동연구성과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공동연구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인 협력요소와 공동연구 수행 과정에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협력적 노력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즉, 공동연구 수행 전과 수행 과정의 영향요인이 공동연구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전략적 합의, 자원 보완성, 신뢰, 흡수역량은 협력요소라는 2차 요인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협력요소는 장기 및 단기 공동연구성과 모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갖는다. 둘째, 협력적 노력은 협력요소와 단기적 공동연구성과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장기적 공동연구성과에 대한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즉, 협력요소는 공동연구 참여의도를 높이고 공동연구성과에 긍적적 영향을 주지만, 협력적 노력은 단기적 성과에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중.일 공통표준 제정의 의미와 과제 -5월 29일 '한.중.일 표준협력에 관한 공동성명'을 계기로 실질적 활동에 박차

  • 정병기
    • 기술표준
    • /
    • 통권101호
    • /
    • pp.4-7
    • /
    • 2010
  • 한 중 일 표준협력에 관한 공동성명을 통해 나라는 국제표준의 공동개발과 제안을 위해 주요 관심분야에 대한 공통표준화를 연구하고, 정보와 전문가 교류, 동북아 지역의 국제표준화 및 공통표준화 촉진을 위해 동북아 표준협력포럼을 활성화하며, 무역 촉진을 위해 표준과 적합성 평가의 기여도 향상 방안을 공동으로 연구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러한 동북아 표준협력포럼에 거는 기대는 매우 크다. 공동선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공통표준 제정을 토대로 지역적 표준협력을 넘어 세계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CFE 감축협상후 서방측 군사협력 전망

  • 장홍기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146호
    • /
    • pp.72-79
    • /
    • 1991
  • 군사판매와 공동협력의 2가지 접근방법이 새로운 현실에 부응하여 완만하게나마 NATO내 비표준화장비의 표준화를 시도해 왔다. 미국과 독일간의 Roland/Patriot 방공미사일, 미국과 이탈리아간의 방공협정과 같은 합작품들은 1980년대 중반에 시작한 공동사업이다. 미의회에서는 동맹국 및 우방국들과의 협력활동을 지원해주었다. 1976회계연도의 Culver-Nunn법은 국무부가 NATO국가들과 광범위한 협력활동을 추진하도록 고무하였다

  • PDF

국제공동기술협력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한-인도 국방 공동기술협력 중심으로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Defense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 Based on the Korean and Indian Defense Joint Technology Cooperation)

  • 이형진;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84-603
    • /
    • 2014
  • 세계적으로 국방연구개발비가 감소하고 있고 무기체계는 첨단으로 변모하고 있어,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순수하게 연구개발을 통해 무기체계를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한정된 국방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국제공동기술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와의 국제공동기술협력을 중심으로 추진전략을 분석하였다. 국방과학기술수준을 기반으로 협력분야를 3가지 그룹으로 식별하였으며, 각 그룹별로 협력 가능분야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효율적으로 인도시잠에 접근하기 위한 국방 R&D협력의 추진방안으로 법제도 정비 및 전문조직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 유화선;김윤명;양치승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67-1188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대외적 R&D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이로 인한 과학기술의 융 복합 및 첨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간 공동협력이 점차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주체의 연구역량 열위, 연구주체의 폐쇄성, 국가 R&D 제도적 미흡 등으로 인해 국가 간 공동연구 활동도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2016년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제협력 항목에서도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항목지수는 0.206으로 2015년(0.182) 대비 0.024p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OECD 30개국 중 16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협력 상위 3개국에 대한 상대수준에서도 평균 10.3% 수준에 불과하여 국제 공동연구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 확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연구에 이어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핵심연구자 간(연구 활동도 상위 5위 이하)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활동도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한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우리나라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개방화, 국제 협력 전략적 분야 및 대상 발굴,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등에 대한 발전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 및 글로벌 핵심 연구자 간 글로벌 공동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KDD/KM 방법론을 활용한 공동연구자 분석(Co-author analysis)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동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서 신산업 분야 중 가사로봇분야의 상위 10개 국가, 기관, 연구자에 대해 분석하고, 논문 활동도가 높은 글로벌 및 한국의 상위 5위까지의 핵심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현황 및 활동도에 대한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수학 교사 공동체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Community : Literature Review)

  • 김원;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439-4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 공동체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그 중 특히 공동체 활동에서 구성원들의 협력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교사 공동체 연구와 실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7월까지 국내 KCI 등재 논문 14편, 국외 SSCI 등재 논문 24편을 대상으로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그리고 교사 공동체에서 협력 의지, 방향,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외 연구들은 통상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연구에서 주목한 주제와 공동체 협력의 특징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연구 주제 측면에서 국내 논문은 공동체 운영과 발달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국외 논문은 공동체 활동과 교수 발달, 특히 교수 관행에 집중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구성원들의 협력 양상에서 국내 논문은 지식의 제공과 교수 경험의 공유를 강조하였고, 국외 논문은 경험적 사례와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뿐 아니라 이를 반성하는 과정을 강조하였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국내·외 논문에서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공동체 활동 내용과 규범을 협의하는 활동에 주목하였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공동체 연구의 방법, 공동체에서 협력 방식, 그리고 교사교육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기업과 협력업체 공동재해 예방활동 모델 개발

  • 강경식
    • 안전기술
    • /
    • 17호
    • /
    • pp.34-41
    • /
    • 1999
  • 건설공사의 원청사인 대기업과 협력업체간 안전관리체제를 수직.수동적 관계에서 수평적인 관계로 이동하기 위한 대기업과 협력업체 공동재해 예방활동 모델에 대한 연구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와 국제원자력기구 간의 보장조치 관련 현황 및 협력 방안

  • 박완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4)
    • /
    • pp.476-481
    • /
    • 1996
  • 우리나라는 1957년 창설 회원국으로 IAEA에 가입한 이래 우리나라 원자력 산업의 발전에 따라 보장조치와 관련한 협력이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으로는 우리나라 원자력 시설에 대한 IAEA 사찰, 한-IAEA 보장조치 검토회의, SAGSI 활동 등이 있으며, IAEA는 우리나라의 원자력 산업 규모와 기술 능력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와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다. 우리나라로서는 국내 통제체제의 확립과 우리나라 원자력 활동에 대한 국제적 투명성 및 신뢰도 증진을 위하여 IAEA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향후 우리나라는 보장조치 의무사항의 이행 뿐 아니라, IAEA Technical Office 설치, 사찰장비의 공유, 사찰의 공동 수행, 공동연구 등을 포함한 IAEA 지원 프로그램의 추진과 같은 진보된 형태의 협력을 추진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항공우주 학연협력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Outlook of the Institute-Academia Collaboration in Aerospace field)

  • 김종범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2호
    • /
    • pp.3-10
    • /
    • 2008
  • 이명박 정부는 새로운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지식기반경제 시대에 창의적 기초원천연구의 산실인 대학을 세계적 연구개발거점으로 육성하고, 학연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출연(연)의 중장기 연구사업에 대학을 참여시켜 기초원천연구를 강화하고, 대학 출연(연) 공동연구 활성화를 꾀하고 대학과 출연(연) 간 인력 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령을 정비하고 있다. 항공우주분야도 타 기술분야와 마찬가지로 대학의 혁신주체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따라서 학-연 협력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학연협력의 유형은 공동연구, 석박사인턴십, 교수-연구원 교류, 공동연구센터, 공동대학원 과정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미국, 브라질,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등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학연협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주제의 높은 상호의존도, 연구역량에 대한 상호신뢰, 풍부하고 유연한 자원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53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인쇄출판물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계는 심각한 장서의 소장공간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먼저 해외 주요국의 자료공동보존 실태를 소개하구 국내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관과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자료보존서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한 "공공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2005"를 기초로 하여 국내 공공도서관간 자료보존 협력 및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도서관계의 소장공간 부족문제 해결방안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하고 48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하는 $\lceil$공공도서관협력만$\rfloor$ 활용하여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설립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