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in a CFB Riser with 3-Loops

3개의 순화고리를 갖는 순환유동층 상승관에서의 축방향 고체 체류랑 분포 특성

  • 이종민 (한전 전력연구원 발전연구실 연소신발전그룹) ;
  • 김재성 (한전 전력연구원 발전연구실 연소신발전그룹) ;
  • 김시문 (한전 전력연구원 발전연구실 연소신발전그룹) ;
  • 김종진 (한전 전력연구원 발전연구실 연소신발전그룹) ;
  • 송규근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정밀기계공학과)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동해화력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유사한 3개의 사이클론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의 순환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동해화력 운전조건 -연소로 공기 속도, 일-이차 공기비, 전체 고체량(inventory), 입도 및 입도분포 등- 에 따른 축방향 고체 체류량 및 순환량 등의 수력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승관에서의 공기유속(U$_{0}$)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PA/[PA+SA]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전체 고체량(inventory)이 증가함에 따라 고채 채류량 및 순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넓은 입도 분포를 갖는 석탄 회재의 경우는 균일한 입도 분포의 입자들에 비해 입자 비산량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층내에서의 고체 체루량 분포를 감소지수 a 및 K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었으며, a 및 K와 유속 및 입자간의 상관 특성치를 도출하여 유동 및 순환특성을 고찰하였다. 상기의 상관수는 균일한 입도의 모래에 비해 석탄회재가 비교적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상관수가 클수록 희박상 영역에서의 비산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다.

Keywords

References

  1. Circulating Fluidized Beds Grace,J.R.;Avidan,A.A.;knowlton,T.M.
  2. 13th Korea-U.S. Joint Workshop on Energy & Environment, Sep.,Nevada,USA Lee,J.M.;Kim,J.S.;Kim,J.J.;Ji,P.S
  3. 13th Int. Conf. on Fluidized Bed Combustion,Florida,USA Johnsson,F.;Leckner,B.
  4. Korean J. Chem. v.16 LEE,J.M.;Kim,J.S.
  5. Power Technology v.68 13th Int. Conf. on Fluidized Bed Combustion Johnsson,F.;Leckner,B.
  6. 12th Int. Conf. on Fluidized Bed Combustion, San Diego, USA Svensson,A.;Johnsson,F.;Leckner,B.
  7. HWAHAK KONGHAK v.32 Namkung,W.;Cho,Y.J;Kim,S.D.
  8. Chem v.49 Zhou,J.;Grace,J.R.;Qin,S.;Brereton;C.M.H.;Lin,C.J.;Zhu,J.
  9. AIChE J. v.12 Wen,C.Y.;Yu,Y.H.
  10. Power Technology Haider,A.;Levenspiel,O.
  11. Theories and Application of Chem. v.6 Lee,J.M.;Kim,J.S.;Kim,J.J.
  12. Fludization Engineering Kunii,D.;Levenspiel,O.
  13. Report A91-193 Zhang,W.;Johnss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