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사슬관리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Product Innovativeness Affecting SCM Value Chain (공급사슬관리(SCM)의 가치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혁신성에 관한 연구)

  • 김정태;박은미;장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42-448
    • /
    • 2002
  •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경쟁이 심화되어 기업간 경쟁의 범위를 벗어나 공급사슬간의 경쟁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정보기술관리과 eBusiness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공급사슬관리(SCM)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전략과 공급사슬전략 그리고 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사슬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특성을 수요 측면을 중심으로 혁신적 제품과 기능적 제품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제품의 혁신성을 측정하고,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서의 공급사슬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략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기업들에게 자사 제품에 대한 전략적 분석 필요성의 개념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특성, 제품 전략, 공급사슬 전략, 기업경쟁전략의 연계적 개념을 제공하고 자사의 공급사슬의 효율성과 반응성을 진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제품특성과 공급사슬 형태의 일치도 및 파트너쉽 관계가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Go, Seok-Yong;Go, Wan-Seo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9-34
    • /
    • 2007
  • 본 연구는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제품특성과 공급사슬 형태의 연계, 공급사슬 형태와 채널파트너와의 연계가 어떻게 공급사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제품은 수요패턴을 기준으로 기능적 제품과 혁신적 재품으로 나눌 수 있고 이에 적당한 공급사슬 형태는 효율적인 공급사슬과 시장반응적인 공급사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공급사슬의 형태는 lean supply, agile supply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에는 동시에 이행되는 leagile supply가 제시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에서 채널파트너의 강도가 공급사슬의 성과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공급사슬의 형태별로 달리 나타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오늘날 기업에서 다양하게 생산되는 제품특성별로 적당한 공급사슬 형태의 연계를 제시하게 될 것이며 특히 leagile인 경우 많은 전략적 시사점을 줄 것이다. 또한 공급사슬특성과 채널파트너 연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공급사슬관리의 성공가능성을 더 높일수 있을 것이다.

  • PDF

공급사슬 적합도가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Go, Seok-Yong;Lee, Chang-Gyun;Lee, Yun-Bae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689-694
    • /
    • 2008
  • 본 연구는 제품특성과 공급사슬유형의 연계, 공급사슬 유형별 전략요인의 관계, 그리고 공급사슬유형과 공급사슬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제품특성 및 공급사슬유형에 관한 연구는 기능적 제품과 혁신적 제품에 따른 공급사슬 관리에 관한 연구에 머물렀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놀라운 발전은 하이브리드 제품을 탄생시켰으며, 공급사슬유형도 하이브리드 공급사슬을 등장시켰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 중 공급사슬관리를 도입하고 있는 82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의 공급사슬관리 전략 현황을 보여줌과 동시에 미래의 전략적 지향점을 함께 제시하여 주고 있다.

  • PDF

A Conceptual Framework of Supply Chain Management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n Firms (공급사슬관리를 활용한 한국기업의 물류혁신방안)

  • Cooper, Martha C.;Lambert, Douglas M.;Pagh, Janus D.;Moon, Hee-Cheol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 no.1
    • /
    • pp.11-32
    • /
    • 1999
  • 최근 물류분야의 학자들과 실무자들이 물류혁신의 한 기법으로 자주 거론하는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SCM)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인가? 기존의 여러 문헌과 물류실무를 검토한 결과 특정한 공급사슬내의 조직내부 또는 조직간에는 일정한 수준의 경영활동 및 업무절차의 조정의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급사슬관리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기업의 물류혁신을 위한 시사정과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Materials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건설공급사슬을 고려한 건설공사 자재관리시스템 개발)

  • Jang, My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9 no.5
    • /
    • pp.87-93
    • /
    • 2009
  • A construction supply chain needs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s the general 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must communicate regularly with one another and share a substantial amount of information in their cooperative work.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upply chain management is necessary in the management of a system, including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participant-oriented management, and the supply chain. This research proposed a supporting system and developed the prototype focusing on material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pply chain. Construction projects are managed mainly through schedule management. As such, supply chain management should be linked with schedule management. The research implemented a prototype of the supporting system for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The prototype was implemented in Microsoft Project using VBA, including a simulation tool based on @Risk for Project.

Design of a Knowledge Oriented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Model and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지식지향 글로벌 공급사슬관리 모형의 설계와 효과분석)

  • Lee, Sang Yoon;Lee, Ju Hyun;Kim, Young Ki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9 no.4
    • /
    • pp.201-222
    • /
    • 201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how and to what degree multinational companies organize and operate their supply chains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resource of knowledge in their multinational management, and what kind of influence knowledge oriented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ha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research proposed a measurement model to provide specific shape to the concept of knowledge oriented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by adopting the knowledge creation process proposed by Nonaka (1994),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what kind of impac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knowledge creation process of companies have on the performance of their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113 multinational companies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sampled companies by grouping them according to the level of knowledge orientation in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indicated that the enterprises that effectively manage the knowledge created within the global supply chain presented overall superiority on the performance of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A Study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 Theory and Practice (환경 친화적인 공급 사슬 관리에 관한 연구)

  • 최정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5-228
    • /
    • 2003
  • 환경 친화적인 공급 사슬 관리에 관한 주제는 최근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생산성과 기업 이미지를 높이고 총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적극적이란 공급 사슬 전체에 걸쳐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개발하고, 효율적인 리사이클링 활동을 기업의 중요한 전략으로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 친화적 공급 사슬 관리의 배경, 논리적 근거, 전략 그리고 공급 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친 환경적인 대응 방법 및 시스템을 전체적인 공급 사슬 관점에서 조명하고 분석해 보고자 한다.

  • PDF

Research Issues on Online Content SCM: Focused on Portal SCM (온라인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공급사슬관리 연구 이슈 : 포털 SCM을 중심으로)

  • Kim, Yoo-Jung;Kim, Min-Sun;Yoon,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5
    • /
    • pp.169-176
    • /
    • 2012
  • The supply chain of online digital contents industry differs much from the supply chain of offline industry which produces and supplies physical products. Portal facilitates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usage of online digital contents by providing efficient and convenient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to contents suppliers and users, resulting in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portal supply chain. Each portal builds it's own supply chain and various participant firms like CPs(Content Providers) and SPs(Solution Providers) are collaborating together to survive from the fierce competition. However, there is few research work on portal SCM to explain how to design and implement a Portal SCM in a successful way. 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Portal SC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SCM and Portal SCM. Also, this paper proposes seven research issues need to be addressed to design and implement a portal in an efficient and effective way.

A Qualit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s From Supply Chain Management Perspective

  • Min Jung-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1 s.17
    • /
    • pp.80-8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from supply chain management perspective to gain insight from all constituents and to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In order to suggest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a typical urban office building project in US were held. Based on that, a qualit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jects is presented. Focusing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sub-systems, this study illustrates the roles of subcontractors, suppliers, distributors, and manufacturing representatives as well as the complexity that a general contractor fares in managing its supply chain. The author$^{\circ}\phi$s recommendations are focused on process restructuring and automation, which include some quantifiable performance measures, incentives, and their alignment with each other