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순환

Search Result 50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rmal Storage Performance of Underground Rock Storage System for Heating of Greenhouse (자갈축열 태양열 온실의 축열성능)

  • 이석건;이종원;이현우;김길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86-87
    • /
    • 2001
  • 자갈축열 태양열온실의 기본원리는 주간에 일사로 데워진 온실내부공기를 자갈축열층사이로 순환시켜 이때 자갈층에 축열된 에너지를 난방에 이용하는 것이므로 축열층 사이로 충분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자갈축열층내로 순환되는 공기의 풍량이 축열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효과적인 공기 순환방식을 분석하고자 자갈축열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중략)

  • PDF

공기순환비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특성

  • Jang, Seong-Ho;Seo, Jong-Hwan;Park, Jin-Sik;Mun, Ch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47-3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공기순환방식을 적용한 고온호기성 공정에서 공기순환비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적정한 평균운전온도는 54$^{\circ}C$, 함수율은 40% 정도로 판단되었다. 공기순환비 0.5에서 최대기질제거량을 나타내었지만 본 실험이 15일간으로 짧게 운전된 점과 반응후반부에서 공기순환비이 0.3, 0.5일 경우 반응 온도가 하락되어 기질 제거량에 영향이 예상됨으로 15일 이상 기간으로 운전시 적정한 공기순환비는 0.7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Air Circulation in Greenhouse on Development of Fermented Fruits in Oriental Melon (시설내 공기순환이 참외 발효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신용습;연일권;배수곤;최성국;최부술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0 no.1
    • /
    • pp.23-29
    • /
    • 200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 circulation and forced ventilation of greenhouse on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fruits in an oriental melon. An air circulation system and a forced ventilation system were operated during 09:30~17:00 at a 15 min. interval from Apr. 6, 5 days after fruit setting, to Jun. 29, everyday except rainy days. Wind velocities in the greenhouse were 0.06~0.08, 0.24~0.32, and 0.60~0.72m.s$^{-1}$ in the naturally ventilated (control), in the air circulated, and including leaf length and width, were observed between treatments. However, the amount of xylem exudate increased in the air circulated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Percent of fermented fruit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ir circulated treatm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forced ventilation treat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nt of fermented frui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or to the air circulated treatment.

  • PDF

Simulation of Rice Drying in a Bin System with an Automatic Gas-Modulating Burner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의 벼 건조에 관한 시뮬레이션)

  • Chung, J.H.;Verma, Lalit R.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6 no.2
    • /
    • pp.167-177
    • /
    • 1991
  • 곡물 빈에서 벼 건조시 외기 온도에 따른 연료 자동 조절 및 배출공기의 재순환이 에너지 소비, 건조비용 및 건조 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슬램 II(SLAM II : Simulation Language for Alternative Modeing II)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텔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약 64톤의 벼를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곡물빈에서 열풍 건조할 때, 절약 가능한 에너지 양과 공기 재순환의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실제의 자료와 비교하여 이 모델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출공기를 재순환 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자동 연료조절 버너를 사용할 경우 관행 버너를 이용한 빈 시스템에 비해, 루이지애나 주에서 8월에 25%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12월에는 8%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실제의 건조 실험에서는 8월에 약 30%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었다. 2. 자동 연료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 제습을 하지 않은 배출 공기의 재순환은 건조 에너지 소비량과 건조 시간을 증가시켰으며 연료 자동조절 장치의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출 공기를 재순환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배출 공기를 제습시켜 습도를 재조절 해야만 했다. 또한 제습된 공기의 재순환 효과는 여름보다 겨울에 더 컸다. 3. 연료 자동조절 버너를 갖춘 빈 시스템에서 벼를 건조할 경우 루이지애나 주, 8월에 물벼의 톤당 건조 비용은 $2.13이었으며 관행 버너를 갖춘 시스템에서는 $2.69이었다. 실험에 의한 실제 건조비용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2.17이었고 관행 시스템에서는 $2.62이었다.

  • PDF

블라인드 장착에 따른 실내 공기 순환 연구

  • Nam, Do-U;Hwang, Jae-M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25-627
    • /
    • 2016
  • 본 논문은 EDISON CFD의 전처리기, eMEGA를 이용하여 격자를 생성하고, 2차원 정렬 격자 기반 비압축성 해석자를 이용하여 유동해석을 진행한 뒤 후처리기, eDAVA를 통해 유동선을 그려 블라인드 장착에 따른 실내 공기 순환에 대한 연구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중인 사생활 보호용 블라인드를 포함, 여러 블라인드의 장착 여부에 따라 실내 내부 공기 순환의 양상을 확인하고 실제로 블라인드 장착 시 실내환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유동 선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블라인드 미장착시, 실내 전체적으로 공기가 고루 순환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블라인드 장착 시 대체로 블라인드 형태에 따라 유동이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생활 보호와 환기 효율성의 관점에서의 소비자 선택권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

  • PDF

Characteristics of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in a CFB Riser with 3-Loops (3개의 순화고리를 갖는 순환유동층 상승관에서의 축방향 고체 체류랑 분포 특성)

  • 이종민;김재성;김시문;김종진;송규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48-35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동해화력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유사한 3개의 사이클론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의 순환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동해화력 운전조건 -연소로 공기 속도, 일-이차 공기비, 전체 고체량(inventory), 입도 및 입도분포 등- 에 따른 축방향 고체 체류량 및 순환량 등의 수력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승관에서의 공기유속(U$_{0}$)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PA/[PA+SA]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전체 고체량(inventory)이 증가함에 따라 고채 채류량 및 순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넓은 입도 분포를 갖는 석탄 회재의 경우는 균일한 입도 분포의 입자들에 비해 입자 비산량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층내에서의 고체 체루량 분포를 감소지수 a 및 K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었으며, a 및 K와 유속 및 입자간의 상관 특성치를 도출하여 유동 및 순환특성을 고찰하였다. 상기의 상관수는 균일한 입도의 모래에 비해 석탄회재가 비교적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상관수가 클수록 희박상 영역에서의 비산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Development of Bubble Detector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Support System (체외 순환 보조 장치 위한 공기방울 감지 장치 개발)

  • Lee, Hyuk-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4
    • /
    • pp.298-302
    • /
    • 2010
  • Extracorporeal circulation support system is a device for repiratory and heart failure treatment, and there have been many trials for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in the world. These devices need to be careful while using is air embolism. Air embolism can be a lethal complication of surgical procedures during which venous pressure at the site of surgery is sub-atmospheric or air is forced under pressure into a body cavity or us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support system. To solve the problem, we developed the air detector using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change. In experiments with a mock circul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showed a sign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air in the tube.

A Study of Cold Flow Characteristics of a Flue Gas Recirculation Burner using Coanda Nozzles (코안다 노즐을 이용한 배기가스 재순환 버너의 냉간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 Ha, Ji Soo;Park, Chan Hyuk;Shim, Sung Hun;Jung, Sang H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4
    • /
    • pp.152-158
    • /
    • 2016
  • Nitrogen oxide is generated by the chemical reaction of oxygen and nitrogen in higher temperature environment of combustion facilities. The NOx reduction equipment is generally used in the power plant or incineration plant and it causes enormous cost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flue gas recirculation method is commonly adopted for the reduction of NOx formation in the combustion facilities.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elucidated the cold flow characteristics in the flue gas recirculation burner with coanda nozzles in the flue gas recirculation pipe. The inlet and outlet of flue gas recirculation pipes are directed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circular burner not toward the center of burner. The swirling flow is formed in the burner and it causes the reverse flow in the burner. The ratio of flue gas recirculation flow rate with the air flow rate was about 2.5 for the case with the coanda nozzle gap, 0.5mm and it was 1.5 for the case with the gap, 1.0mm. With the same coanda nozzle gap, the flue gas recirculation flow rate ratio had a little increase when the air flow rate changes from 1.1 to 2.2 times of ideal air flow rate.

A Model for Liquid Circulation Velocity in Airlift Reactors (공기부양반응기 내에서의 액체순환속도를 위한 모델)

  • Keun Ho Choi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1 no.3
    • /
    • pp.446-455
    • /
    • 2023
  • A mathemat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liquid circulation velocity in an airlift reactor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chanical energy balance of the fluid circulation loop. The model considered the energy loss due to a 90° turn, the energy loss due to friction, and the energy loss due to the change in cross-sectional area at each part of the reactor. The model that separately considered the loss coefficients related to friction, direction change, and cross-sectional area change was able to predict the liquid circulation velocity better than the previous model using lumped parameters. The liquid circulation velocity was measured by the tracer pulse method. Most of our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external-loop airlift reactors, which had the top and bottom connecting pipes, as well as other investigators' results obtained in various types of airlift reactors, were well predicted by the developed model with an error within 20%. Useful empirical equations for the loss coefficient related to the 90° turn of the circulating fluid were obtained in external and internal-loop airlift reactors and used to predict the liquid circulation velocity.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ecycled Sand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Jung-Ho;Sung, Jong-Hyun;Lee, Seung-Yeop;Kwon, Gu-Hyuk;Lee, Sea-Hy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5 no.4
    • /
    • pp.359-36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concret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hich suits the KS F 2573 concrete recycled aggregate standard. As physical properties, slump, air content, changes in the elapse of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studi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 recycling.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the increase i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aggregates led to the increase in slump and air content. Also, when the replacement ratio of recycled fine aggregates was 30%,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constructability. When the replacement ratio was 30%,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had a similar tendency to natural aggregate concrete at a compressive strength of 24MPa. When the replacement ratio was 30%, at a target strength of 24MPa,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had the same physical characteristics as natural aggregate concrete. This means that a replacement ratio of 30% is appropriate for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s. In future, there will be a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cycled fine aggregates for activating the use of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further research will have to evaluate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fine aggregate concrete using improved recycled fine aggre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